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deok innopoli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7초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점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창업기업 사례 연구 (대덕R&D특구 내 IT기술기반 창업기업 적용사례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usiness Model Planting & Check Framework for Starts-Up Entrepreneur)

  • 서진원;민경세
    • 벤처창업연구
    • /
    • 제3권1호
    • /
    • pp.73-103
    • /
    • 2008
  • 본 논문은 성공적인 기업창업과 성장을 위한 핵심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의 수립방법에 관한 연구로써 창업 성공도를 높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창출 방법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더하여 창업 성공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창업초기단계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뿐만 아니라 사업추진과정에서 지속적인 보완과정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꾸준한 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명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점검 할 수 있는 비스니스 모델 수립 방법과 진단리스트를 개발하고 사례에 적용하여 개발된 비즈니스 모델 수립과 점검 방법의 효용성을 알아보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지금까지 비즈니스 모델과 연관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비즈니스모델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재정립하여 비즈니스 모델이 갖추어야 하는 이상적인 모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시된 사항을 토대로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 수립과 진화를 위한 진단리스트를 개발 제시하였다. 셋째, 개발된 IT기술기반 창업기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점검 방법을 창업기업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사례적용 기업은 대덕연구개발 특구 내 IT기업으로 당초 이 기업이 가지고 있던 비즈니스 모델에 진단리스트를 적용하여 수정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창출된 진화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여 진단리스트 적용 전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점검 방법은 예비창업자와 초기성장단계에 있는 창업자들이 쉽게 이용 가능한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성공적인 경영을 위하여 기업 내 외의 어떤 요소를 파악하여야 하며 요소들을 어떻게 적용하여야 하는지도 비즈니스 모델과 연관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학문적 이론 정립, 인터넷 비즈니스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 그리고 창업자들이 활용하기에는 너무 어렵고 복잡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본 연구의 창업기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점검 방법은 기존 기업과 같이 조건과 기업정보를 갖고 있지 못한 창업기업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실업문제와 다음세대를 위한 차세대 성장 동력 발굴이 절실한 현재, 국가적 차원의 창업 장려정책은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IMF이후에 펼쳐왔던 양적인 창업 장려와 기업육성정책에서 벗어나 창업성공률을 높이는 질적인 면으로 정책방향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점검을 위한 방법들을 성공 창업기업 육성을 위해 적극 활용한다면 질적 향상을 위한 창업정책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혁신과 창업을 위한 대전의 과학기술정책과 산학협력 (STI POLICY AND ACADEMY-INDUSTRY COOPERATION FOR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IN DAEJEON, KOREA)

  • 이원일;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전의 혁신과 창업을 위한 과학기술정책과 산학협력방안에 대해서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대전의 기술혁신시스템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대전의 과학기술시스템은 지역과 중앙의 과학기술혁신거버넌스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정부출연연구소, 민간연구소, 지역의 벤처/중소기업, 대학 및 관련지원기관인 대전테크노파크, 대전벤처협회 등 지원기관이 구축되어있다. 이를 기반으로 한 혁신클러스터로서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새로운 기초과학 중심의 혁신클러스터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있다. 대전의 과학기술정책은 지역수준에서 중앙과 지역정책의 조화를 이루는 과학기술정책의 비전을 바탕으로 주요 혁신클러스터 육성, 대전지역의 전략산업육성, 신선장동력으로 IT, BT, NT 융복합 산업의 육성, 벤처기업의 단계별 육성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정책의 기본 방향 하에 대전지역의 혁신과 창업을 위한 과학기술정책과 산학협력활성화 전략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과 지역의 조화를 고려하여 지역수준의 예측을 기반으로 과학기술정책 추진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과학기술 및 벤처생태계를 고려한 글로벌 혁신클러스터 육성이다. 대전지역을 대덕연구개발특구이외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양대축으로 하여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의 중심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셋째, 세종시 및 수도권 등 광역권 산학협력 강화 추진하는 것이다.

  • PDF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및 성별과 직종의 조절효과: 대덕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Occupation in Dae-deok Venture Enterprises)

  • 김정석;안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77-86
    • /
    • 2012
  • 자발적 이직은 숙련된 인력이 조직을 이탈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비용을 초래하며, 잔류 종업원들에게도 조직몰입도를 낮추는 등의 부정적 측면이 있다. 특히 벤처기업의 경우 인력유출은 기술유출은 물론 기술인력의 네트워크를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덕특구에 입지한 벤처기업 종사자들로부터 회수한 458부의 설문을 바탕으로 조직몰과 자발적 이직의 관계 및 성별과 직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몰입, 근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정서적 몰입과 근속적 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규범적 몰입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구성원들이 회사에 대하여 높은 충성심과 애사심이나 귀속감을 갖게 될 때 전직이나 이직에 대한 의도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서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여성에 비하여 남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는 정서적 몰입이 증가할 때 이직의도는 감소하는데 여성에 비하여 남성의 경우에서 이직의도의 감소효과가 큼을 의미한다. 그리고 근속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연구개발직에 비하여 사무관리직이 크다는 것이다. 즉 근속적 몰입이 증가할 때 이직의도는 감소하는데 상대적으로 사무관리직에서 이직의도가 크게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자와 인사담당자는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상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제고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능력주의 인사제도의 도입과 잦은 구조조정은 구성원들의 단기적 능력과 성과제고에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직몰입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자발적 이직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PDF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유형 현황 및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Type and Determinants of SM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Daejeon)

  • 김민석;안기돈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175-189
    • /
    • 2020
  • 대전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대덕특구의 연구개발역량을 기반으로 기업들의 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로 기술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전 기업의 92.8%가 10명 미만의 중소·벤처기업이고, 인구당 벤처기업 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대전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이 매우 중요하다. 기술혁신 유형은 크게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분되는데, 기존 연구에 의하면 벤처기업은 공정혁신보다는 제품혁신을 더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전 중소·벤처기업 역시 공정혁신보다는 제품혁신을 통한 성과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술혁신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제품혁신의 경우 기업규모, R&D 투자자금과 R&D 인력 등이 기술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R&D 인력은 기존제품의 기술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공정혁신의 기술혁신은 R&D 투자자금과 기업업력에 의해서만 정(+)의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결과는 대전 기업지원정책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기술혁신 유형별 지원에 초점을 맞추며 R&D 투자와 인력 지원에 집중하는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최고경영진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이 정부의 R&D 지원제도 활용과 초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 (Top Management's Human and Social Capital Effect on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Utilization and Success)

  • 김제금;황희중;송인암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6호
    • /
    • pp.71-78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whether or not there are characteristics among the top management of companies that promote corporate performance at venture companies. It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and social capital that are inherent in top management at a venture company and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hypotheses examining if these characteristics will affect utilization of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as well as affect the firm's initial succ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ogeth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study. The pilot study researched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as the parameter; and, the initial succ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empirical study carried out research on the model, establishment of hypotheses, and the statistical treatment.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p management of high-tech venture companies in Daedeok Innopolis;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22 were collected. Results - The human and social capital inherent in top management at venture companie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existence become good evaluation data for those who are invested in similar resources. If top management includes strong human and social capital,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will be easier; these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overnmental support systems; and, this proper support will als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itial success of the venture company.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when the educational level and functional background, (the top management human capital), are the output function, top management human capita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ection of governmental R&D support fund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social capital and external social capital, (the top management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ection of governmental R&D support tasks. Third, it was found that selection of the governmental R&D support tasks at the start of the venture compan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sales, business profits, and the increase in workers;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market share, competitive position, product competitiveness, and the future product development. Conclusions - Selection of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is not recognized as part of the direct sales of a venture company in its early stages, but as it can reduce costs for technical development and helps significantly in creating test products and mass production,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s a result. Therefore, companies should take great efforts to frequently be selected as a candidate in the governmental R&D support system, as it can help facilitate R&D that requires extensive funds. As a result, companies can expect effects such as job creation and patent applications and they can advance future product sales.

대전지역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벤처 자금생태계 개선방안 (Financial Ecosystem Development for Venture Capital Activation in Daejeon, Korea)

  • 최종인;백강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39-48
    • /
    • 2018
  • 대전지역은 정부출연연구소, 대덕특구, KAIST 등 우량한 기술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창업을 위한 초기투자 및 성장지원 하부구조가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대전지역의 벤처 자금공급 규모는 다른 혁신 인프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지역 벤처 자금생태계는 어떤 진화 과정을 겪었으며 향후 개선 보완할 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벤처창업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엔젤투자 활성화 및 민간자금 유입을 견인하는 정책금융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투자전문인력의 지역 내 육성을 위해 지역에서 조성한 펀드를 지역 내 기관에 부여하고, 수도권 투자자의 지역 내 정착을 지원하며, 대학에서 투자전문가 양성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 창업보육센터에 액셀러레이터 기능을 추가하고 신규 액셀러레이터를 육성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력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정부의 역할 확대를 위해 펀드조성 및 공무원의 개방혁신 마인드, 중앙정부와의 효과적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다섯째, 우수인력 유입, 기술탈취 방지, 재도전 환경 개선 등 기본적인 벤처생태계 하부구조를 확충해야 한다. 여섯째,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의 단계별 창업자금 지원정책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고 있는 대전지역 벤처창업 자금생태계의 현황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성장 단계별 부족자금의 형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기존 자금생태계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찾은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하겠다.

수출벤처기업의 동태적 역량이 기술사업화역량, 혁신성과 및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among Dynamic 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 황경연;성을현
    • 무역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9-183
    • /
    • 2016
  • 본 연구는 변동성이 높은 글로벌경영환경에서 수출벤처기업의 동태적 역량, 기술사업화역량, 혁신성과 및 경쟁우위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동태적 역량 관점의 논리와 경쟁우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를 기초로 동태적 역량, 기술사업화역량, 혁신성과 및 경쟁우위간의 관계를 연구가설로 설정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소재하고 있는 수출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03개 응답 자료를 기초로 PLS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동태적 역량은 1차 구성개념인 감지능력, 포착능력, 통합능력 및 조정능력으로 측정된 2차 구성개념이고, 기술사업화역량은 1차 구성개념인 상용화속도, 시장범위 및 기술너비로 측정된 2차 구성개념이다. 실증분석결과에서 수출벤처기업의 동태적 역량은 기술사업화역량, 혁신성과 및 경쟁우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술사업화역량은 혁신성과와 경쟁우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혁신성과는 경쟁우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