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phn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팥꽃나무속(팥꽃나무과)의 신종: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 (A new species of Daphne (Thymelaeaceae): D. jejudoensis M. Kim)

  • 이정심;이강협;소순구;최창학;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4-98
    • /
    • 2013
  • 제주도 선흘에서 팥꽃나무속의 신종인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제주백서향은 꽃이 백색이고 잎은 상록성이며 긴 꽃받침 통을 가져 백서향(D. kiusiana)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주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없고 장타원형(점첨두) 잎을 가지며 제주도의 중산간지역에서 자라는 반면에, 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있고 도피침형(급첨두) 잎을 가지며 거제도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서향에서 분리한 신종 포티바이러스(Daphne Mottle Virus)의 동정 (Identification of Daphne Mottle Virus Isolated from Daphne odora, a New Member of the Genus Potyvirus)

  • 박충열;박정안;이부자;박상민;이홍규;김정선;윤영남;서상재;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59-63
    • /
    • 2016
  • 2014년, 국내 4개 지역에서 바이러스와 같은 병징을 보이는 서향 잎에서 신종 potyvirus를 분리하였다. 병징을 보이는 잎에서 추출한 즙액을 DN법(direct negative stain)으로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사상형 형태의 입자가 관찰되었다. RT-PCR 검출 결과 3점의 시료에서 Cucumber mosaic virus와 potyvirus에 대하여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1점의 시료에서는 potyvirus 양성반응을 보였다. HC-Pro, CI, CP 유전자 일부를 BLAST 분석한 결과 각각 Daphne mosaic virus와 76%, 72%, 72%의 높은 뉴클레오티드 상동성을 보였다. 신종 potyvirus는 국부병반을 나타내는 지표식물(붉은명아주)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향에서 신종 potyvirus를 동정하였으며, 본 바이러스를 Daphne mottle virus (DapMoV)로 명명하였다.

Fusarium Wilt of Winter Daphne (Daphne odora Thunb.)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 Kim, Gyoung-Hee;Hur, Jae-Seoun;Choi, Woo-Bong;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02-105
    • /
    • 2005
  • Severe wilt disease epidemic was found on winter daphnes (Daphne odora Thunb.) cultivated in farmers, nurseries in Suncheon, Jeonnam in 2003. Typical symptoms appeared on the leaves of winter daphne as yellowish wilts and turned brown from the lower leaves on the same plant. Severely infected leaves were defoliated, resulting in blight of stems and eventual death of the entire plant. Black decayed vascular tissues were distinctly observed in a wilted plant. Fusarium sp. was isolated from the diseased plants repeatedly and its pathogenicity was confirm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n healthy plant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n potato dextrose agar and carnation leaf aga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fungal growth was around $25{\circ}C$ and the fungal growth was inhibited by metconazole, triflumizole and trifloxystrobin on potato dextrose agar.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wilt disease of winter daphnes caused by F.oxysporum in Korea.

한국산 팥꽃나무과의 비교형태학적 연구 (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hymelaeaceae in Korea)

  • 이재진;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7-221
    • /
    • 2017
  • 한국산 팥꽃나무과 분류군 5속 10종(Daphne속 5종, Diarthron속 1종, Edgeworthia속 1종, Stellera속 1종 및 Wikstroemia속 2종)에 대해 비교형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야외 조사와 국내외 주요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을 이용하여 팥꽃나무의 주요 형태형질을 정의하고, 변이의 폭을 파악하여, 각 분류군의 한계를 설정하고 유연관계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팥꽃나무과 분류군들은 형태형질에 의해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팥꽃나무속의 경우 한국산 분류군만 고려하면 산닥나무속과 쉽게 구분되었으나, 팥꽃나무(D. genkwa)는 잎의 배열과 털의 분포 및 자방의 형태에 있어서 산닥나무속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Daphne group에 대해 보다 많은 분류군과 다른 종류의 형질분석을 통하여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hylogenetic position of Daphne genkwa (Thymelaeaceae) inferred from complete chloroplast data

  • YOO, Su-Chang;OH, Sang-Hun;PARK, Jongs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75
    • /
    • 2021
  • Daphne genkwa (Thymelaeaceae) is a small deciduous shrub widely cultivated as an ornamental.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this species is presented here. The genome is 132,741 bp long and has four subregions: 85,668 bp of large single-copy and 28,365 bp of small single-copy regions are separated by 9,354 bp of inverted repeat regions with 107 genes (71 protein-coding genes, four rRNAs, and 31 tRNAs) and one pseudogene. The phylogenetic tree shows that D. genkwa is nested within Wikstroemia and is not closely related to other species of Daphne, suggesting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pecies of Wikstroemia.

Grow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tive Habitats in Korea

  • Lee, Da-Hyun;Son, Ho-Jun;Park, Sung-Hyuk;Kim, Se-Chang;Park, Wan-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31-40
    • /
    • 2019
  •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is an endangered deciduous shrub distributed in mountain areas that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habitat in Korea in order to help with management decisions on ecosystem restoration. Rock exposure was 15 to 35%, with an average of 24%. The native habitat of D. pseudomezereum included 129 taxa consisting of 46 families and 95 genera. Two-way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habitat into three plant communities: Community I (dominaterd by Tilia amurensis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I (dominaterd by Fraxinus rhynchophyll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ommunity III (dominaterd by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e diversity indices for Communities I, II, and III were 1.124, 1.047 and 0.932, respectively. The soils were loam or clay loam.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and available phosphoric acid were 5.40, 14.38%, and 31.08 ppm, respectively. Ordination analysis resulted that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D. pseudomezereum distribution were magnesium content of soil, shrub layer, and altitude.

멸종위기종 두메닥나무(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의 줄기 기내배양을 통한 식물체 생산 (Propagation of Endangered Species,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via in vitro Bud Culture)

  • 추예린;박상희;정은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89-194
    • /
    • 2020
  • 두메닥나무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는 강원도, 전라북도, 경상도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한국 자생종이다. 최근 자생지가 축소되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두메닥나무의 추출물은 화장품 등에 유용한 소재로 이용되나 식물체의 번식 효율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두메닥나무의 유전자원 보존과 생물소재로 활용을 위해 대량증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온실에서 자란 두메닥나무의 액아를 포함한 줄기절편을 생장이 우수했던 WPM 배지를 기본 조성으로 하여 BA와 GA3를 혼용 처리한 4가지 배지에서 기내줄기의 정단의 유무에 따른 줄기생장과 신초유도를 비교하였다. 두메닥나무는 정아가 포함된 절편체는 BA 8μM + GA38μM 조성에서 줄기생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정아가 존재하지 않을 때 BA 8μM + GA38μM 조성에서 신초유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발근유도는 NAA 1μM, NAA 5μM, NAA 10μM 조성 모두 발근이 발생하지 않은 대신 잎과 줄기가 생장하여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희귀식물인 백서향의 녹지삽목을 통한 증식 (Propagation of a Rare Variety Daphne kiusiana Miq. In Korea Through Softwood Cuttings)

  • 노나영;송은영;김성철;고호철;이석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6-250
    • /
    • 2010
  • 본 실험은 희귀 자생식물인 백서향의 삽목 증식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백서향은 남부지방 해변의 산기슭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가 아주 뛰어난 식물이다. 자웅이주식물로 국내에는 대부분 수나무가 많아 채종이 어려워 종자번식이 힘든 상황이므로 삽목 방법을 통해 증식을 시도하였다. 백서향의 삽목에 적합한 토양을 찾기 위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 모래로 4 처리를 수행한 결과, 발근율은 각각 86.7%, 95%, 75%, 95%로 나타났다. 온도를 달리히여 3처리로 삽목을 하였더니 발근율과 뿌리길이의 생육을 살펴볼 때 $27^{\circ}C$에서 생육이 우수하였다. 시기별로 6월 19일, 7월 19일, 8월 19일에 삽목한 결과 생존율, 발근율은 통계적으로 오차 범위 내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하였고, 그 중 7월 삽목의 뿌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백서향의 삽목증식은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를 혼용하여 7월에 삽수를 채취하고 생육기간 중 온도를 $27^{\circ}C$로 관리히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hytophthora nicotianae에 의한 서향 역병 (Phytophthora Blight on Daphne odora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 권진혁;지형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72-76
    • /
    • 2005
  • 2002년에서 2003년까지 경상남도 사천시 와룡산 기슭의 서향 재배포장에서 Phytophthora nicotianae에 의한 서향 역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이 황화되면서 떨어지고 줄기 및 지제부워가 암갈색의 수침상으로 갈변되어 썩으면서 시들어 말라 죽는다. PDA 배지 상에서 균총은 전형적인 장미꽃 또는 거미집 형태를 나타내었고 균사생육은 느렸다. 유주자낭은 구형 또는 난형이며 많은 양의 후막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23~$56{\times}21$~$34\mu\textrm{m}$ 이었다. 유성생식형은 자웅이주이며, 후막포자는 구형이며 크기는 16~$32\mu\textrm{m}$이었다. 난포자는 비충만형으로 크기는 18~$26\mu\textrm{m}$ 이다. 장정기는 저착이며 구형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25~$30^{\circ}C$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