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maxima temperatur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일일 최고기온의 변화에 대한 추정 (Estimation for the Change of Daily Maxima Temperature)

  • 고왕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
    • /
    • 2007
  • 한국의 네 개 도시(서울, 대구, 춘천, 영천)의 일일 최고기온을 모형화하여, 이에 적합한 분포를 제안하고 분포의 적합성을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검토하였다. 제안된 분포는 극단간 분포의 일종이며, 적합성 검토는 카이제곱 적합도 검정, Q-Q plot,확률 그림과 5000번의 모의실험을 통하여 허용한계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극단간 분포(Extreme Value Distribution)가 일일 최고기온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에서 나타난 실제 데이터의 그림은 서울의 1월과 6월을 중심으로 하였고, 대상지역의 2006년과 100년 후 2105년의 평균기온과, 제 안된 극단값 분포에 의해 95% 신뢰구간하에서 일일 최고기온의 평균 상한값을 예측하였다.

우리나라 주요측후소의 연최극 일강수량 기온 및 기압의 빈도분포 (Frequency Distribution of Annual Maximum Daily Rainfall, Temperature and Pressure at Major Meteorological Stations in South Korea)

  • 최병호
    • 물과 미래
    • /
    • 제17권2호
    • /
    • pp.99-106
    • /
    • 1984
  • 우리나라의 12개 주요측후소-서울, 인천, 전주, 광주, 목포, 제주, 여수, 대구, 부산, 포항, 마산, 울릉도의 이용가능한 년최극 일강수량, 기온 및 기압관측치로부터 최극치의 빈도분포를 추정하였다. 첫 단계로 Jenkinson방법에 의한 극치확률을 추정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추정결과는 재현년수에 대한 각 측후소의 일강수량, 기온 및 기압을 제시하는 그래프형태로서 제시되었으며 빈도분포형태가 토의되었다.

  • PDF

군산항의 평균 열속 (Mean Heat Flux at Gunsan Harbor)

  • 최용규;조영조;최옥인;양원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35-540
    • /
    • 2003
  • Based on the monthly weather report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fro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l) (1991-2001), mean heat fluxes were estimated at the Gunsan harbor Net heat flux was transported from the air to the sea surface during March to early September, and it amounts to $125\;Wm^{-2}$ in average daily during May to June. During the middle of September to February, the transfer of net heat flux was conversed from the sea surface to the air with $-125\;Wm^{-2}$ in mininum value in October. Short wave radiation was ranged from 50 to $248\;Wm^{-2}$ showing maxima in April to June. Long wave radiation was ranged from 25 to $92\;Wm^{-2}$ with mininum value in June to July. Sensible heat flux denoting negative values in April to August was ranged from -30 to $72\;Wm^{-2}.$ Latent heat flux was ranged from 15 to $82\;Wm^{-2}$ with maxima in August to September. The phase of heat exchange wa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in the end of February, and from heating to cooling In the beginning of September. The advective term of heat flux showed minima in April to June and maxima in November. The ratio of temperature variations was 1.37 in the sea surface process and the horizontal process by advection. This indicates that the main factor in variation of temperature at Gunsan harbor is the heat exchange process through the sea surface from the air.

우리나라의 오존도 변화 추이와 주요 인자 (Trends and Factors of Ozone Concentration Variations in Korea)

  • 김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07-623
    • /
    • 2000
  • Major trends of ozone concentration vari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by using observation data from around 100 stations for the period of 1991∼1997. In addition, important regulating those variations were inferred. Three measures such as the number of days exceeding 80ppb, the 95th percentile of daily maxima, and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multi-scale ozone concentration variations. Three areas in the southwest (Sosan, Mokpo, and Cheju) of which monitoring has been operated since 1995 showed the highest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ver; this was noted because of the high annual average in the Yosu area in the early 1990s. Large increases in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long the relatively cleaner areas connecting Kangnung and Kwangju(northeast to southwest), in contrast to polluted areas connecting Seoul and Pusan(northeast to southeast). Both the number of exceedance days and the daily maximum concentration were nearly constant in the Greater Seoul Area in spite of interannual flucturations associated with year-to-year changes in air temperature. Within the Greater Seoul Area, all three measures usually showed the same trend; they decreased in the middle and west and increased in the east and northeast. All three measures including the number of exceedance days increased largely at Sillim where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high but no exceedance days were recorded in the early 1999s, Nationwide ozone concentration variations appear to be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 influence of long-range transport and local urban emissions, Within the city including the Greater Seoul Area, changes in emission which accompany changes in population and in the number if vehicles (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were found to be important components of ozone concentration variations.

  • PDF

비육후기 사료에서 비타민-미량광물질 첨가제의 제거가 돼지의 성장 능력, 근육 내 비타민 E 및 분 중 미량광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etion of Supplementary Vitamins and Trace Minerals on Performance, Muscle Vitamin E and Fecal Trace Mineral Contents in Finishing Pigs)

  • 이승철;이종언;김규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43-550
    • /
    • 2003
  • 비육후기 사료에서 비타민-미량광물질 첨가제의 제거가 돼지의 성장, 사료효율, 혈 중 헤모글로빈 농도, 돈육 내 비타민 E 및 분 중 미량광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육환경이 서로 다른 돈사에서 두 번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시험 1에서는 45두의 비육돈 (평균체중 70 kg, 3원교잡종)을 돈방 당 5두씩 배치하고, 대조구 (비타민-미량광물질 프리믹스 첨가), 프리믹스 50% 및 0% 첨가구에 각각 3돈방을 배치하여 환기와 온도가 제어되지 않는 재래식 톱밥돈사에서 7주동안 사양한 후 도축하였다. 시험 2에서는 돈사 환기 및 온도가 자동 조절되는 슬러리 무창돈사에서 36두의 요크셔 비육돈 (평균체중 56 kg)을 돈방 당 4두씩 배치, 대조구(비타민-미량광물질 프리믹스 첨가), 프리믹스 0% 및 프리믹스 0%+비타민 E(100 mg $\alpha$-tocopherol acetate/kg) 첨가구에 각각 3돈방을 배치하여 7주 동안 사양 후 도축하였다. 두 시험에서 처리 간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및 도체특성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시험 2에서는 대조구의 일당증체량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프리믹스의 미 첨가는 헤모글로빈 함량이나 적혈구 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분 중 Mn과 Zn 함량은 대조구에서 프리믹스를 첨가하지 않은 다른 처리에서 보다 매우 높게 (P<0.01) 나타났다. 혈 중 미량광물질 함량은 처리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햄 근육 (gluteus maxima) 내 $\alpha$-tocopherol 함량은 프리믹스를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감소하였으나 (P〈 0.01), 도살 전 2주 동안 $\alpha$-tocopheryl acetate(100mg/kg diet)를 급여함으로써 프리믹스 첨가구보다도 더 증가하였다 (P< 0.01). 본 연구결과 돼지 비육후기 사료에 비타민-미량광물질 프리믹스의 첨가는 성장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분 중 일부 미량광물질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과 토양오염의 위험이 있음을 말해 준다. 프리믹스 제거로 인한 고기 내 비티민 E 함량의 감소는 마지막 2주동안 $\alpha$-tocopherol 를 첨가 급여함으로써 회복될 수 있다.

한국 동해에서의 해면기압, 해수면온도와 해상풍의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of Surface Pressur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Winds over the East Sea of the Korea (Japan Sea))

  • 나정열;한상규;서장원;노의근;강인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8-20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동해에서의 바람장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해면기압과 해상풍 자료에 EOF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모드별로 고유함수의 공간적인 분포특성과 시간계수를 계산하였고 시간계수의 스펙트럼을 구하여 바람장의 공간 및 시간변동성 및 주기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평균기압의 분포는 서고동저형의 등압선 배치를 나타내며, 기압의 최대 표준 편차는 블라디보스톡 부근에 위치하고 일본연안으로 갈수록 최저 표준편차를 갖는다. 블라디보스톡 부근은 $6.5^{\circ}C$의 해수면 온도의 최대 표준편차를 갖는 지역이기도 하다. 동서성분 해상풍의 제1모드는 분산의 $47.3\%$ 제2모드는 $30\%$를 반영하며 제1모드는 블라디보스톡 해역에서 최대 변화를 보이며 1년 및 6개월의 주기를 갖는다. 특히 제2모드에서 6개월의 주기가 탁월하다. 해상풍의 남북성분의 연평균 분포는 동해전역에서 북풍계열의 바람이 탁월하며, 특히 블라디보스톡 부근에서 최대 2.2m/s 이상의 북풍이 존재하고 3.8m/s의 표준편차 최대치가 존재하며 시간변동이 크다. 해수면 수온의 공간분포 역시 블라디보스톡 해역에서 최대치가 나타난다. 해상풍과 해면 기압의 결합 직교함수의 모드별 특성은 개별 직교함수에 비해 동서성분 해상풍의 제1모드의 기여도가 증가 하였으며, 제2모드의 기여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띤다. 이로 인해 동서성분 해상풍과 해면기압의 결합 직교함수 (WU-PR)의 주기성은 해면 기압의 영향으로 제1모드에서는 1년 및 6개월의 주기가 탁월하며, 제2모드에서는 3개월의 계절변화로 해상풍의 개별 직교함수의 주기와 다르게 나타난다. 해수면 온도의 직교함수까지 포함한 3개의 결합 직교함수의 EOF분석에서는 제2모드에서 해상풍의 공간분포는 해수면 온도에 좌우되는 양상을 보인다.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제1모드에서 1년 주기가 탁월하며 제2모드는 3개월 및 4개월의 계절변화가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