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rating form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9초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환자의 광치료 임상 시도 (A Clinical Trial of Light Therapy on Patients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조숙행;김진세;김승현;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46-51
    • /
    • 1999
  • 목 적 : 광치료는 계절성 기분장애, 약간의 비계절성 주요 우울장애 및 월경전우울증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일중주기리듬의 장애가 병인론으로 제시되고 있는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에 대한 광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광치료의 임상시도를 하였다. 방 법 : DSM-IV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진단기준에 충족되는 4명의 환자에서 광박스(light box,Apolo bright lite III)를 이용한 저녁 광치료(6:30-8:00pm) 시도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은 광치료 후,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월경전기 증상과 더불어 우울기분과 불안이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임상시도로 연구대상이 적고, 위약 효과의 통제가 없으며, 증상 평가 방법에 있어 어려움 등 한계가 있으나, 이러한 변화는 특히 비정형 우울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두드러졌으며, 신체증상보다는 심리증상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광치료는 월경전불쾌기분 장애 환자의 약물학적 치료에 대안적 방법으로 볼 수 있겠다. 향후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대조 교차연구(아침, 저녁 광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iveness and Safety of Korean Medicine for Trigeminal Neuralgia: A Case Report

  • Bae, Ji Min;Kim, Dae Hun;Lee, Byung Ryul;Yang, Gi Yo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59-66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Korean medicine with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TN). Methods : A 73-year-old man who had suffered from severe facial pain for one year and who had had a healthy tooth extracted due to the pain is reported. He could not eat or sleep due to the severe pain. Acupuncture,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cupping, herbal steam, and herbal medicines were used for the treatment.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adverse events were checked daily, and other outcomes (Baseline Evaluation, Visual Analogue Scale [VAS], Short Form Health Survey 36-Bodily Pain [SF-36 BP], and Patient Global Assessment [PGA]) were measured at hospital admission and discharge. During the follow-up examinations, his pain was evaluated roughly, without using any formal measurements, on the basis of a global assessment. Results : All measured parameters, including pain, quality of life, and patient satisfaction were noted to have improved at the time of discharge compared to admission: VAS from 10 to 1.5, NRS from 7-8 to 1-2, and SF-36 BP from 0 to 22.5, and the patient's global assessment was somewhat improved. He did not take any analgesics after discharge and noted only mild adverse events, like pain where the acupuncture and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needles were inserted. His pain relief was maintained for 6 months. Conclusion : Korean medicine with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might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TN. In the future, larger sample sizes and high quality randomized clinical trials are warranted to confirm its efficacy and safety.

한의원에서 사용 가능한 정량적인 월경곤란증 평가지표 개발 (A Study for Suggestion of Quantitative Scale for Dysmenorrhea in Clinics)

  • 박정수;박선주;김경훈;김운지;최형심;최한석;최윤경;조정훈;신용철;고성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4-161
    • /
    • 2011
  • Objectives: Oriental Medicine has thousands years of history. But this era, every medical decision should b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at is evidence-based medicine (EBM). This study is to suggest quantitative case report form for dysmenorrhea that can be easily used in clinics. Methods: First, to search published papers in Korea and overseas, OASIS, KISS and NCBI(pubmed) database. Second, to search clinical trials in clinical trial register website, ISRCTN and clinicaltrials.gov. Result: Visual Analogue Scale(VAS) is the most commonly used scale. Conclusion: The main scales for dysmenorrhea are Visual Analogue Scale(VAS), Multidimensional verbal Rating scale(MVRS), pain-killer intake amount and restric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To measur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more than 2 menstrual cycle is recommended.

Functioning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Neck Pain: ICF Concept Based

  • Lee, HaeJung;Song, JuM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4호
    • /
    • pp.242-24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functioning level and quality of life (QoL) of people with non-specific neck pain and neck pain with radiculopathy using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functional rating index (FRI), and short form of health survey 36 (SF-36) and each of linked lCF code lists of those scales. Methods: Each item of the NDI, FRI, and SF-36 were linked conceptually to the ICF code, and the lCF code lists of those scales were produced as iNDI, iFRI, and iSF-36, respectively. Seventy-nine patients with neck pain filled the instruments and its linked ICF code lis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diagnosis, non-specific neck pain (Group1), and neck pain with radiculopathy (Group2). A group comparison was perform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scale and the linked ICF code list. Results: The participants in Group 2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in their daily activities than those in Group 2 when examined in NDI and FRI (p<0.05). This result was also found consistently in the ICF code lists, iNDI and iFRI (p=0.05). On the other hand, the QoL did not show a difference between groups (p=0.06).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instruments and linked ICF code lists: NDI and iNDI (r=0.90), FRI and iFRI (r=0.91), and SF-36 and iSF-36 (r=-0.6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cept of each item in NDI and FRI could be linked to the ICF codes when examining patients with neck pain, but the items of SF-36 were found to be linked and expressed in ICF.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Impairment, Activity and Participation-based Clinical Outcome Measures in 200 Low Back Pain

  • Chanhee Park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6-143
    • /
    • 2023
  •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 crea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rious disorders. Objects: Our research purpose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domain variables of the ICF and pain, pain-associated dis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LBP). Methods: Two-hundred patients with chronic LBP (mean age: 35.5 ± 8.8 years, females, n = 40) were recruited from hospital and community settings. We evaluated the body structure/function domain variable using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and Roland-Morris disability (RMD)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activity domain variable, we use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Quebec Back Pain Disability Scale (QBDS). For clinical outcome measures, we used Short-form 12 (SF-12).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p < 0.05). All the participants with LBP received 30 minutes of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3 days/week for 4 week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body structure/function domain (NPRS and RMD questionnaire), activity domain (ODI and QBDS), and participation domain variables (SF-12), rending from pre-intervention (r = -0.723 to 0.783) and postintervention (r = -0.742 to 0.757, p < 0.05). Conclusion: The identification of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domain variables point to important relationships between pain, disability, performance of ADL, and quality in participants with LBP.

산림화재예측(山林火災豫測) Model의 개발(開發)을 위(爲)한 연구(硏究) (Developing Fire-Danger Rating Model)

  • 한상열;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57-264
    • /
    • 1991
  • 우리나라는 1980년대초 산림녹화(山林綠化)를 달성하고, 본격적인 산림자원조성시대(山林資源造成時代)로 진입하게 되었다. 산지자원화(山地資源化)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근 대형화고 있는 산림화재(山林火災)에 대한 과학적인 관리체계수립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산림화재(山林火災)의 원인을 기상요인(氣象要因)과 인위적(人爲的) 요인(要因)으로 대별하여 산림화재(山林火災) 발생위험(發生危險)을 예측할 수 있는 Model을 개발하므로써 산림화재(山林火災)의 조기발견(早期發見) 및 진화(鎭火)를 가능케 하고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진화장비(鎭火裝備) 및 진화인원(鎭火人員)을 사전에 배치하는 등, 과학적인 산림화재방지(山林火災防止)의 이론적(理論的) 기초(基礎)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 기상인자(氣象因子)를 이용한 산화위험율추정(山火危險率推定)은 선형확율(線形確率)모델(LPM)을 기초로 하여 여러 시계열 기상인자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고 산화발생의 유무(有無)를 종속변수(從屬變數)로 한 WLS분석(分析)을 수행하여 확률모델화 하였다. (2) 인위적요인(人爲的要因)에 의한 산화위험율추정(山火危險率推定)은 산화발생건수를 이용하여 각(各) 시(市) 군별(郡別) 잠재위험등급(潛在危險等級)을 산정하고, 산화발생사례를 원인별로 규명하여 각 원인들이 전체 산화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각 원인별로 산화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위험등급을 매겨 당일(當日) 산화위험지수(山火危險指數)를 작성해서, 잠재위험등급(潛在危險等級)과 당일산화지수(當日山火指數)를 조합(組合)하여 인위적(人爲的)인 요인(要因)에 의한 산화위험을 지수화(指數化)하였다. (3) 앞의 기상요인(氣象要因)에 의한 산화위험(山火危險) Model에 지난 8년간의 기상자료를 대입하여 얻은 확률들을 기준으로 위험수준을 일정구분하여, 이를 인위적(人爲的)인 요인(要因)에 의한 산화발생지수(山火發生指數)와 조합하여 최종(最終) 산화발생위험지수(山火發生危險指數)를 작성하였다.

  • PDF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Changes and Degree of Stress Perception)

  • 김회경;조숙행;신동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61-71
    • /
    • 199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 PDF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 정경원;박무인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TN DBS of Advanced Parkinson's Disease Experienced in a Specialized Monitoring Unit with a Prospective Protocol

  • Lee, Ji-Yeoun;Han, Jung-Ho;Kim, Han-Joon;Jeon, Beom-Seok;Kim, Dong-Gyu;Paek, Sun-H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1호
    • /
    • pp.26-35
    • /
    • 2008
  • Objective : I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most neurologists only see their patients during a limited period of their fluctuating 24-hour-a-day l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hort-term outcome of STN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advanced PD evaluated in a 24-hour monitoring unit for movement disorder (MUMD) using a prospective protocol. Methods : Forty-two patients with advanced PD consecutively treated with bilateral STN stimulation using multi-channel microelectrode record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a 24-hour MUMD with a video recording/editing system and were evaluated with a prospective protocol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Hoehn and Yahr Staging,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vodopa equivalent daily dose (LEDD), Short Form-36 Health Survey,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of the brain were performed prior to and six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 All patients were evaluated at three and six months after surgery. There was a rapid a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motor symptoms, especially in tremor and rigidity, after STN stimulation with low morbidity. Dyskinesia was markedly decreased with much lowered LEDD values by 50% after STN stimulation. 1.5T MR images were safely take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guidelines at six months after surgery without any adverse effects in 41 patients treated with STN stimulations. Conclusion : Evaluations in a 24-hour monitoring unit could reduce the dose of medication efficiently to an optimal level with patients' comfort and improve the clinical symptoms in harmony with STN stimulation.

하지 절단 환자의 환상통에 대한 한방 치험1례 (A Case Report on a Phantom Limb Pain Patient after Below Knee Amputation us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 서형범;배고은;최진용;서희정;심소현;한창우;김소연;최준용;박성하;윤영주;홍진우;권정남;이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306-131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 of a 49-year-old Korean female with phantom limb pain after below right knee amputation and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calp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We executed a numerical rating scale (NRS), conducted a global assessment (G/A), administrated a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2 (SF-MPQ-2) and measured total daily sleep time to evaluate symptom improvement. Results: The patient's G/A scores decreased from 10 to 2 and SF-MPQ-2 points decreased from 20 to 6 after treatment. The total daily sleep time did not changed due to anxiet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in treating phantom limb pain after amput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