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1초

DST-4 와 DCT-4 를 위한 DST-3 기반 비디오 압축 변환 커널 유도 방법 (A DST-3 BASED TRANSFORM KERNEL DERIVATION METHOD FOR DST-4 and DCT-4 IN VIDEO CODING)

  • 산딥 쉬레스따;이범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9-251
    • /
    • 2019
  • In the ongoing standardization of Versatile Video Coding (VVC), DCT-2, DST-7 and DCT-8 are designated as the vital primary transform kernels. Due to the effectiveness of DST-4 and DCT-4 in smaller resolution sequences, DST-4 and DCT-4 transform kernel can also be used as the replacement of the DST-7 and DCT-8 transform kernel respectively. While storing all of those transform kernels, ROM memory storage is considered as the major issue. So, to deal with this scenario, a unified DST-3 based transform kernel derivation method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transform kernels used in this paper is DCT-2, DST-4 and DCT-4 transform kernels. The proposed ROM memory required to store the matrix elements is 1368 bytes each of 8-bit precision.

  • PDF

태양풍 매개변수를 이용한 Dst 예측 (Dst Prediction Based on Solar Wind Parameters)

  • 박윤경;안병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425-438
    • /
    • 2009
  • ACE 위성에서 제공되는 1998년에서 2006년까지 9년간 관측된 양질의 1시간 평균 태양풍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을 재검토했다. 이 기간 동안 60개의 단순 발달형 자기폭풍을 골랐다.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의 에너지 공급항(Q)과 소멸 시간 ($\tau$)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자기폭풍 기간 동안 $Dst^*$$VS_s$, ${\Delta}Dst^*$$VS_s$ 그리고 ${\Delta}Dst^*$$Dst^*$의 상관관계를 구했다. 이 때 ACE 위성으로부터 지구까지 전파 시간(1시간)과 태양풍과 지구 자기권 사이의 지연 시간(0.5시간) 고려했다. 그 결과 $VB_s$ > 0.5mV/m일 때 $Q(nT/h)=-3.56VB_s$이였고, $VB_s\;{\leq}\;0.5mV/m$일 때는 Q(nT/h)=0으로 두었다(Burton et al., 1975) 그리고 $Dst^*$가 -175nT보다 작은 음의 값을 가질 때 $\tau(h)\;=\;0.060Dst^*\;+\;16.65$이고, $Dst^*$가 -175nT보다 큰 음의 값을 가질 때 $\tau(h)\;=\;6.15$로 추정됐다. 이 연구에서 얻은 Q와 $\tau$를 Burton et al.(1975)의 Dst 예측식에 대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60개 자기폭풍을 예측한 결과, 관측된 $Dst^*$와 예측된 $Dst^*$의 상관계수는 0.88이였다. 이를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Burton et al.(1975)과 O'Brien & McPherron(2000a)의 $Dst^*$ 예측 방법을 같은 자기폭풍에 적용한 결과, 관측된 $Dst^*$와 예측된 $Dst^*$의 상관계수는 각각 0.85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보다 다소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Dst^*\;{< \atop \sim}\;-200nT$의 강한 자기폭풍의 예측에 효과적이었다.

Effects of Learner-created Digital Storytelling on Academic Achievement, Creativity, and Flow in Higher Education

  • 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2호
    • /
    • pp.167-1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learner-created DST to communicate academic information on the creativity and flow of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100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either the DST group or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The DST group created digital stories, and the expository group were taught using an expository instructional method. An achievement test, the Creativity Personality Scale (CPS), and the Flow State Scale (FS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hievement scores of the DS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xpository group, and the scores on the patience sub-factor of the CPS of the DST group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Finally, the scores on the seven sub-factors of the FSS of the DST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expository instruction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ST can be appli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 university class.

HPLC를 이용한 축육(Pork Muscle)내의 Dihydrostreptomycin 검출법

  • 최지현;한은영;박진관;이수연;최동미;신호철;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96-203
    • /
    • 2005
  • 축산식품 고기내의 잔류항생물질을 신속하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시험법 개발 을 목적으로 하였다. 축산식품내의 일반적인 잔류항생물질에 대한 지금까지의 분석법으로는 Bioassay법, TLC법, ELISA법, GC법 및 HPLC법 등이 있지만 Streptomycin/Dihydro streptomycin, Neomycin에 대한 HPLC법은 거의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공인 검사법으로는 Bioassay법 및 HPLC법 등이 있지만 그러나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검출감도가 낮은 것이 큰 문제점으로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DST에 대한 HPLC법에 대한 보고한 P. Edder 방법 중에 clean-up과정 및 이동상 조건을 대폭 수정하여 DST의 분리 및 검출감도를 낮추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도체화 장치 Post-Column Derivatization Instrument PCX 5100 (Pickering Laboratories, Inc.)의 컬럼온도는 $40^{\circ}C$, 오븐온도 $55^{\circ}C$, reagent 유속 0.6ml/min mobile phase 유속 0.8ml/min으로 검출기는 형광검출기를 이용하여 DST 검출에 대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때의 분석소요시간은 약 15분이었다. 표준시료 DST의 검량선은 넓은 농도범위(0.02${\sim}$1.0ppm)에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냈다. 본 시험법에 의한 검출한계는 limit of detection (LOD)은 0.02ppm이었으며, 적어도 고기에서의 MRL이 0.6ppm임을 감안하면 DST를 정량적으로 정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상기의 조건하에서 실제시료인 고기에 표준 DST를 1ppm을 spiking한 후 SPE상에서 SCX(Strong cation exchange column)을 통한 clean-up과정을 거친 후의 DST의 limit of quantification(LOQ)는 약 0.47ppm이었으며, 이에 대한 회수율은 97.7%(n= 8)를 나타냈다. 실제 codex에서 권장한 고기의 MRL이 0.6ppm인 점을 감안하면 codex 권고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험법은 지금까지 국내적으로 DST에 대한 시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와 아울러 간편한 parallux와 병용해 DST에 대한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유도체화 장치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해 잔류항생물질 DST에 대한 분석시험법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 PDF

A Formula for Calculating Dst Injection Rate from Solar Wind Parameters

  • Marubashi, K.;Kim, K.H.;Cho, K.S.;Rho, S.L.;Park, Y.D.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36.3-37
    • /
    • 2009
  • This is an attempt to improve a formula to predict variations of geomagnetic storm indices (Dst) from solar wind parameters. A formula which is most widely accepted was given by Burton et al. (1975) over 30 years ago. Their formula is: dDst*/dt = Q(t) - Dst*(t)/$\tau$, where Q(t) is the Dst injection rate given by the convolution of dawn-to-dusk electric field generated by southward solar wind magnetic field and some response function. However, they did not clearly specify the response function. As a result, misunderstanding seems to be prevailing that the injection rate is proportional to the dawn-to-dusk electric fiel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the response function by examining 12 intense geomagnetic storms with minimum Dst < -200 nT for which solar wind data are available.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 we assume the form of response function that is specified by several time constants, so that we can calculate the injection rate Q1(t) from the solar wind data. On the other hand, Burton et al. expression provide the observed injection rate Q2(t) = dDst*/dt + Dst*(t)/$\tau$.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ime constants of response function by a least-squares method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Q1(t) and Q2(t). We have found this simple method successful enough to reproduce the observed Dst variations from the corresponding solar wind data. The present result provides a scheme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Dst 30 minutes to 1 hour in advance by using the real time solar wind data from the ACE spacecraft.

  • PDF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탐색 (Students'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the SSI Instruction Using Digital Storytelling Approaches)

  • 박세희;고연주;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1-1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적용한 SSI 교육프로그램(이하 DST-SSI 수업)을 개발하고, 학생들이 수업의 각 단계에서 인식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해보았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제작하고 전달하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동시에 학습의 결과를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입장에 대한 이해와 타인과의 의견 조율이 요구되는 SSI 교육에 접목되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DST-SSI 수업은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네 가지 주제를 선정한 후 각각의 SSI 주제에 적합한 DST 활동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는 수업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24명이 참여하였다. 4명씩 그룹을 지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각각의 SSI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탐색 및 토의 과정에서 그동안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사회 윤리적 측면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주제를 둘러싼 입장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DST를 사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모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이야기를 전개하고자 다양한 관점을 조율했으며, 실생활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상황을 주제로 하는 등 시청자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감성적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실제 DST를 제작하면서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운드트랙이나 시각효과, 화면 구성 등의 요소를 고려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웹을 통한 디지털 스토리의 공유와 피드백 단계에서는 제작과정에서는 미처 깨닫지 못했던 내용을 확인하는 동시에, 해당 문제와 관련하여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찾아 행동으로 옮겨보는 노력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DCT, DST와 DHT의 고속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Fast Algorithms for the DCT, DST and DHT)

  • 박종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39-253
    • /
    • 1987
  • DCT-III型의 高速處理方法을 다른 型의 DCT-DST 및 DHT의 高速變換에 확대 適用항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고 곱셈 및 덧셈 回數가 기존의 方法보다 작은 高速 알고리즘을 開發하였다. 또한 各各 四種의 DCT, DST 및 DHT의 相互 관계식과 各各에 곰셈回數 및 덧셈回數에 관한 公式이 유도되었다.

  • PDF

대덕연구단지의 발전과정 및 국제비교: - 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 -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aedeok Science Town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 In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Cluster)

  • 임덕순;김왕동;유정화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3-395
    • /
    • 2004
  • In year 2003, the Daedeok Science Town(DST) has celebrated its 30 years of anniversary and achiev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criticism that DST has not played its expected role in Korea's National Innovation System. Recognizing this criticism, the development of DST was evaluated in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cluster. The research shows that DST has been following the downstream path of evolution - from S&T development to business development - and is in the early stage of R&D-driven Innovation Cluster. Not only the development factors of DST innovation cluster were identified but the DST was compared with other internationally recognized innovation cluster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business related functions should receive due attention in innovation cluster policy.

  • PDF

비만 노인 여성에서 저열량식과 근력운동의 병행이 근내지방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Hypocaloric Diet with or without Strength Training on Intermuscular Adipose Tissue Mass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Obese Elderly Women)

  • 김재희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2009
  • The effects of a hypocaloric diet with or without strength training on body fat distribution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obese elderly women were investigated. Twenty-six healthy women (age 66±4.6 yr; body mass index 32.3±2.9 kg/m2)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control (C; n=8), hypocaloric diet (DO; n=9) or hypocaloric diet with strength training (DST; n=9).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visceral adipose tissue (VAT), and inter and intra muscular adipose tissue (IMAT) were measur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cluding total cholesterol (T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nd triglycerides (TG) were measured.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body weight and percent body fat in the C group over the 16-week period. The DO and DST groups lost similar amounts of weight and fat after 16 weeks. SAT and VAT decreased after weight loss in the DO and DST groups but not in the C group. IMA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DO and DST groups, whereas in the C group IMAT increased. The loss in IMAT mass was similar in the DO and DST groups. TC and LDLC decreased in the DO and DST groups but not in the C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DO and DST groups in decrease in TC and LDLC. HDLC decreased in the DO group but not in the C and DST groups. TG tended to decrease in the DST group. In conclusion, body fat distribution including SAT, VAT, and IMAT and serum lipid concentratons were modulated by weight loss resulting from the hypocaloric diet with or without strength training in obese elderly women. Strength training did not enhance the improvement in body fat distribution and serum TC and LDLC concentrations by the hypocaloric diet.

대승기탕의 방론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Daeseunggi-tang)

  • 한상곤;서영배;정기훈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5-211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Daeseunggi-tang(DST) in order to obtain the evidence for clinical applications.Methods and Results : We have analyzed the interpretation on the DST through translations and comparisons based on classic books about the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s.Conclusion : 1. 'Dae(大)' in DST means 'strong symptoms' or 'strong efficacy'. 'Seung(承)' in DST means 'smooth (順)', 'attach(連)' and 'serve(奉)'. 2. The main pathogenesis of DST's syndrome are heat binding(熱結)·qi stagnation(氣滯). 3. The main areas where disease pattern of DST is 'Yang brightness(陽明)'. It is also associated with 'Lesser yin (少陰)', 'Qi aspect(氣分)·Blood aspect(血分)' and 'Triple Energizer(三焦)'. 4. Laxative the Rhei Radix et Rhizoma(大黃) is sovereign medicinal(君藥) of DST, because of removing the heat binding(熱結) and the heat that spread throughout th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