• 제목/요약/키워드: Deamina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키토산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그 유도체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the Properties of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its Derivatives)

  • 하병조;김준오;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8-62
    • /
    • 1997
  • 천연 고분자인 키토산의 1차 아민기를 아질산나트륨염에 의해 환원 말단에 알데히드기를 갖는 키토산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얻었으며, 이를 수소화붕소산나트륨으로 환원하여 수산기로 전환하였다. 얻어진 키토산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평균 중합도는 겔투과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해 약 2로 나타났으며, 키토산에 비해 친수성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보습효과를 글리세린과 비교 측정한 결과 키토산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어느 정도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글리세린에 비하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의 섬유아세포 증식 실험결과1$\times$10-3 ~ 1$\times$10-4%농도에서 115 ~ 125%의 세포증식 효과를 보였다. 키토산 올리고사카라이드에 아실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N, N-디아실, O-아실 키토산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액정을 형성하였으며, 높은 결정성을 보였다. 또한 유동파라핀, 에스테르형 오일 성분 등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여 화장품용 유성성분으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 PDF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Analyses for Elucidating the Roles of LOXL2-delta72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Wu, Bing-Li;Zou, Hai-Ying;Lv, Guo-Qing;Du, Ze-Peng;Wu, Jian-Yi;Zhang, Pi-Xian;Xu, Li-Yan;Li, En-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345-2351
    • /
    • 2014
  • Lysyl oxidase-like 2 (LOXL2), a member of the lysyl oxidase (LOX) family, is a copper-dependent enzyme that catalyzes oxidative deamination of lysine residues on protein substrates. LOXL2 was found to be overexpressed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n our previous research. We later identified a LOXL2 splicing variant LOXL2-delta72 and we overexpressed LOXL2-delta72 and its wild type counterpart in ESCC cells following microarray analyses. First,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of LOXL2 and LOXL2-delta72 compared to empty plasmid were applied to generate protein-protein interaction (PPI) sub-networks. Comparison of these two sub-networks showed hundreds of different proteins. To reveal the potential specific roles of LOXL2- delta72 compared to its wild type, the DEGs of LOXL2-delta72 vs LOXL2 were also applied to construct a PPI sub-network which was annotated by Gene Ontology. The functional annotation map indicated the third PPI sub-network involved hundreds of GO terms, such as "cell cycle arrest", "G1/S transition of mitotic cell cycle", "interphase", "cell-matrix adhesion" and "cell-substrate adhesion", as well as significant "immunity" related terms, such as "innate immune response", "regulation of defense response" and "Toll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experimental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biological role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LOXL2-delta72. This study also provided a work flow to test the different roles of a splicing variant with high-throughput data.

식품 내 바이오제닉아민 신속검출기술 개발 동향 (Rapid Detection Methods for Biogenic Amines in Foods)

  • 이재익;김영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1-147
    • /
    • 2012
  • BA은 치즈, 와인, 젓갈, 소시지, 된장 등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는 식품뿐만 아니라 채소류, 과일, 육류와 같은 비발효 식품군에서도 발견된다. 식품 내 BA 오염에 대한 관리를 목적으로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 신속하게 다량의 시료를 분석하고 제품에 대한 항시 모니터링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BA 특이항체 및 BA 분해효소를 이용하는 BA 검출 및 센싱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isN 특이 항체를 이용한 ELISA 키트는 상용화 되었으며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고 있다. 산화적 탈아미노반응을 촉매하는 아민산화효소는 항체기반의 ELISA 방식에 비해 다양한 BA 분석에 사용되고 있으며,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H_2O_2$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BA의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전류측정식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BA 신속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의 개발 연구 동향에 발맞추어 국내 전통발효식품에 적합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산업현장 적용 연구를 거쳐 국내 전통발효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쥐 小腸에서의 Pyrimidine Deoxyribonucleoside 代謝와 CdR-aminohydrolase의 熱抵抗性 (Metabolism of Pyrimidine Deoxyribonucleosides and Heat-resistivity of CdR-aminohydrolase in the Mouse Small Intestine)

  • Kang, Man-Sik;Rhee, Juong-Gile;Cho, Joong-Myu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07-116
    • /
    • 1974
  • 생쥐 小腸의 deoxycytidine-2-$^14 C$ (CdR-2-$^14 C$)와 deoxyuridine-2-$^14 C$ (UdR-2-$^14 C$)의 代謝를 관계酵素의 熱處理에 대한 영향과 관련해서 in vitro에서 고찰하였다. CdR-2-$^14 C$는 CdR-aminohydrolase의 作用에 의해서 먼저 nucleoside level에 급속히 deamination된 후, nucleosidase의 作用에 의해 uracil로 分解된다. 생쥐 小腸에서는 nucleosidase 가 CdR과 CR에는 親和力이 없기 때문에 이들 cytosine nucleoside의 N-pentose 結合을 分解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CdR-aminohydrolase는 $80^\\circ C$ 높은 不活性化溫度를 나타냈으며, 이에 반해서 nucleosidase는 $60^\\circ C$에서 不活性化가 되었다. 品種이 다른 생쥐의 여러 組織에 있는 CdR-aminohydrolase는 모두 $80^\\circ C$에서 不活性化됨이 관찰되었으나, 토끼 組織에서는 $80^\\circ C$에서도 不活性化가 일어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不活性化溫度에는 "屬"特異性이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哺乳類의 分化된 組織에서 CdR-aminohydrolase 가 出現하는 生物學的 意味는 주로 分解過程과 有關한 것으로 생각된다.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NA Editing Enzyme ADAR1 Suppresses the Mobility of Cancer Cells via ARPIN

  • Min Ji Park;Eunji Jeong;Eun Ji Lee;Hyeon Ji Choi;Bo Hyun Moon;Keunsoo Kang;Suhwan Cha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6호
    • /
    • pp.351-359
    • /
    • 2023
  • Deamination of adenine or cytosine in RNA, called RNA editing, is a constitutively active and common modification. The primary role of RNA editing is tagging RNA right after its synthesis so that the endogenous RNA is recognized as self and distinguished from exogenous RNA, such as viral RNA. In addition to this primary function,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gene expression can be utilized in cancer where a high level of RNA editing activity persists. This report identified actin-related protein 2/3 complex inhibitor (ARPIN) as a target of ADAR1 in breast cancer cells. Our comparative RNA sequencing analysis in MCF7 cell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ARPIN was decreased upon ADAR1 depletion with altered editing on its 3'UTR. However, the expression changes of ARPIN were not dependent on 3'UTR editing but relied on three microRNAs acting on ARPI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cancer cells were profoundly increased by ADAR1 depletion, and this cellular phenotype was reversed by the exogenous ARPIN expression. Altogether, our data suggest that ADAR1 suppresses breast cancer cell mobility via the upregulation of ARPIN.

쥐의 급식회수(給食回數)와 체지방과잉합성(體脂肪過剩合成) (Frequency of Meals and Hyperlipogenesis of Rat)

  • 한인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21-27
    • /
    • 1966
  • (1) 급식회수(給食回數)가 각종(各種) 영양소(營養素)의 대사과정(代謝過程)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30 마리의 생후(生後) 80 일(日)이된 쥐(체중(體重) 290 gm)와 32 마리의 40 일(日)이된 쥐(체중(體重) 180 gm)로서 34 일간(日間) 실험(實驗)하였다. (2) 자유채식구(自由採食區)(1 일(日) $10{\sim}15$ 회채식(回採食))와 1 일(日) 2회급식구(回給食區)의 쥐를 pair feeding 시켰으며 양구(兩區)의 채식량(採食量)이 같도록 엄밀히 조절(調節)하였다. (3) 양구(兩區)보다 체중증가율(體重增加率)이 유사(類似)하였으나 1 일(日) 2회채식구(回採食區)가 지방(脂肪) Energy의 증가율(增加率)이 자유채식구(自由採食區)보다 현저히 높았으나 단백질(蛋白質)의 함량(含量)은 자유채식구(自由採食區)가 높았으며 광물질(鑛物質)의 함량(含量)은 양구(兩區)보다 유사(類似)하였다. (4) 1 일(日) 2회급식(回給食)하는 경우 탄수화물대사과정(炭水化物代謝過程)의 변화(變化)를 초래 하였다. 즉(卽) 이구(區)의 G-6-P dehydrogenase의 활성(活性)이 2배(倍)나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정상적(正常的)인 Glycolysis에서 HMPS로 전변(轉變)되었음이 판명(判明)되었고, 따라서 NADPH의 생산(生産)이 촉진(促進)되었고 또한 지방산(脂肪酸)의 합성(合成)이 촉진(促進)되었다. (5) 채식회수(採食回數)는 단백질(蛋白質)의 이용(利用) 및 대사(代謝)에도 영향을 주는바 1 일(日) 2회급식구(回給食區)는 체내단백질(體內蛋白質) 합성율(合成率)이 낮고 반면(反面)에 뇨(尿)로 유실(流失)되는 질소(窒素)의 량(量)은 많음이 밝혀졌다. deamination이 되고 또는 carbon skeletal은 지방합성전구물(脂肪合成前軀物)로 쓰이는듯 하다. (6) 채식회수(採食回數)는 내분비(內分泌)를 촉진 또는 억제하는바 1 일(日) 2회급식구(回給食區)의 경우 insulin의 분비(分泌)를 촉진하나 Thyroidal Hormone의 분비(分泌)를 억제하는듯 하다. 따라서 이구(區)의 Heat production이 자유채식구(自由採食區)보다 낮으며 더 많은 energy가 지방합성(脂肪合成)에 쓰여질 수 있게 되는듯 하다.

  • PDF

생쥐에 있어서 꾸지뽕 당단백질의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Liver in $CCl_4$-treated A/J Mice)

  • 주헌영;임계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3-99
    • /
    • 2009
  • 꾸지뽕 당단백질이 간의 조직에 존재하는 항산화계 해독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CCl_4$로 유도된 간독성화 과정에서 생성된 ROS에 의해 야기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scavenger로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혈청 중 LDH 활성증가는 간 및 기타조직의 질환 및 악성 종양 등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LDH를 내포한 조직이 파괴될 때 혈액으로 흘러나와 혈중 LDH가 상승하며, 혈액 중 지질과산화 반응은 생체조직막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유리기에 의해 산화적 분해를 일으키는 지표로 사용되는 TBARS의 수치, DNA 염기의 deamination 등을 유도함으로써, 유전자의 돌연변이(mutagenesis)로 인한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NO 등의 수치가 유의적인 수준으로 억제될 뿐만 아니라, 염증 매개시 단백질인 NF-kB(p50)을 억제함으로써 $CCl_4$에 의한 간독성 과정에서 촉진된 염증 신호전달기전을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꾸지뽕 당단백질은 탁월한 천연 항산화제로서 간의 독성 및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실험결과 분석된다.

시화호 산화-환원 환경하의 용존 유, 무기 화합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Biogeochemical Study of Dissolved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under Oxic/Anoxic Environment in Lake Shihwa)

  • 박용철;박준건;한명우;손승규;김문구;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2호
    • /
    • pp.53-68
    • /
    • 1997
  • 인공적으로 조성된 시화호는 현재 부분적인 해수혼입을 제외하고는 해수의 순환이 차단된 폐쇄 환경을 이루고 있으며 끝막이 공사 후 6 m 이심에 갇혀있는 잔존 저층해수로 인하여 수직적으로 강력한 염분 의존형 밀도 성층에 의한 2층 구조(two-layered system)를 보이고있다. 이러한 물리적 조건에서 시화호 주변의 6개 주요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막대한 양의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염은 시화호의 저산소 및 무산소 환경을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화호의 생지화학적 환경은 흑해(Black Sea)와 같이 전 계절을 통하여 6 m 부근 심도의 밀도경사면을 상하로 뚜렷한 산화와 환원 환경으로 나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위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여러 유, 무기 화합물과 원소의 생지화학적 분포특성과 종분화 그리고 과정에 대하여 산화-환원 경계면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용존산소는 유기물이 축적되어 있는 밀도 경계면 이심의 저층 잔존 해수층에서 고갈되어 있으며 이에 띠라 약 1억톤에 달하는 저층 해수수괴가 환원환경을 이루고있다.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산화 환경인 저염의 표층에서 높게 나타났고 환원 환경인 고염의 저층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여 나타났다. 반면 암모니아염은 저층수괴에서 75에서 360 ${\mu}M$에 이르는 매우 높은 농도를 보이는데 이는 저층으로 침강 유입된 유지불의 혐기성 분해에 따른 ammonification이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1996년 4월부터 8월까지 약 3억톤의 시화호 내 표층수가 연안으로 방류되고 상당량의 외해수 혼입에도 불구하고 시화호 내 저층수의 환원환경이 유지 또는 가속화되는 주된 원인은 저층의 잔존 해수수괴에 trap 된 침강 유기물의 산소 소비 속도와 제한적으로 공급되는 산소공급이 불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시화호의 수질 환경면에서 볼 때 현재와 같이 2층구조의 염분도의존형의 밀도 성층이 유지되는 한 사화호 수질의 개선 전망은 밝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청국장 발효시의 성분 변화 및 펩티드의 생성 (Changes in Compon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ookjang)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4-131
    • /
    • 2011
  • 청국장으로부터 펩티드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을 $40^{\circ}C$에서 180시간 발효시키면서 성분 변화와 펩티드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pH는 초기에 7.07을 나타낸 이후 24시간에 pH 7.41, 이후 점차 증가하여 180시간에 pH 8.63을 나타냈다. 산도는 12시간에 0.2, 24시간에 0.5를 나타낸 이후 0.1로 고정되었다. 총당은 초기에 1.54 mg/$m\ell$이었으나, 점차 저하하여 48시간에 0.76 mg/$m\ell$, 120시간에 1.0 mg/$m\ell$, 180시간에 0.8 mg/$m\ell$이었다. 환원당은 초기에 0.14 mg/$m\ell$, 24시간에 0.88 mg/$m\ell$, 48시간에 0.64 mg/$m\ell$, 72시간에 0.26 mg/$m\ell$를 나타내고 180 시간까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유리 아미노산 양은 초기에 $0.19\;{\mu}M/\ell$, 72시간에 $4.88\;{\mu}M/\ell$, 120시간에 $5.5\;{\mu}M/\ell$이었고, 이후 급격하게 저하하여 180시간에 $0.23\;{\mu}M/\ell$이었다. 280 nm에서의 단백질과 펩티드의 흡광도는 48시간에 12.40, 120시간에 31.12, 180시간에 31.12였다. HPLC 분석 결과, 발효가 진행될수록 큰 분자량의 단백질은 여러 크기의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었고, 48시간 후는 유형이 거의 같았다. Protease 활성은 발효 36시간에 0.011 unit/$m\ell$로 가장 높았고, 이후 저하하였다. 이상과 같이 청국장은 발효 100시간 후 부터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가 많이 시작되었으므로 펩티드 같은 유용물질은 발효 100시간 이내에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