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cational Decision of the Viewpoint Using GIS and Space Syntax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

  • Choi, Chul-Hyun (Dept. of Spatial Inform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Sung-K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Urban Planning, Texas A&M University)
  • 최철현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이우성 (텍사스 A&M 대학교 조경.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5.0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A selection of viewpoint is a first priority for landscape evaluation. However, it has been artificially carried out by a subjective method without of criter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viewpoint selection methods using space syntax and GIS. For this, the study area on samduk3 residential improvement district located at Daegu city was divided into 24 sectors of visibility zone by distance and direction. After that, the preliminary viewpoints equally distributed in space were selected by axial map analysis of space syntax and viewshed-frequency analysis of G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final viewpoints using the VEI(Viewpoint Evaluation Index), all the final viewpoints were placed in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VEI value of VP-2 was 112.63 in the foreground, VP-10 was 18.31 in the middleground and VP-18 was 5.55 in the background. Selected viewpoints were verified as a big changing of landscape variation and high chance of view such as the public area, the park and the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Thus, VEI will be used as a quantitative method of selecting viewpoints an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use as the objective indicator.

경관평가에 있어서 선행되어져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 바로 조망점의 선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조망점의 선정방식은 정확한 지표나 근거없이 평가자의 주관적이고 인위적인 방식에 의해 선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조망점 선정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삼덕3주거 개선지구를 대상으로 거리 및 방위에 의해 24개의 섹터로 가시권 범위를 분절하였다. 그 후, 공간구문론의 축선도 분석과 가시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는 후보조망점을 선정하였다.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를 통해 최종적인 조망점을 선정한 결과, 근경인 VP-2 조망점의 VEI값은 112.63, 중경인 VP-10 조망점은 18.31, 원경인 VP-18 조망점은 5.55로 분석되었으며, 모두 국채보상로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선정된 조망점은 공공기관, 공원, 고밀도 주거공간 등과 같이 인구유동량이 많아 조망기회가 높고, 동시에 경관변화율이 큰 지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는 조망점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현. 2008.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본옥, 최재필. 2000. 도록의 레이아웃을 통해 본 상가의 생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223-226.
  3. 국토개발연구원. 2004. 국토경관보호를 위한 경관충격지표 개발 연구.
  4. 김영욱. 2000. 공간 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10):37-44.
  5.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 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4);7-17.
  6. 오은숙, 김영욱, 최안섭. 2003. 공간구조와 보행량을 고려한 도시조명계획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10):93-100.
  7.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군무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 공간 구조 분석. 지리학연구. 38(4):573-583.
  8. 이규인. 1995. 공동주택단지 동선의 사회적 특성과 통행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1(1);113-121.
  9.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 2009.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8):293-300.
  10. 이승욱, 최요섭, 하재명. 2008. GI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지구의 경관통제점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1):107-112.
  11. 임현식,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1):551-554.
  12. 장철규, 2010. 도시개발사업의 경관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기법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전철민, 2004. Space Syntax 기법의 대중교통망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학회지 12(2):73-77.
  14. 최윤경, 권영완. 2003. 도시공간구조와 보행자의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1):89-96.
  15. 환경부 환경평가원. 2007. 사업유형별 평가서작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가이드라인.
  16. 환경부 환경평가과. 2008. 환경영향평가관련규정집.
  17. Hillier, B. 1996. Space is the Machine. A Configurational Theory Of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illier, B. and J.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Hillier, B., A. Penn. J. Hanson, T. Grajewski, and J. Xu, 1993. Natural movement: Or, configuration and attraction in urban pedestrian move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20;29-66. https://doi.org/10.1068/b200029
  20. Jiang, B. 2009. Ranking spaces for predicting human movement in an urban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3(7);823-837. https://doi.org/10.1080/13658810802022822
  21. Penn, A., B. Hillier, D. Banister, and J. Xu. 1998. Configurational modelling of urban movement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5;59-84. https://doi.org/10.1068/b250059
  22. http;//car.daegu.go.kr

Cited by

  1. Validity Assessment of Viewpoints Using the Reverse-viewshed Frequency Analysis vol.31, pp.5, 2013, https://doi.org/10.7848/ksgpc.2013.31.5.343
  2.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of Neighborhood Park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1.025
  3. 전파특성실험과 GIS를 이용한 센서노드배치시스템 vol.14, pp.4,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4.150
  4. 오염농도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한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 계량화 vol.15, pp.2,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071
  5. 공간구문론과 GIS 통합 모델을 이용한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당진시 합덕읍 일원을 대상으로 - vol.15, pp.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13
  6.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vol.13, pp.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