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Labeling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6초

효율성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MR 영상에서의 뇌 외곽선 추출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xtraction Method of Cortical Surfaces from MR Images for Improvement in Efficiency and Accuracy)

  • 안광옥;정현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9-555
    • /
    • 2007
  • In order to study cortical properties in human, it is necessary to obtain an accurate and explicit representation of the cortical surface in individual subjects. Among many approaches, surface-based method that reconstructs a 3-D model from contour lines on cross-section images is widely used. In general, however, medical brain imaging has some problems such as the complexity of the images, non-linear gain artifacts and so on. Due these limitations, therefore, extracting anatomical structures from imaging data is very a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ask.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roved method for extracting contour lines of cortical surface from magnetic resonance images that simplifies procedures of a conventional method. The conventional method obtains contour lines through thinning and chain cod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method can extract contour lines from comparison between boundary data and labeling image without supplementary process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verified using brain image.

장갑의 치수규격 실태에 관한 연구 - KS와 ISO 치수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Glove Size Standards - Focused on KS and ISO Sizing System-)

  • 김은경;최혜선
    • 복식
    • /
    • 제54권6호
    • /
    • pp.77-9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site in the new sizing system for gloves. KS glove standards' size dimensions, size designation and labeling systems were analyzed. Also, KS glove standards' control sizes were compared to the anthropometric data of 824 Korean adults taken in the previous study. As well, the ISO hand size system was also compared to the anthropometric data of the previous study according to frequency tables of hand length and hand circumference. The size dimensions showed differences among KS standards and there was no size designation and labeling systems existed in KS standards. Among KS glove size systems, protective rubber gloves for radioactive contamination and surgical rubber gloves' size which followed ISO system were accurately indicate the hand size of the person a glove is intended to fit. ISO glove sizing system comprised the control dimensions of hand length and hand circumference. The coverage of ISO size A was 84.8% which was highest among ISO size A. B, C. And in hand circumference 178, 191, 203, 216mm showed the frequencies above 3% and in hand length 167, 175. 183, 191, 199mm showed the frequencies above 3%.

HKIB-20000 & HKIB-40075: Hangul Benchmark Collections for Text Categorization Research

  • Kim, Jin-Suk;Choe, Ho-Seop;You, Beom-Jong;Seo, Jeong-Hyun;Lee, Suk-Hoon;Ra, Dong-Yul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3권3호
    • /
    • pp.165-180
    • /
    • 2009
  • The HKIB, or Hankookilbo, test collections are two archives of Korean newswire stories manually categorized with semi-hierarchical or hierarchical category taxonomies. The base newswire stories were made available by the Hankook Ilbo (The Korea Daily) for research purposes. At firs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KISTI collaborated to manually tag 40,075 news stories with categories by semi-hierarchical and balanced three-level classification scheme, where each news story has only one level-3 category (single-labeling). We refer to this original data set as HKIB-40075 test collection. And then Yonsei University and KISTI collaborated to select 20,000 newswire stories from the HKIB-40075 test collection, to rearrange the classification scheme to be fully hierarchical but unbalanced, and to assign one or more categories to each news story (multi-labeling). We refer to this modified data set as HKIB-20000 test collection. We benchmark a k-NN categorization algorithm both on HKIB-20000 and on HKIB-40075, illustrating properties of the collections, providing baseline results for future studies,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on Korean text categorization problem.

Industry and Consumers Awarenes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Functional Animal-based Foods in South Korea

  • Wi, Seo-Hyun;Park, Jung-Min;Wee, Sung-Hwan;Park, Jae-Woo;Kim, Jin-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42-248
    • /
    • 2013
  • In recent years, manufacturers of animal-based foods with health claims have encountered difficulties in the labeling of their products because of a lack of regulation on defining the functionality of animal-based foo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basic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a definition for functional animal-based foods by investigating consumer and industry awarenes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industry representatives and 1,100 consumer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included items on production status and future production plans, functionality labeling, promotion plans, establishment of definiti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consumer perception, and selection of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both industry representatives and consumers believe that legislation and the provision of scientific evidence should be improved for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animal-based foods marke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nsumer trust by supplying correct information and can be utilized in the industry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imal-based food products.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의 준 지도 학습 기법 분석 (The Analysis of Semi-supervised Learning Technique of Deep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Model)

  • 박재현;조성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9-8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소량의 레이블 데이터로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을 훈련할 때 적용되는 준 지도 학습 기법 (semi-supervised learning: SSL)에 대해서 분석한다. 기존의 준 지도 학습 기법은 크게 일관성 정규화 (consistency regularization), 엔트로피 기반 (entropybased), 의사 레이블링 (pseudo label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각 준 지도 학습 기법의 알고리즘에 대해서 서술한다. 실험에서는 준 지도학습 기법을 레이블 데이터의 수를 변화시키면서 훈련 후 분류 정확도를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준 지도 학습 기법의 한계에 대해서 서술하고, 분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Inception V3를 이용한 뇌 실질 MRI 영상 분류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Brain Parenchymal MRI Image Classification Using Inception V3)

  • 김지율;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2-137
    • /
    • 2019
  • 의료영상으로 생성된 데이터의 양은 전문적인 시각적 분석 한계를 점점 초과하여, 자동화된 의료영상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상소견과 종양소견을 보이는 각각의 뇌 실질 MRI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Inception V3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종양 유무에 따른 분류 및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90%,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86%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손실률 평가에서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0.56,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1.28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향 후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성능 향상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공개된 의료영상의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라벨링 분류 작업을 통한 라벨링의 정확도를 개선하여 모델링을 구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접사 구조 분석과 기계 학습에 기반한 한국어 의미 역 결정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Based on Suffix Structur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 석미란;김유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1호
    • /
    • pp.555-562
    • /
    • 2016
  • 의미 역 결정은 한 문장에서 술어와 그것의 논항간의 의미 관계를 결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한국어 의미 역 결정은 영어와는 다른 한국어 고유의 특이한 언어 구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방법들을 곧바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지금까지 제안된 방법들은 영어나 중국어에 적용했을 때에 비해서 한국어에 적용하면 낮은 성능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사나 어미와 같은 접사구조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어는 일본어와 같은 교착어의 하나인데, 이들 교착어에서는 매우 잘 정리되어 있는 접사구조가 어휘에 반영되어 있다. 교착어는 바로 이들 잘 정의된 접사 구조 때문에 매우 자유로운 어순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일 형태소로 이루어진 논항은 기초 통계량을 기준으로 의미 역 결정을 하였다. 또한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과 조건부 무작위장(Conditional Random Fields: CRFs)와 갗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앞에서 결정되지 못한 논항들의 의미 역을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기계 학습 접근 방식이 처리해야 하는 논항의 범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기계 학습 접근은 상대적으로 불확실하고 부정확한 의미 역 결정을 하기 때문이다. 실험에서는 본 연구는 15,224 논항을 사용하였는데, 약 83.24%의 f1 점수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한국어 의미 역 결정 연구에 있어서 해외에서 발표된 연구 중 가장 높은 성능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약 4.85%의 향상을 보여준 것이다.

드론 영상의 차량 레이블링을 통한 간선도로 차간간격(GAP) 산정 (GAP Estimation on Arterial Road via Vehicle Labeling of Drone Image)

  • 진유진;배상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0-10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점 및 구간 검지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드론 촬영영상을 활용하여 차량을 검지 및 레이블링 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심부 간선도로상 차간간격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드론 영상 데이터 획득 시 적정 시간대, 위치, 고도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조건하에서 촬영을 실시하여 최종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다양한 영상분석기법 중 혼합 Gaussian, 영상 이진화, 모폴로지 기법을 적용시켜 차량을 검지하였고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차량을 레이블링 하였다. 레이블링율 분석 결과 실제 차량 수 285대 중 185대를 검지함으로써 차량 레이블링율은 65%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간간격은 픽셀 단위화를 통해 산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지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차간간격 오차가 모두 5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오차는 선행차량과의 차간간격은 1.67m, 후행차량과의 차간간격은 1.1m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차간간격은 도심부 도로의 밀도, 서비스 수준 판단 기준 설정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메인 적응 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인식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Domain Adaptation Technique)

  • 임수종;배용진;김현기;나동렬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475-482
    • /
    • 2015
  • 높은 성능의 의미역 인식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대상 도메인에 대한 대량의 수동 태깅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충분한 크기의 의미역 인식용 학습 데이터는 오직 소수의 도메인에서만 존재한다. 소스 도메인의 시스템을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학습 데이터를 가진 다른 도메인에 적용할 경우 한국어 의미역 인식 기술은 15% 정도 성능 하락이 발생한다. 이러한 도메인 변경에서의 성능 하락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 가지 기법을 제시한다. 첫째, 도메인 적응 방법론의 하나인 Prior 모델에 기반하여 개발된 한국어 의미역 인식 시스템을 위한 도메인 적응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둘째, 크기가 작은 타겟 도메인 데이터를 이용할 때 데이터 희귀 문제의 감소를 위해 소스 도메인 데이터 이용시 보다 단순화된 형태소 태그와 구문 태그 자질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뉴스 도메인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위키피디아 도메인에의 적용과 관련하여 다른 연구의 도메인 적응 기술과 우리가 제안한 방법을 비교 실험하였다. 우리의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할 때 더 높은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우리 시스템은 F1-score 64.3% 성능으로서 기존의 다른 도메인 적응 기술들과 비교하여 2.4~3.1% 더 높은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어텐션 모듈과 기하학적 데이터 증강을 통한 X-ray 영상 내 해부학적 랜드마크 검출 성능 향상 (Improved Anatomical Landmark Detection Using Attention Modules and Geometric Data Augmentation in X-ray Images)

  • 이효정;마세리;최장환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55-65
    • /
    • 2022
  • X-ray 두개골 영상에서 주요 해부학적 부위들 간의 거리를 계측하는 것은 진단과 치료 등 임상적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랜드마크를 식별 및 검출하는 자동화 시스템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딥러닝 기반 모델을 과적합 없이 학습 시키기 위해서는 대량의 영상과 라벨링 데이터가 필요하다. 기존에는 숙련된 판독의가 환자의 영상에서 랜드마크를 수동으로 식별하여 라벨링하는 방식으로 계측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계측 방식은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재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화된 라벨링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X-ray 영상에는 광자가 통과하는 경로 상의 여러 인체조직들이 표시되기 때문에 랜드마크 식별이 일반 자연 이미지 또는 삼차원 모달리티 영상에 비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X-ray 영상 내에 대량의 라벨링 데이터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하학적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두개골 내 주요한 16개 랜드마크들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어텐션 기법들의 구현 및 적용을 통해 랜드마크 검출을 위한 최적의 어텐션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두개골 랜드마크들 중 안정적인 검출이 보장되는 마커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마커들은 임상적인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