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GNSS RSI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GPS/GLONASS 통합보정시스템의 측위정확도 성능분석

  • 서기열;박상현;장원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30
    • /
    • 2011
  • GNSS 시스템의 다원화에 따른 DGPS RSIM 기능도 DGNSS 체제로 기능적, 시스템적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세대 DGNSS RSIM 아키텍처를 미국 해양경비대(USCG) NAVCEN에서 제안하였는데, 이 차세대 DGPS RSIM 아키텍처의 기본 요구조건은 PC 플랫폼 기반의 신규 신호 및 기술에 대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기존 사용자 수신기와 기존 기준국 시스템과의 충분한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제시된 아키텍처는 DGPS RSIM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응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GNSS 다원화에 따른 DGNSS 기준국 기능 고도화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DGNSS RSIM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로서, 현재 운영 중인 GPS/GLONASS를 중심으로 보정정보 생성 및 그 측위정확도 성능분석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기 설계된 DGNSS 소프트웨어 RSIM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하고, 설계된 아키텍처와 통합보정정보 생성 및 처리 기법이 적용된 GPS/GLONASS 통합보정시스템을 구현하여, 향후 소프트웨어 DGNSS RSIM을 위한 측위정확도 측면에서의 성능을 분석한다.

  • PDF

소프트웨어 DGNSS RSIM 개발을 위한 RSIM 버전 1.3의 분석 (Analysis of RSIM version 1.3 for development of software DGNSS RSIM)

  • 장원석;김영기;서기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3-305
    • /
    • 2014
  • 현재 한국에서 설치, 운영되고 있는 DGPS 기준국은 RTCM의 DGPS 기준국 관련 표준인 RSIM 버전 1.2를 기반으로 제작되어져 있다. RSIM 버전 1.2는 GPS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기준국을 위해 제정된 표준으로 현재의 다양한 GNSS들에 대한 보정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RTCM에서는 GPS외에 다양한 GNSS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준국 표준 버전인 RSIM 버전 1.3을 제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DGPS 기준국이 DGNSS 기준국으로 발전하여 각 GNSS의 보정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 필수적인 신규 버전 기반 소프트웨어 RSIM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RSIM 버전 1.3의 특징을 분석하고 소프트웨어 RSIM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필수 기능들을 도출하였다.

  • PDF

DGNSS 통합 소프트웨어 RSIM 기술개발

  • 서기열;장원석;김영기;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1-342
    • /
    • 2012
  • 현재 운영 중인 DGPS RSIM은 서비스 측면에서 GPS 보정정보 만을 제공 하고 있으며, GLONASS 보정서비스는 아직까지 실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운영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국외 기술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DGPS 기준국 고도화와 기술적, 운영적 독립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으로서 DGNSS 통합 소프트웨어 RSIM 기술개발에 대해 다룬다. DGNSS RSIM 국산화 기술개발 및 그 성능고도화를 위하여 GPS/GLONASS 보정서비스가 가능한 DGNSS 통합 소프트웨어 RSIM 기술개발과 실제 기준국 환경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DGNSS RSIM을 위한 GPS/Galileo 의사거리 보정기법 (Method of Differential Corrections Using GPS/Galileo Pseudorange Measurement for DGNSS RSIM)

  • 서기열;김영기;장원석;박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73-37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GNSS)의 다양화에 따른 DGNSS 기준국(RSIM, Reference Station and Integrity Monitor)의 재구축을 위하여, 유럽연합(EU) 위성항법시스템인 Galileo의 E1 의사거리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과 GPS/Galileo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검증에 대해 다룬다. 먼저 DGPS RSIM에서 DGNSS RSIM으로 전환을 위한 운영적 측면에서의 기술 및 메시지 표준과 사용자 방송 측면에서의 메시지 표준에 대해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GNSS의 의사거리 보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GNSS 위성위치와 사용자 위치를 알아야만 한다. 그러므로 Galileo 위성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 Galileo ICD 문건의 위성위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궤도력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위성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위성시계 옵셋과 사용자 수신기의 시각오차, GPS와 Galileo 위성의 시스템 타임 옵셋을 계산하여 GPS/Galileo 의사거리 보정정보를 생성한다. GPS/Galileo 시뮬레이터를 연동한 성능검증 플랫폼을 기반으로 GPS/Galileo 보정정보의 오차를 분석하고, 측위정확도를 분석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국제기구(RTCM)에서 요구하는 기준국 운영을 위한 측위 성능을 충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양용 DGPS 기준국의 무결성 감시 기능 설계 (Design of Integrity Monitor Functions for Maritime DGPS RSIM)

  • 서기열;박상현;조득재;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95-40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DGNSS의 현대화에 대비하고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RSIM 시스템의 기능구현을 위하여, 해양용 DGPS 기준국의 무결성 감시 기능을 설계한다. 무결성 감시국(IM)의 핵심 기능은 기준국 시스템 이상에 따른 알람정보의 생성과 피드백 메시지를 기준국(RS)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결성 감시 기능의 설계 및 실험적 차원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먼저 소프트웨어 RSIM의 아키텍처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RTCM SC-104 RSIM의 해양용 DGPS 기준국 무결성 감시를 위한 성능 표준에 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성능표준에 기반한 무결성 감시국 기능을 설계하고, 무결성 정보 생성 및 처리과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GNSS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무결성 감시국 기능의 성능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시스템 구현을 위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SBAS 기준국용 G-III 수신기 연동을 위한 DGNSS SW RSIM의 수신 모듈 설계 (Design of DGNSS Software RSIM's Data Receive Module for G-III GNSS Receiver in SBAS Reference Station)

  • 장원석;박상현;서기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7-300
    • /
    • 2016
  • 한국에서 제공하고 있는 위성항법보정서비스는 지상 기반의 Differential GNSS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한국은 이 위성항법보정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위성 기반의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위성 기반의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은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이라 불린다. SBAS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상 기반의 위성항법보정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지상에 SBAS 기준국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 SBAS 기준국은 지상기반의 DGNSS 기준국과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DGNSS 시스템이 SBAS 기준국용 수신기중 하나인 NovAtel 사의 G-III 수신기와 연동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SBAS 기준국용 수신기인 G-III 수신기와 연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계하고, 이 모듈을 DGNSS 기준국 시스템에 추가할 수 있도록 RS, IM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를 변경하였다.

  • PDF

해양 DGNSS 서비스의 사용자 관점에서의 한계 분석 (Analysis on Limitations of Maritime DGNSS RSIM Service at User Aspect)

  • 서기열;박상현;신미영;김영기;장원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6-13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 및 서비스 중인 DGNSS 기준국 및 감시국 서비스의 요구 성능과 그 한계에 대해 사용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항만 항법신호(PNT) 감시 기술과 항법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고려사항에 대해 분석한다. 먼저 DGNSS RSIM 운영 현황과 국제기구에서 요구하는 해양항법 요구성능에 대해 각각 분석한다. 다음으로 항만 혹은 사용자 관점에서 해당 요구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 분석한 다음, 이를 위한 보완할 수 있는 항만 항법신호 감시 및 신뢰도 서비스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향후 고려사항에 대해 제시한다.

  • PDF

RTCM 2.4 기반 GNSS 보정정보 메시지 생성 모듈의 아키텍처 설계 (Architecture Design for GNSS Correction Message Generating Module based on RTCM version 2.4)

  • 장원석;김영기;서기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285-2291
    • /
    • 2015
  • 현재 사용가능한 측위위성은 GPS외에도 GLONASS, GALILEO, BeiDou, QZSS등으로 다양해 졌다. 그러나 측위 정확도를 높이는 보강 서비스인 Differential GPS는 RTCM 버전 2.3 표준을 따르고 있어 GPS에 대한 보정정보만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에 RTCM에서는 모든 위성에 대한 보정정보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RTCM 버전 2.4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한국의 DGNSS 기준국은 소프트웨어로 제작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새로운 표준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RSIM 1.3기반 DGNSS 기준국시스템의 아키텍처는 동시에 여러 GNSS의 보정정보를 생성하지 못하고, RTCM 2.4 역시 지원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TCM 버전 2.4 표준을 분석하고 소프트웨어 DGNSS 기준국 시스템이 RTCM 버전 2.4 표준에 맞춰 동시에 여러개의 GNSS에 대한 RTCM 보정정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멀티 GNSS 보정시스템을 위한 BeiDou 의사거리 보정기법 (Method of BeiDou Pseudorange Correction for Multi-GNSS Augmentation System)

  • 서기열;김영기;장원석;박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307-231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의 다양화에 따른 위성항법보정시스템(Differential GNSS, DGNSS) 기준국 설계를 위하여, 중국 위성항법시스템인 BeiDou의 의사거리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과 시뮬레이션 기반의 성능 검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먼저 DGNSS 기준국/감시국(Reference Station and Integrity Monitor, RSIM)에서의 국제적 표준 및 요구성능에 대해 살펴보고, BeiDou 연동제어문서(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를 기반으로 위성의 위치를 추정하고 위성시계 옵셋과 사용자 수신기의 시계오차, 그리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BeiDou 위성의 시스템 타임 옵셋을 계산하여 BeiDou 의사거리 보정정보(Pseudorange Correction, PRC)를 생성한다. GPS/BeiDou 시뮬레이터를 연동한 성능검증 플랫폼을 기반으로 BeiDou 보정정보의 오차를 계산하고, 그 측위정확도를 분석하여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BeiDou 의사거리 보정정보가 RTCM(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에서 요구하는 기준국 운영 및 보정서비스를 위한 측위성능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DGNSS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 권민우;김영재;이병곤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6-288
    • /
    • 2014
  • 위성항법중앙사무소에서는 GNSS 체제에 대비하여 위성항법보정시스템 고도화 기반마련을 위해 DGNSS 시범 서비스를 운영 중에 있다. RTCM2.4와 RSIM1.3 발효 시 신속한 DGNSS 전국망 서비스를 위한 위성항법중앙사무소의 현 실태와 준비사항들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