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 Jung, Kyou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Moo 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정경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무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18.12.25

Abstract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Pasricha PJ, Yates KP, Sarosiek I, et al. Aprepitant has mixed effects on nausea and reduces other symptoms in patients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18;154:65-76.e11. https://doi.org/10.1053/j.gastro.2017.08.033
  2. Parkman HP, Hasler WL, Fisher RS,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technical review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paresis. Gastroenterology 2004;127:1592-1622. https://doi.org/10.1053/j.gastro.2004.09.055
  3. Stanghellini V, Tack J. Gastroparesis: separate entity or just a part of dyspepsia? Gut 2014;63:1972-1978. https://doi.org/10.1136/gutjnl-2013-306084
  4. Pasricha PJ, Yates KP, Nguyen L, et al. Outcom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duced symptoms in patients with gastroparesis. Gastroenterology 2015;149:1762-1774.e4. https://doi.org/10.1053/j.gastro.2015.08.008
  5. Hornby PJ. Central neurocircuitry associated with emesis. Am J Med 2001;111 Suppl 8A:106S-112S. https://doi.org/10.1016/S0002-9343(01)00849-X
  6. Stapleton J, Wo JM. Current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gastroparesis: antiemetics, prokinetics, tricyclics. Gastrointest Endosc Clin N Am 2009;19:57-72, vi. https://doi.org/10.1016/j.giec.2008.12.008
  7. Acosta A, Camilleri M. Prokinetics in gastroparesi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15;44:97-111. https://doi.org/10.1016/j.gtc.2014.11.008
  8. Lacy BE, Parkman HP, Camilleri M. Chronic nausea and vomiting: evaluation and treatment. Am J Gastroenterol 2018;113:647-659. https://doi.org/10.1038/s41395-018-0039-2
  9. Camilleri M, Parkman HP, Shafi MA, Abell TL, Gerson L,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Clinical guideline: management of gastroparesis. Am J Gastroenterol 2013;108:18-37; quiz 38. https://doi.org/10.1038/ajg.2012.373
  10. Camilleri M. Novel diet, drugs, and gastric interventions for gastropare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6;14:1072-1080. https://doi.org/10.1016/j.cgh.2015.12.033
  11. Parkman HP, Carlson MR, Gonyer D. Metoclopramide nasal spray reduces symptoms of gastroparesis in women, but not men, with diabetes: results of a phase 2B randomized study.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5;13:1256-1263.e1. https://doi.org/10.1016/j.cgh.2014.12.030
  12. Coulie B, Tack J, Peeters T, Janssens J. Involvement of two different pathways in the motor effects of erythromycin on the gastric antrum in humans. Gut 1998;43:395-400. https://doi.org/10.1136/gut.43.3.395
  13. Larson JM, Tavakkoli A, Drane WE, Toskes PP, Moshiree B. Advantages of azithromycin over erythromycin in improving the gastric emptying half-time in adult patients with gastroparesis.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0;16:407-413. https://doi.org/10.5056/jnm.2010.16.4.407
  14. Tack J, Camilleri M. New developments in the treatment of gastroparesis and functional dyspepsia. Curr Opin Pharmacol 2018;43:111-117. https://doi.org/10.1016/j.coph.2018.08.015
  15. Carbone F, Rotondo A, Andrews CN, et al. 1077 a controlled cross-over trial shows benefit of prucalopride for symptom control and gastric emptying enhancement in idiopathic gastroparesis. Gastroenterology 2016;150:S213-S214.
  16. Camilleri M, Acosta A. Emerging treatments in neurogastroenterology: relamorelin: a novel gastrocolokinetic synthetic ghrelin agonist. Neurogastroenterol Motil 2015;27:324-332. https://doi.org/10.1111/nmo.12490
  17. Camilleri M, McCallum RW, Tack J, Spence SC, Gottesdiener K, Fiedorek FT. Efficacy and safety of relamorelin in diabetics with symptoms of gastroparesi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Gastroenterology 2017;153:1240-1250.e2. https://doi.org/10.1053/j.gastro.2017.07.035
  18. Sanger GJ, Pasricha PJ. Investigational drug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gastroparesis. Expert Opin Investig Drugs 2017;26:331-342. https://doi.org/10.1080/13543784.2017.1288214
  19. Abell T, Lou J, Tabbaa M, Batista O, Malinowski S, Al-Juburi A. Gastric electrical stimulation for gastroparesis improves nutritional parameters at short, intermediate, and long-term follow-up.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03;27:277-281. https://doi.org/10.1177/0148607103027004277
  20. Rojas C, Raje M, Tsukamoto T, Slusher BS. Molecular mechanisms of 5-HT(3) and NK(1) receptor antagonists in prevention of emesis. Eur J Pharmacol 2014;722:26-37. https://doi.org/10.1016/j.ejphar.2013.08.049
  21. Yokoe T, Hayashida T, Nagayama A, et al. Effectiveness of antiemetic regimens for highly emetogenic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Oncologist 2018 Oct 17. [Epub ahead of print]
  22. Singh PM, Borle A, Rewari V, et al. Aprepitant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ostgrad Med J 2016;92:87-98. https://doi.org/10.1136/postgradmedj-2015-133515
  23. Fahler J, Wall GC, Leman BI. Gastroparesis-associated refractory nausea treated with aprepitant. Ann Pharmacother 2012;46:e38.
  24. Fountoulakis N, Dunn J, Thomas S, Karalliedde J. Successful management of refractory diabetic gastroparesis with long-term aprepitant treatment. Diabet Med 2017;34:1483-1486. https://doi.org/10.1111/dme.13413
  25. Jacobse J, Mensink H, van der Stoep-Yap MYEC, Kollen WJW, Bresters D, Bredius RGM. Long-term aprepitant for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gastroparesis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 2018;53:1372-1374. https://doi.org/10.1038/s41409-018-0231-4
  26. Chong K, Dhatariya K. A case of severe, refractory diabetic gastroparesis managed by prolonged use of aprepitant. Nat Rev Endocrinol 2009;5:285-288. https://doi.org/10.1038/nrendo.20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