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 (Dissolved oxygen)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8초

가열에 의한 지하수 중 222Rn 제거율 고찰 (Study on 222Rn reduction rate in boiling groundwater)

  • 김문수;김현구;박선화;김형섭;주병규;김동수;조성진;양재하;권오상;김태승
    • 분석과학
    • /
    • 제28권5호
    • /
    • pp.353-360
    • /
    • 2015
  • 지하수 중 라돈은 끓임으로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라돈 농도를 가진 13 개 지하수 시료를 이용하여 가열 시간과 온도를 변경시키며 라돈의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시료는 Bladder 펌프를 이용하여 채수하였고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등의 현장수질은 Flow cell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경과시간 및 수온 별로 분취한 시료의 라돈 농도는 액체섬광계수기(LSC)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경과시간에 따른 지하수 중 라돈의 제거율도 높아지며 지하수 중 라돈의 초기농도가 높을수록 경과시간에 따른 지하수 중 라돈의 제거율은 낮아진다. 즉, 지하수 중 라돈의 농도가 높을수록 가열에 의한 라돈 제거 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하수 중 라돈 제거율은 주로 라돈초기농도, 가열온도, 그리고 가열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지역 지하수 수질: 배경수질전용측정망에 의한 심도·지질별 특성 (Groundwater Quality in Gyeongnam Region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th and Geological Features by Background Water Quality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 차수연;서양곤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39-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심도와 지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의 배경수질전용측정망을 통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의 503 세트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대장균군과 몇 극소량 존재하는 항목 즉 수은, 페놀 등을 제외한 수질매개변수는 심도와 지질에 따라 유의하거나 아주 유의하였다.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고, 수온, 용존산소 산화물 환원 전위, 비소, 총대장균군 그리고 탁도는 감소하였고, 먹는물 수질 부적합율은 낮아졌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 합은 쇄설성퇴적암에서 가장 높았고 변성암에서 가장 낮았다. 먹는물 수질 부적합율은 변성암에서 가장 높았고 쇄설성퇴적암, 미고결퇴적물, 그리고 관입화성암 순이었다. 상층관정과 쇄설성퇴적암의 일부 지점에서 외부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Na-Cl 수질특성을 보였다.

특정부위돌연변이화에 의해 변형된 nar 프로모터를 발현 프로모터로 이용하기 위한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Nar Promoter Modified by Site-directed Mutagenesis to Use as an Expression Promoter)

  • 이종원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431-43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질산염(nitrate) 존재하에서 혐기 조건이 되면 최대로 발현되는 변형된 naT 프로모터 를 대장균내에서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발현 운반체로 쓰일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용존산소농도에 따라 naT 프로모터의 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염색체 fnT 유전자가 발현되지 못하는 대장 균(ES200l)에 pBR322 플라스미드에 프로모터상 의 10 지역에서 특정부위돌연변이화에 의해 con­s sensus sequence로 바핀 변형된(modified) naT 프 로모터(pMW616)가 도입되어 있는 계(pMW616/ E ES2001 )가 이용되었다. 이 변형된 naT 프로모터의 하류에는 구조유전자(structural gene) 인 질산염 환 원효소대 신에 ${\beta}$-galactosidase를 발현하는 lacZ 유 전자가 클로닝되어 있다. 이 변형된 naT 프로모터의 유도에 대한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변형된 naT 프로 모터를 유도시키는 방법, 변형된 naT 프로모터가 최 대로 유도되는 질산엽의 농도, 말현된 $\beta$galactosid a ase의 양 빛 변형된 naT 프로모터가 유도되는 특성 들이 조사되었다. 이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들이 얻어졌다; 이 변형된 naT 프로모터로 부터 ${\beta}$-galactosidase의 말현은 질산염의 농도에 의 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변형된 naT 프로모터로부터 ${\beta}$-galactosidase의 말현은 성장단계 에서 대장균을 호기상태에서 OD600이 약 2.27~ 될 때까지 키우다가 유도시 혐기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 장 유리하였으며, 이 때 발현된 ${\beta}$-galactosidase의 비활성도는 약 13,000 Miller unit였다. 하지만, 이 변형된 naT 프로모터는 이켓을 유도시키기 전에도 발현된 ${\beta}$-galactosidase의 비활성도가 약 6,000 M Miller unit로 매우 높음으로 인하여 이 변형된 naT 프로모터는 원하는 단백질을 유도성보다는 구성적으 로 발현시키는데 더 적합한 프로모터였다.

  • PDF

금강수계 하천에서의 어류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Fish Species in the Geum River Watershed)

  • 강형식;임동균;허준욱;김규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B호
    • /
    • pp.193-203
    • /
    • 2011
  • 최근 하천 환경 및 생태학적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하천 복원 및 서식 환경 조성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서식처 복원 사업에 있어 중요한 것은 서식처에 필요한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미국 및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 유지유량증분법을 이용하여 서식처 필요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유지유량증분법은 하천 흐름과 관련되어 있는 생물의 서식처 평가와 적정 유량을 설정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대상하천에서 유지유량증분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생물에 대한 서식처적합도지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과거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피라미와 참갈겨니에 대한 적합도지수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어종에 대한 서식처 유량을 산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수심 및 유속과 같은 물리자료, 산성도 및 용존산소량과 같은 화학자료, 그리고 어종 및 개체수와 같은 생물자료를 구축하였다. 확보된 2,736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피라미, 참갈겨니, 돌마자, 쉬리, 돌고기, 모래무지 등 6가지 어종에 대한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존에 제시된 서식처적합도지수와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제안하였다. 또한 각 어종별 프루드수, 산성도, 용존산소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식처적합도지수는 하천사업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섬진강에 서식하는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의 산란 미소서식 환경 (Spawning Microhabitat of Microphysogobio koreensis (Pisces: Cyprinidae) in the Seomjin River, Korea)

  • 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종성;김치홍;이용주;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잉어과에 속하는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는 현재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고유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주사의 산란장 하상구조 등의 산란 미소서식 환경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산란 서식처는 큰돌, 작은돌, 자갈, 잔자갈 등으로 구성된 Bb type이며, 수심은 약 0.3~1.0 m, 유속은 빠른 $0.5{\pm}0.2$ m/sec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산란이 일어나는 산란장은 수심이 $0.4{\pm}0.1$ (0.4~0.6)m로 얕은 반면에 유속은 $0.8{\pm}0.1$ (0.6~0.9) m/sec로 빨랐으나 수정란이 부착되어 있는 장소는 오히려 0.4 m/sec로 느렸다. 산란은 수온이 $20^{\circ}C$가 되는 5월초에 이루어졌으며, 자갈 표면이나 틈 사이에 알을 낳는다. 이러한 산란장의 특성은 수정란이 휩쓸려 나가지 못하게 하는 기능과 함께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산란시기 이후에 모래주사들은 이 산란장에서 거의 출현하지 않는 특징을 보여 모래주사 개체들은 산란 후 댐호나 수심이 깊은 하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 내 제주시 해안가 저지대용천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Microbiological Pollution Investigation of Lowland Spring Water at the Jeju City Waterfront, Jeju Island)

  • 김만철;한용재;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4-331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4월까지 제주도 제주시 해안가에 위치한 21곳의 용천수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용천수의 이화학적 분석 및 수질환경기준에 포함되는 병원성 미생물외에 식중독 유발 및 인체에 유해한 식품병원성 미생물 중 총대장균군수, 분원성대장균,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hig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화학적 검사 결과 용천수의 평균 수온 값은 $15.4{\pm}0.63^{\circ}C$를 나타냈으며, 염분농도의 평균값은 $1.6{\pm}3.01$‰, pH 조사결과 $7.86{\pm}0.43$로 전반적으로 pH 7~8 범위안의 조사결과를 얻었으며, 용존산소량(DO)은 조사결과 $6.06{\pm}1.86$ mg/l로 대부분의 지점에서 평균 6~7 mg/ml의 용존산소량을 보였다. 용천수의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전체 정점별로 총대장균군 범위는 <1.8->1,600 MPN/100 ml로 조사되었으며, 분변계대장균의 경우 <1.8->1,600 MPN/100 ml를 나타냈다. 분변계대장균수의 범위를 정점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용천수 정점 1번, 2번, 10번, 11번을 제외한 모든 정점에서 기하평균치가 14 MPN/100 ml 이상의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그중 3번, 16번 정점에서 기하평균치값 100 MPN/100 ml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조사한 21곳의 용천수에서 E. coli O1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조류제거 효과에 대한 Top-down 어류 조작실험 (Top-down Fish Biomanipulation Experiments on Algal Removal Effects)

  • 이상재;이재연;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31-438
    • /
    • 2007
  • 본 연구는 Top-down 어류조작 실험에 의한 조류제거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써, 실험대상 어종으로 국내 농업용 저수지에 우점하는 8종의 어류를 선정하였다. 대조군 수조 및 어류처리군 수조($3{\sim}6$개체)의 엽록소-${\alpha}$ (CHL-${\alpha}$) 초기 농도는 $100{\sim}120{\mu}g\;L^{-1}$로 고정하였으며 용존산소 $5.3{\sim}8.2\;mg\;L^{-1}$, 수소 이온농도는 pH $7.4{\sim}8.1$를 유지시켰다. 실험기간 동안 어류 처리군 수조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측정된 반면 전기전도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한편 대조군과 어류처리군의 CHL-${\alpha}$는 각각 13%, 6%로 증가하여 여전히 조류의 생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으나, 어류처리 군에서 CHL-${\alpha}$ 증가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조군과 어류처리군의 남조류는 각각 32%, 20% 감소를 보였으며, 남조류 생장률은 대조군보다 어류처리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는 어류 배설물에 의한 영양염류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어류조작에 의한 조류제거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류오염지역의 지하수 수질특성 및 동절기 토양경작법의 온도보전을 위한 현장사례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and a Field Test for Thermal Insulation of Landfarming of Petroleum Contaminated Soil in Winter Season)

  • 조장환;김순흠;안종익;이윤오;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5호
    • /
    • pp.7-14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petroleum contaminated site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house-type landfarm facilities heated with briquette stoves in winter season. The six monitoring wells were installed at the site where pH, dissolved oxygen, and temperature were all measured. Also groundwater contaminant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 were analyzed twice. House-type two landfarm facilities ($12m{\times}40m{\times}4.8m$) each installed with four briquette stoves were constructed. During four rounds treatment process, VOCs, moisture, temperature were monitored and soil contaminants were analyzed. The pH was 6.37 and considered subacid and DO was measured to be 3.12 mg/L. The temperature of groundwater was measured to be $9.48^{\circ}C$. The groundwater contaminants were detected only in the monitoring wells within the contaminated area or close to it showing that the groundwater contaminated area was similar to the soil contaminated area. During the landfarm process, 73.3% of VOCs concentration in interior gas was decreased and moisture was lowered from 17.7% to 13.4%. In the morning, at 8:00 am, the temperature was decreased showing soil ($5.5^{\circ}C$) > interior ($4.8^{\circ}C$) > exterior ($3.5^{\circ}C$). In the afternoon, at 2:00 pm, the temperature was soil ($8.6^{\circ}C$) < interior ($9.9^{\circ}C$) < exterior ($11.5^{\circ}C$) with solar radiat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was $0.7^{\circ}C$ in the morning, but it was $1.6^{\circ}C$ in the afternoon. A total of 130 days were taken for four round landfarm processes. Each process was completed within 33 days showing 80% of cleanup efficiency ($1^{st}$ order dissipation rate(k) = 0.1771).

왕우럭조개의 서식환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abitat Environment of Sulf Clam, Tresus Keenae)

  • 김철원;정달상;최성제;강한승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15-24
    • /
    • 2021
  • 왕우럭조개 양식산업화를 위해서는 왕우럭조개 서식지의 해양환경에 관한 기초자료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왕우럭조개 서식지 해양환경을 조사하여 인공종자생산을 위한 왕우럭조개 모패의 준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왕우럭조개 서식지의 수온은 겨울철에 가장 낮았으며, 여름철에 높게 나타났다. 염분은 31.2 ~ 33.9 psu로 조사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pH는 7.69 ~ 8.70으로 겨울철에 높고, 여름철에 낮았다. 용존산소는 6.20 ~ 10.24 mg/L의 범위로 가을철이 봄철 및 겨울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 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계절에 따라 약 30 ~ 40종 정도로 규조류가 대부분이었다.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3.5 ~ 61.3 cells/ml로 계절마다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점종의 출현도 계절마다 차이를 보였다. 퇴적물 입도 조성은 모래 실트(sandy silt)이었다. 조류의 유향과 유속은 낙조시 남동방향으로 50 ~ 80 cm/s 나타났으며 창조시에는 북서방향으로 60 ~ 100 cm/s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왕우럭조개의 서식지 해양환경에 대한 지식의 제공 및 잠입 서식하는 패류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사료된다.

Comparative study on growth of leafy vegetables grown in a hybrid BFT-aquaponics using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nd hydroponics

  • Lee, Dong-Hoon;Kim, Jeong-D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260-275
    • /
    • 2021
  • Aquaponics is a cultivation system that combines aquaculture and agricultural hydropon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vity of leafy vegetables cultivated in the hybrid biofloc technology-aquaponics (HBFT-AP) using Japanese eel fed two kinds of diets (Mash, commercial powdered feed and extruded pellet [EP]) and hydroponics (HP).The mash was fed to the fish in a type of a dough mixed with water for 6 weeks (Exp1) and switched to the EP containing 2.7%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MKP) for subsequent 6 weeks (Exp2). Leafy vegetables of 8 cultivar were employed in the experiment and water quality [dissolved oxygen (DO, mg/L), pH, water temperature (℃), electrical conductivity (EC; ㎲/cm), turbidity (NTU), TAN (NH3 + NH4+) (mg /L), NO2-N (mg/L), NO3-N (mg/L) and PO4-P (mg/L)] was measured 6 times a week. Leafy vegetable productivity (HBFT-AP vs HP) was compared in respective experiment, which was similar or somewhat higher in HBFT-AP. During the 12-week feeding trial, concentrations of nitrite (NO2-N) and phosphorus (PO4-P) were kept low in variability while total ammonia nitrogen (TAN) and NO3-N levels increased with time in HBFT-AP. At the end of two feeding trials, values of weight gain (WG, %), feed efficiency (FE, %), specific growth rate (SGR, %)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were higher in Exp2 than in Exp1. As well, higher values in hematocrit (PCV, %), plasma K (mEq/L) and inorganic phosphorus (mg/dL) were found (p < 0.05) in Exp2 where fish were fed the EP (EP: 38.60%, 2.80 mEq/L and 7.04 g/dL; Mash: 33.20%, 1.95 mEq/L and 5.50 g/dL). Leafy vegetables in HBFT-AP using Japanese eel fed the EP with MKP 2.7% had a productivity similar (4 kinds of cultivar) or somewhat higher (4 kinds of cultivar) compared to those in HP. Also, Japanese eel fed the EP showed higher values of Pi (m/dL) and K (mEq/L) in plasma compared to those fed commercial powder di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