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Literacy Framework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9초

Proposed Data Literacy Competency Framework through Literature Analysis

  • Hyo-suk Kang;Suntae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115-140
    • /
    • 2024
  •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ra of big data, the ability to handle data has become essential. This has heighten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ata literacy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ramework for data literacy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data literacy frameworks from eight countries and twelve pieces of literature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resulting in five categories and twenty-three competencies. The five categories are: data understanding and ethics,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data analysis and evaluation, data utilization, and data governance and systems. It is hoped that the data literacy competency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policies, curricula, and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 data literacy competencies.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based on Digital Humanities)

  • 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3-2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중심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과 세부 역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데이터, 정보, 디지털 리터러시 등의 관련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인문학 관련 개념으로 디지털 인문학 주요 개념을 연계하여 11개 항목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본 요소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설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stablishing the Definitions of Metaverse and Metaverse Literacy and Developing the framework for Metaverse Literacy

  • Hee Chul, Kim;Iljun, Park;Myoe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97-20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와 디지털 교육, 그리고 미래교육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 방법론과 심층 인터뷰 방법론을 적용하여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정의를 도출하고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를 정립, 제시하기 위함이다. 1차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9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1월 12일부터 1월 17일까지 전자우편으로 발송되고 회송되었다. 2차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는 4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1일에서 3월 19일까지 각 전문가와 zoom을 통해 4회의 1:1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 메타버스의 개념 정의를 위한 기초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기존에 정의된 6명의 국내 학자들의 개념 정의를 선별하여 그에 대한 동의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추가 의견을 설문하였다.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개념 정의를 위한 의견수렴을 위해 기존에 정의된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정의에 대한 동의 정도와 추가 의견을 취합하였다. 메타버스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선정 및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메타버스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12개의 하위 개념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동의 정도와 추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재정의하였고,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개념 구성 요소를 포함한 프레임워크를 재정리하여 2차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델파이 조사 결과로 재정립된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리터러시에 대한 정의 및 메타버스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에 대한 심층 피드백을 수렴하였다. 1,2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정의들과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Investigating EFL Learners' Reactions to Digital Competence using the DigComp Framework

  • So-Hee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49-155
    • /
    • 2023
  • Since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requires new skills in digital literacy, digital competence also has become a keystone in English classes. This study explores three aspect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learners' digital confidence: information and data literac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digital content creation, based on the European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DigComp). The participants were 150 Korean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wo general English classes, and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were from basic to advanced; each level consisted of 30 participants. In order to assess their digital confidence, I designed a Google survey form and collected data during two semester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had highest digital confidence in information and data literacy and overall, the female participants showed higher digital confidenc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t also showed that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nd computer skills are important factors.

확장된 데이터의 특성과 맥락을 반영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Re-conceptualization of data literacy reflecting the expanded data characteristics and context)

  • 최경희;조동성
    • 정보화정책
    • /
    • 제30권3호
    • /
    • pp.49-68
    • /
    • 2023
  • 본 연구는 일반 시민이 지녀야 할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데이터 인력 양성 정책에 필요한 기본 개념 틀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를 재개념화했다. 이를 위해 확장된 데이터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데이터 리터러시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재개념화된 데이터 리터러시를 제시했다. 재개념화된 데이터 리터러시에는 지식, 기술, 맥락의 세 범주와 범주별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 범주를 강조하였던 기존의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에 데이터의 맥락 범주를 추가하여 맥락의 범위, 시간성, 가치 지향 요소도 명시했다. 또한 지식 범주에도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재개념화된 데이터 리터러시는 정보화, 인력 양성, 행정 등의 분야에서 교육과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본검사 참여 연구 : 수학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curriculum mapping of Korea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Focused on mathematics)

  • 조성민;이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07-518
    • /
    • 2019
  • OECD는 학습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제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국어, 수학, 사회/역사, 과학, 체육, 예술(미술/음악), 기술·가정/정보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 맵핑 연구(Curriculum Content Mapping, 이하 CCM)의 본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CCM 본검사에 참여한 결과 중 수학과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CCM 프레임워크의 역량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소양을 기르기 위한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he Content Framework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 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75-384
    • /
    • 2022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교육이 초등교육에서 필수화됨에 따라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기르기 위한 내용체계표를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영역을 크게 인공지능 이해와 인공지능 개발로 구분하였고, 세부 영역을 인공지능 활용, 인공지능 영향, 인공지능 윤리, 인공지능 인식, 데이터 탐색, 데이터 표현, 인공지능 예측 등 8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영역별로 주제 요소와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그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후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향후 인공지능교육이 초등학교에서 확대되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에 따라 교재와 교구를 개발하고, 그것을 학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를 확보해야 하며, 학교 현장에 적용하면서 발생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n Assessment of Korea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 Shin Donghee;Chu Hyeeun;Lee Eunah;Ko Heeryung;Lee Moonam;Kang Kyunghee;Min Byungmee;Park Junehee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8-364
    • /
    • 2005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what students know, how they feel, and how they act in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literacy. This study takes it a very serious problem that there has been no data about Korean students’status of environmental literacy so far. Based on the correct diagnosis of Korea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including national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and strategy, would take the right way. This study accepts Simmon (1995)’s framework of environmental literacy, consisting of 5 areas, environmental knowledge, skills, affect, and behavior, which is consistent with general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s in environmental literacy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mprov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is study also checked which factors, including age, gender, parents’ school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students’ science-related attributes,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science educators keep in mind how important it is to teach science from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literacy.

Rethinking K-6 Scientific literacy: A Case Study of Using Science Books as Tool to Cultivate a Fundamental Sense of Scientific Literacy

  • Kim, Mi-J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711-723
    • /
    • 2007
  • As the discourse of scientific literacy has broadly summed up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in the current decade, this study attempts to question how we contextualize appropriate interpretations and feasible approaches to scientific literacy in K-6 science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complex praxi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practice, this study emphasizes the participatory framework of scientific literacy which interweaves children's everyday experiences and science learning. This study also concerns children's abilities to understand and enact scientific enterprises (i.e., children's fundamental sense of scientific literacy). As a way of developing K-6 scientific literac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using science books can broaden the scope of children's understandings of science in life connections and promote a fundamental sense of scientific literacy through tal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Grade two science classrooms in Canada. Second graders were engaged in learning "sound" for five weeks. During science lessons, children's talks were recorded and their writings were collected for data interpretation. This research finds that using science books can encourage children to become engaged in communicative activities such as talking, reading, and writing in science; furthermore, using science books develops children's inquiry skills. These findings open a further discussion on scientific literacy at the K-6 levels.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성숙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Data Litera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Data Analytics Maturity: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 박종남;조예은
    • 정보화정책
    • /
    • 제28권1호
    • /
    • pp.43-63
    • /
    • 2021
  •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내·외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데이터 기반 성과창출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성숙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첫 번째 분석 주제인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활용도의 관계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조직의 데이터 분석 성숙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두 번째 주제인 조직문화와 데이터 분석 활용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직 구성원이 조직의 문화를 관계지향 문화와 혁신지향 문화라고 인식할수록 데이터 분석 성숙도가 높아진다고 인식하고 있다. 세 번째 분석인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성숙도의 관계성은 관계지향 문화와 위계지향 문화에 의해서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관계지향 문화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데이터 분석 성숙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승효과로 나타났으나, 위계지향 문화는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