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9초

창출금련탕(蒼朮芩連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es of Changchulgeumryeontang Extract)

  • 원혜련;박혜수;김이화;김용민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2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hangchulgeumryeontang (CCGRT) extract. Methods :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were used and MTT assa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ell viabilities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CCGRT ($25-200{\mu}g/m{\ell}$).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were measured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Expressions of iNOS, $NF-{\kappa}B$, $IL-1{\alpha}$, $IL-1{\beta}$ and IL-6 were also performed by real-time PC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CGRT was measur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ults : 1.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RAW264.7 cells treated with CCGRT compared to the control. 2. CCGRT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hibited NO and $PGE_2$ production compared to the LPS treated group. 3. CCGRT treate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mRNA expressions of iNOS, $NF-{\kappa}B$, $IL-1{\alpha}$, $IL-1{\beta}$ and IL-6 compared to the LPS treated group. 4. CCGTR was found to have high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CCGRT may be a potentional choic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CCGRT may be a potentional choic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

익모초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Antioxidation Action of Lenonuri herba Extract)

  • 김지영;이연희;김주연;노보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196
    • /
    • 2005
  • 익모초(Leonurus sibiricus L)는 한국, 중국, 일본, 아시아 각지에 야생으로 자생하는 2년생 초본으로 꿀풀과(Labiatae) 식물로 높이 1.5${\~}$2m 정도 자란다. 약효로는 부인병의 각종 자궁질환, 활혈, 조경, 이뇨, 소증 효과는 물론 혈변, 혈뇨, 치질, 대${\cdot}$소변 불통 등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그 외에 고혈압, 강심작용, 항암연구도 활발하다. 익모초의 $CHC1_3$ 엑스와 MeOH 엑스를 $H_2O$, $30\%$ MeOH, $60\%$ MeOH, $100\%$ MeOH로 분획하였고, 이 5가지 분획물들에 대하여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방법에 따라 DPPH free radical에 대한 scavenging activity와 LDL의 lipid peroxidation을 이용한 TBARS assay로 항산화 활성실험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익모초의 MeOH 엑스는 $30\%$ MeOH, $60\%$ MeOH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Vitamin C와 비교해 볼 때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yrogaliol을 이용한 SOD 활성에서도 250 ppm에서는 Vitamin C 보다 우수한 유사 활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익모초로부터 비교적 강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어 천연항산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인도네시아 식물 3종(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3 Types Indonesia Plants (Hibiscus Petals, Moringa Oleifera Gymnosperm, and Nipa Fruticans Wurmb))

  • 최지혜;황진우;이성규;허수학;강현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2-4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원료 중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차용)을 열수로 추출하여 항산화 능을 비교하여 어떠한 시료가 효능이 높은지 조사하고, 또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해서도 연구하는 것이었다. 방법: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여 polyphenol, flavonoid의 함유량 및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와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radical의 소거 능력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검사하였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시료들의 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해죽순 열수 추출물의 polyphenol 함유량은 109 ㎍/mg으로 히비스커스 꽃잎(13 ㎍/mg)과 모링가 겉씨(19 ㎍/mg)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flavonoid 함유량은 다른 모링가와 히비스커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해죽순이 높았으며, 상기시료들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는 비슷하였다. 결론: 위의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의 열수 추출한 결과물이 항산화 작용이 높고 독성이 거의 없어서 화장품 물질이나 자연유적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덩굴차(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Extracts)

  • 현선희;이종숙;이광배;이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47-451
    • /
    • 2007
  • 덩굴차(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의 물(GPW)과 에탄올 추출물(GPE)의 각 용매 획분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은 GPW과 GPE의 water획분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획분에서 모두 90%이상의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유사 활성능은 GPW의 water획분 40%, GPE의 diethyl ether 획분 95%의 활성만이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GPW의 ethyl ether획분, butanol획분, GPE의 diethyl ether획분, buthanol획분에서 80%이상으로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GPW의 diethyl ether획분과 buthanol획분에서 95%이상, GPE의 diethyl ether획분, chlorofonn획분, butanol획분이 80%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덩굴차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free radical 소거(electron donating ability, superoxide dismutase aci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계 및 생성 억제(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y)계에 있어서 분획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전자공여능과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90%이상의 전반적으로 강한 활성이 있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비극성 및 극성 분획물에서 전반적으로 소거활성이 나타났다. 덩굴차 추출물은 소거 계뿐만 아니라 생성 억제계에서도 전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것으로 보아 이것은 덩굴차가 다류로서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의 부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들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rutescens)

  • 강현;이성규;송갑정;정문석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0-7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들깨 부산물의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법으로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collagenase와 elastase 활성의 저해작용을 통하여 항노화 활성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그 외에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연구도하였다. 방법: 들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DPPH 자유기의 소거능력을 분석하여 electron spin resonance (ESR)를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결과: 들깨박의 에탄올 추출물의 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자유기 소거의 항산화 기능은 추출물 농도 10 ㎍/ml에서는 약 68%, 20 ㎍/ml에서는 85%, 40-100 ㎍/ml에서는 90% 이상의 자유기의 소거 활성을 보여서 항산화능이 있음을 나타냈다. collagenase의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는 4.1%, 40 mg/ml에서는 12%, 100 mg/ml에서는 26.7%로 증가하였다. 저해활성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elastase의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는 3.8%, 40 mg/ml에서는 15%, 80 mg/ml에서는 28%, 100 mg/ml에서는 35.7%로 증가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들깨박의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효과, collagenase와 elast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노화와 주름의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본다.

  • PDF

흑미 색소물질에 함유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 정영아;이재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48-951
    • /
    • 2003
  • 흑미(수원 415호)의 페놀화합물을 유리형과 결합형으로 분리하여 추출한 결과, 시료 100 g당 각각 845.4 및 401.6 mg 으로서 유리형 페놀화합물이 결합형보다 2배 이상 함량이 높았으며 항산화활성도 우수하였다. 유리형 페놀화합물을 용매 분획하여 각 분획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butanol 분획에서 가장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이 관찰되었다. EDA, LPI 및 BAHI방법으로 butanol 분획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butanol 분획의 hydroxy 라디칼 소거능력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와 $\alpha$-tocopherol보다는 우수하였으나,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한 과산화물 생성억제능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butanol 분획은 $\alpha$-tocopherol보다는 2배 이상 높았으나 BHT보다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흑미 페놀화합물의 항산화기작은 라디칼 소거작용에 기인하는 것이며 산화의 중간 단계의 과산화물 생성 억제력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Parameters of Gardenia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its for the Maximum Antioxidant Capacity

  • Yang, Bin;Liu, Xuan;Teng, Dike;Gao, Yanxi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67-871
    • /
    • 2009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for the optimiz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in gardenia extracts.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gardenia fruit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ferric reducing ability (FRA)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assays. The optimum extraction parameters for the strongest antioxidant capacity were the ethanol concentration (EtOH) of 48.9%, extraction temperature of $72.9^{\circ}C$, and extraction time of 29.9 min.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ed that the quadratics of EtOH and extraction temperature had high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tioxidant capacity (p<0.001). The antioxidant capacity was correlated with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s [crocin, geniposide, and total phenolic (TP) compounds] in gardenia extracts and mainly attributed to the content of the TP compounds.

국내산 황색 방울토마토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Domestic Yellow Cherry Tomato)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18-5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황색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 건조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96±1.57 및 4.12±0.41 mg/g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고 free radical을 50% 감소시키는 농도인 RC50은 각각 490.83±17.35 ㎍/mL과 355.90±0.79 ㎍/mL이었다. 추출 건조물은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해서는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A549 폐암세포에 대해서는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궁경부암세포(HeLa)와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는 100 ㎍/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5.2% 및 18.4%의 생육 억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황색 방울토마토의 항산화 활성과 자궁경부암세포와 간암세포 등 일부 암세포에 대한 억제 활성이 검증되어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산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 천원영;서동연;김영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271.5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extract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1133.23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g residue and 721.68 mg TEAC/g residue, respectively. The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of guava leaf extract was examined in HepG2 cells.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leaf extract. In addition, guava leaf extract led to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in HepG2 cells. The leaf extract increased the activity of glutathione (GSH),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gainst oxidative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uava leaves might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 hepatoprotective material.

$H_2O_2$에 의한 결막 세포주의 세포고사에서 녹차추출물 EGCG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EGCG Extracted from Green Tea on Apoptosis Induced by$H_2O_2$ in Conjunctival Cell Lines)

  • 박수경;채수철;고은경;유근창;김재민;나명석;이종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5-101
    • /
    • 2008
  • 목적: 활성산소종의 하나인 $H_2O_2$는 DNA, R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유전자를 변형시키고 세포고사를 일으켜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발병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결막 세포주에서 일어나는 $H_2O_2$에 의한 세포고사에서 EGCG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방법: 세포의 생존율은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세포고사의 형태적인 특징은 DNA 단절화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EGCG의 자유라디칼 제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고, 세포내 활성산소량의 평가를 위한 DCFH-DA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내의 mRNA 발현은 RTPCR을 시행하여 밴드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세포생존율과 프리라디칼 소거능은 EGCG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DNA 분절화와 세포내 활성산소량은 감소하였다. mRNA 합성에서 bcl-2, bcl-xL의 발현은 증가하였고, bax 발현은 감소되었다. 결론: EGCG는 $H_2O_2$로 세포고사를 유도한 결막 세포주에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EGCG가 anti-apoptosis 관련한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켜 결막 세포주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함으로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