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NCE OF MOVEMENT

검색결과 933건 처리시간 0.034초

고래불 해안사구에서 염생식물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the Goraebul Coastal Sand Dune, Korea)

  • 정민형;김석철;홍보람;이규송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80-388
    • /
    • 2017
  • 고래불 해안사구에서 2012년 6월에 염생식물의 공간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해안에 인접하여 일차사구가 그리고 초본식생과 송림이 만나는 경계선에 2차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고래불 사구에서 염생식물은 크게 전사구와 사구저지에 분포하는 갯그령,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및 갯방풍의 한 그룹, 사구저지에 주로 분포하는 갯완두와 왕잔디의 두 번째 그룹, 그리고 배후사구인 송림 내에 분포하는 곰솔, 순비기나무 및 해란초의 세 번째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염생식물의 분포는 갯씀바귀 - 갯그령 - 통보리사초 - 갯메꽃 - 갯방풍 - 왕잔디 - 갯완두 - 해란초 - 순비기나무의 순이었다. 모래의 이동이 많아서 사구 내에서 비교적 불안정하고 변화가 많은 서식지에는 갯그령,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및 갯방풍이 주로 분포하였다. 순비기나무는 안정된 서식지에 분포하였다. 고래불 사구에서 염생식물의 분포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해안으로부터 거리, 지형 그리고 송림의 분포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고래불 사구는 상대적으로 인간의 간섭이 적고 식생이 잘 보전된 지역이다. 따라서 다른 사구 지역에 비해 인간의 간섭보다는 자연적인 과정들에 의한 물리화학적 요인들의 상이한 분포가 염생식물의 공간분포에 더욱 중요하다. 고래불 사구에서 중요한 자연적인 과정들은 파랑에 의한 해안선의 전진과 후퇴, 바람과 파랑으로 인한 모래의 침식과 퇴적 그리고 해수의 산포이다.

3-Dimensional Performance Optimization Model of Snatch Weightlifting

  • Moon, Young-Jin;Darren, Stefanyshy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5
    • /
    • 2015
  • Object : The goals of this research were to make Performance Enhanced Model(PE) taken the largest performance index (PI) through artificial variation of principle components calculated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for trial data, and to verify the effect through comparing kinematic factors between trial data (Raw) and PE. Method : Ten subjects (5 men, 5 women) were recruited and 80% of their maximal record was considered. The PI is a regression equation. In order to develop PE, we extracted Principle components from trial position data (by Principle Components Analysis (PCA)). Before PCA, we made 17 position data to 3 row matrix according to components. We calculated 3 eigen value (principle components) through PCA. And except Y (medial-lateral direction) component (because motion of Y component is small), principle components of X (anterior-posterior direction) and Z (vertical direction) components were changed as following. Changed principle components = principle components + principle components ${\times}$ k. After changing the each principle component, we reconstructed position data using the changed principle components and calculated performance index (PI).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Raw data and Performance Enhanced Model data.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leq}0.05$. Result : The P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bout 12.9kg at PE ($101.92{\pm}6.25$) when compared to the Raw data ($91.29{\pm}7.10$). It means that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by optimizing 3D positions. The difference of kinematic factors as follows :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bar from start to lock out was significantly larger (about 1cm) for PE, the width of anterior-posterior bar position in full phase was significantly wider (about 1.3cm) for PE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toward the weightlifter after beginning of descent from maximal height was significantly greater (about 0.4cm) for PE. Additionally, the minimum knee angle in the 2-pull phase was significantly smaller (approximately 2.7cm) for the PE compared to that of the Raw. PE was decided at proximal position from the Raw (origin point (0,0)) of PC variation). Conclusion : PI was decided at proximal position from the Raw (origin point (0,0)) of PC variation). This means that Performance Enhanced Model was decided by similar motion to the Raw without a great change. Therefore, weightlifters could be accept Performance Enhanced Model easily, comfortably and without large stress. The Performance Enhance Model can provide training direction for athletes to improve their weightlifting records.

새로운 움직임 예측기법 기반의 에러 내성이 있는 영상 부호화 (Novel Motion Estimation Technique Based Error-Resilient Video Coding)

  • 황민철;김준형;고성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4호
    • /
    • pp.108-1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에러에 강인한 동영상 압축을 위해서 효과적인 에러 은닉을 제공하는 새로운 움직임 예측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전송 에러에 의해 손실된 프레임을 효율적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영상 내에서 객체의 실제 움직임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블록과 움직임 보상된 블록에 있는 화소의 차의 절대값의 합 (sum of absolute different, SAD)을 기준으로 이용하는 기존의 움직임 예측 (motion estimation, ME)기법이 객체의 실제 움직임을 항상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현재 블록과 움직임 보상된 블록의 움직임 벡터들의 차이의 절대값 (absolute different of motion vectors, ADMV)을 새로운 부가적인 기준으로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E 기법은 SAD와 ADMV의 가중 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실제 움직임과 거리가 먼 움직임 벡터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ADMV을 이용하면 영상의 전송 과정에서 손실된 프레임의 정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손실된 움직임 정보를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으므로 복호기에서의 에러 은닉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ME기법과 유사한 압축 효율을 갖으면서 기존의 에러 내성 기법보다 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ositional change in mandibular condyle in facial asymmetric patients after orthognathic surger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Choi, Byung-Joon;Kim, Byung-Soo;Lim, Ji-Min;Jung, Junho;Lee, Jung-Woo;Ohe, Joo-Yo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13.1-13.8
    • /
    • 2018
  • Background: We evaluated change in the mandibular condyle after orthognathic surger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andibular prognathism or facial asymmetr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MD) from the facial midline on anteroposterior (AP) cephalogram: group A (asymmetry, MD ≥ 4 mm; n = 15) and group B (symmetry, MD < 4 mm; n = 15). Position and angle of condylar heads on the axial, sagittal, and coronal views were measured within 1 month preoperatively (T0) and postoperatively (T1) and 6 months (T2) postoperatively. Results: On axial view, both groups showed inward rotation of condylar heads at T1, but at T2, the change was gradually removed and the condylar hea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1, both groups showed no AP condylar head changes on sagittal view, although downward movement of the condylar heads occurred. Then, at T2, the condylar heads tend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two condylar heads showed that they had moved outward in both groups, causing an increase in the width between the two heads postoperatively. Analysis of all three-dimensional changes of the condylar head position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ree different CBCT views in group B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group A.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dylar head position. Becaus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can be perform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cases, it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to stabilize the condylar head positio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mandibular prognathism or facial asymmetry.

손목관절 CT 검사 시 자세 변화와 채널 변경에 따른 MTF 평가 : Isocenter를 중심으로 X-축, Z-축 변화 (MTF Evaluation according to change in posture and channel during CT examination for wrist Joint : X-axis and Z-axis changes around Isocenter)

  • 서민재;임종천;정다빈;한동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811-81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손목관절 CT 검사에서 환자 자세를 X-축, Y-축으로 변화시키고 CT 검사장치의 channel 변화에 따른 MTF 평가를 하는 것이다. CT 장치와 손목 팬텀을 이용하여 isocenter를 중심으로 X-축으로 0(일치), 5, 10, 15 cm 이동시켜 검사하고, Z-축은 반시계 방향으로 -20°, -40° 회전하여 검사하였다. 검사는 16, -40, 64 channel을 이용하여 channel 별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검사한 영상은 자뼈와 좌우측 노뼈의 MTF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isocenter를 중심으로 X-축으로 이동시킨 실험에서 이동 거리가 커질수록 MTF 값은 감소하였고, 이때 MTF 값은 channel과는 무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Z-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20°, -40° 손목관절을 회전시킨 실험에서 회전정도와 MTF는 무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hannel과도 무관하였다. 결론적으로 손목관절 CT 검사에서 손목은 X-축 방향으로 이동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Z-축으로의 회전은 검사 대상자의 환경에 따라 변화하여도 영상의 MTF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 사료된다.

비동일평면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테이블 회전에 따른 2D vs 3D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시스템의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Accuracy About 2D vs 3D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uch Rotation when non-Coplanar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 권경태;김정수;심현선;민정환;손순룡;한동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601-606
    • /
    • 2016
  • 호흡동조방사선치료에서 비동일 평면치료는 테이블의 회전이 있기 때문에 테이블의 회전에 따른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 사이의 거리 변화로 인하여 마커 움직임의 인식을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시스템의 two dot 마커와 six dot 마커의 움직임 반영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움직임을 평가는 two dot 마커에서 테이블 각도를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각 $10^{\circ}$씩 변화하여 측정하였으며, six dot 마커에서도 테이블 각도를 시계방향으로 각 $10^{\circ}$ 변화하여 기준 $0^{\circ}$에서의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기준 진폭 1.173에서 1.165, 테이블 각도 $20^{\circ}$에서는 1.132, 테이블 각도 $30^{\circ}$에서는 1.083의 진폭값으로 나타났다. 반시계방향으로 $350^{\circ}$에서는 기준 진폭 1.168에서 1.157, 테이블 각도 $340^{\circ}$에서는 1.124, 테이블 각도 $330^{\circ}$에서는 1.079 진폭값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팬톰을 이용하여 테이블 변화에 따른 진폭의 값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점에 학술적 의미를 두고자 한다.

테니스 한손 백핸드 스트로크와 양손 백핸드 스트로크 동작의 3차원 운동학적 비교 분석 (3-D Kinematic comparison of One Hand Backhand Stroke and Two Hand Backhand Stroke in Tennis)

  • 최지영;신제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5-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segments of the body,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angle during One Hand Backhand Stroke and Two Hand Backhand in tennis. For the movement analysis three dimensional cinematographical method(APAS) was used and for the calculation of the kinematic variables a self developed program was used with the LabVIEW 6.1 graphical programming(Johnson, 1999) program. By using Eular's equations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Cardan angles of the joint and racket head direction were defined. 1. In three dimensional maximum linear velocity of racket head the X axis and Y axis(horizontal direction) showed $-11.04{\pm}2.69m/sec$, $-9.31{\pm}0.49m/sec$ before impact, the z axis(vertical direction) maximum linear velocity of racket head did not show at impact but after impact this will resulted influence upon hitting ball. It could be suggest that Y axis velocity of racket head influence on ball direction and z axis velocity influence on ball spin after impact. The stance distance between right foot and left foot was mean $75.4{\pm}5.86cm$ during one hand backhand stroke and $72.6{\pm}4.67cm$ during two hand backhand stroke. 2.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of trunk in interna rotation-external rotation showed most important role in backhand stroke. and is follwed by flexion-extension.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of trunk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e hand backhand stroke and two hand backhand stroke but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of trunk was bigger than one hand backhand stroke. 3. while backhand stroke, the flexion-extension and adduction-abduction of right shoulder joi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one hand backhand stroke and two hand backhand stroke.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of right shoulder joint showed more flex and abduct in one hand backhand stroke. 4. The three dimensional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of left shoulder showed flexion, ad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at impact. after impact, The angular displacement as adduction-abduction of left shoulder changed motion direction as abduction. angular displacement of left shoulder as flexion-extension showed bigger than the right shoulder.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 (Locational Decision of the Viewpoint Using GIS and Space Syntax)

  • 최철현;정성관;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68
    • /
    • 2011
  • 경관평가에 있어서 선행되어져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 바로 조망점의 선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조망점의 선정방식은 정확한 지표나 근거없이 평가자의 주관적이고 인위적인 방식에 의해 선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조망점 선정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삼덕3주거 개선지구를 대상으로 거리 및 방위에 의해 24개의 섹터로 가시권 범위를 분절하였다. 그 후, 공간구문론의 축선도 분석과 가시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는 후보조망점을 선정하였다.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를 통해 최종적인 조망점을 선정한 결과, 근경인 VP-2 조망점의 VEI값은 112.63, 중경인 VP-10 조망점은 18.31, 원경인 VP-18 조망점은 5.55로 분석되었으며, 모두 국채보상로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선정된 조망점은 공공기관, 공원, 고밀도 주거공간 등과 같이 인구유동량이 많아 조망기회가 높고, 동시에 경관변화율이 큰 지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는 조망점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E-GEN AED의 효율적 서비스를 위한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for Efficient Service of E-GEN AED using Time and Spatial Data)

  • 백승렬;김준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3-2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E-GEN (Emergency medical-GEN) 자동심장충격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설치지점의 위치 및 세부정보 등록과 공간적 배치의 적정성 등에 대한 오류사항을 분석하여 접근성과 활용성을 고려한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 공간적인 데이터 기반의 앱이나 웹의 구축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각 설치지점의 위치가 서로 균등적이지 않고 일부 지역에 밀집되어 있거나 AED 설치가 필요한 지역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AED의 실제 설치 위치정보와 속성정보 등 설치된 지점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등록에 있어서 부정확한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시설물 주 출입구 node와 대표 지번 node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후문, 사잇길, 계단 등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AED 설치장소의 개방시간은 요일과 계절에 따라 다양하고 출입구는 별도 장소에 있는 관리소가 관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보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공간적 형평성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 긴급시 정확한 거리와 시간을 실제 이동경로에 따라 제공해 주는 방안, 요일과 시간을 고려한 각각의 시설물에 대한 사용가능여부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홍천 계방산지역 내 강수의 산성도와 이온 균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idity and Ion Balance of Wet Precipitation in Mt. Kyebang Area, Hongcheon)

  • 윤희정;이승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12-7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청정지역인 홍천 계방산지역내의 장거리이동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유입정도를 알아보고자 이 지역 내의 강수를 채취하여 산도(pH) 및 이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에 대한 이온수지와 전기전도도(EC) 검토에서 신뢰성이 확인되었고 홍천 계방산지역 내 강수산도(pH)는 산성우의 기준이 되는 pH5.6 이하의 범위인 pH5.0~5.5 범위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강수량이 많을수록 이온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산성원인물질의 증감과 중화물질에 따라 강수산도(pH)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강수중 이온성분의 조성비율을 살펴보면 음이온은 $SO_4^{2-}$$nss-SO_4^{2-}$, 양이온은 $NH_4^+$$nss-Ca^{2+}$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특히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이 거의 없는 홍천 계방산지역에서 인위적 오염물질인 $SO_4^{2-}$와 토양의 유입원인물질인 $Ca^{2+}$의 농도가 높았던 결과를 통해 이곳의 강수 화학성이 장거리 이동성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