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D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Meloidogyne arenaria o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in Relation to Degree-day Accumul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Kim, Dong-Geun;Yeon, Il-K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59-163
    • /
    • 2001
  • Influence of soil temperature [accumulated degree-day for the base temperature $5^{\circ}$($\textrm{DD}_5$)] on the development of Meloidogyne arenaria were studied in a winter grown oriental melon greenhouse in Seongju, Korea. Egg masses were first observed on roots at the accumulation of 565 $\textrm{DD}_5$(40 days after transplanting), suggesting that the nematode has completed the first generation in 40 days. Second-stage juveniles (J2) densities were lowest at 863 $\textrm{DD}_5$ in April, first increased at 1,334 $\textrm{DD}_5$ in May, peaked at 2,951 $\textrm{DD}_5$ in July, and decliner thereafter. Development of egg masses and J2 density in soil revealed that M. arenaria could develop in 7-8 generations in a year in the greenhouse. Degree-day monitoring, therefore, could aid to predict nematode development in soil and can be valuable tool a to develop root-knot nematode control strategies.

  • PDF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한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 (Life Table Statistics of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L.)(Coleoptera: Curculionidae) on the Degree-Day Scale)

  • 류문일;조기종;유춘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20
    • /
    • 1988
  •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을 정온 조건과 실온 조건에서 산출하였다. 온일도를 단위로 하였을 때 $20^{\circ}$~ $30^{\circ}$ 범위내 정온 조건에서의 통계량은 실온 조건에서의 통계량과 유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온도간의 변이는 실온에서의 간 변이와 유사하였다. 이 결과는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할 때 쌀바구미의 생화사가 표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쌀바구미는 $368pm$41.2DD에서 산란을 시작하여 $1391.0\pm$38.7DD에서 멈추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외적 자연회가졸 밀도 음가 기간과 평균세대 기간은 각각$ 0.0052\pm$0.0006/DD, $134.7\pm$15.0 DD 그리고 $715.2\pm$53.6 DD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Optimal filter materials for protist quantification via droplet digital PCR

  • Juhee Min;Kwang Young Kim
    • ALGAE
    • /
    • 제39권1호
    • /
    • pp.51-56
    • /
    • 2024
  • The use of droplet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ddPCR) has greatly improved the quantification of harmful protists, outperforming traditional methods like quantitative PCR. Notably, ddPCR provides enhanced consistency and reproducibility at it resists PCR inhibitors commonly found in environmental DNA sampl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filter material for ddPCR protocols by assessing the reproducibility of species-specific gene copy numbers and filtration time across six filter types: cellulose acetate (CA), mixed cellulose ester (MCE), nylon (NY), polycarbonate (PC),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The study used two species of Chattonella marina complexes as a case study. Filtration rates were slower for NY, PC, and PVDF filters. Moreover, MCE, NY, PES, and PVDF yielded lower DNA amounts than other filters. Importantly, the CA filter exhibited the lowest variance (38-39%) and the highest determination coefficients (R2 = 0.92-0.96), indicating superior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 filter is the most suitable for ddPCR quantification of marine protists, offering quick filtration and reliable reproducibility.

Dioscorea daemona Roxb. (Stem) 추출물이 Rat의 염증반응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과 RAW264.7 세포주의 염증성 매개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oscorea daemona Roxb. Stem Extract on the Inflammatory Responses, Antioxidant System and Lipid Levels in Vivo an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264.7 Cells)

  • 최은미;구성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07-7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Dioscorea daemona Roxb. 줄기 메탄을 추출물(DD)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DD가 생체내에서 항산화 체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DD를 200mg/kg용량으로 3주간 경구투여하였을 때 동물실험모델에서 항염증 및 type IV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혈청의 Catalase 활성, 지질 과산화, TG 및 HDL cholesterol 수치가 영향을 받았다. DD와 이를 클로로포름과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fraction이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한 RAW264.7 대식세포주의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_2(PGE_2)$,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interleukin 6(IL6)의 생성을 억제하는지도 연구하였다. DD와 그 분획물들은 $4\~100{\mu}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LPS가 유도한 RAW264.7 세포주의 NO, $TNF-\alpha$, IL-6 생성을 억제하였다. LPS가 유도한 $PGE_2$ 생성은 DD의 클로로포름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Dioscorea daemona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염증성 매개물의 억제를 통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레이저 형광 원리를 이용한 우식 진단 기기의 구치부 인접면 우식 진단 능력 비교 (Comparison of Diagnostic Validity between Laser Fluorescence Devices in Proximal Caries)

  • 이창근;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26-43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형태의 레이저 형광원리를 이용한 우식 진단 기기(DD, DDpen)의 구치부 인접면 우식을 진단 하는 능력을 비교하고, 두 기기의 최적의 절단값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164개의 유구치 인접면과 438개의 영구치 구치부 인접면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각 치면은 순서대로 두 가지 기기를 통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두 기기를 비교할 기준으로서 교익 방사선 사진 촬영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사진 촬영 결과는 우식의 깊이에 따라 유치열 3개의 군($pR_0$, $pR_1$, $pR_2$), 영구치열 4개의 군($PR_0$, $PR_1$, $PR_2$, $PR_3$)으로 분류하였다. 유치열에서 법랑질 우식과 상아질 우식의 AUC 값은 DD가 각각 0.851과 0.890으로 나타났고, DDpen은 각각 0.883과 0.917로 나타났다. 영구치열에서 법랑질 우식과 상아질 우식의 AUC 값은 DD가 각각 0.762과 0.886으로 나타났고, DDpen은 각각 0.828과 0.958로 나타났다.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 구치부 인접면 우식을 검사하는 데에는 DDpen이 DD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유치열에 대해서는 DD도 인접면 우식 검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IGF-1 on Different Subpopulations of DRG Neurons with Neurotoxicity Induced by gp120 and Dideoxycytidine In Vitro

  • Lu, Lin;Dong, Haixia;Liu, Guixiang;Yuan, Bin;Li, Yizhao;Liu, Huaxi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6호
    • /
    • pp.532-539
    • /
    • 2014
  • Peripheral neuropathy induced by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and antiretroviral therapy is not only difficult to distinguish in clinical practice, but also difficult to relieve the pain symptoms by analgesics because of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t the later stage. Hence,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HIV-related neuropathy and find new therapeutic options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relieving neuropathic pain symptoms of the patients. In the present study, primary cultured embryonic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were used to determine the neurotoxic effects of HIV-gp120 protein and/or antiretroviral drug dideoxycytidine (ddC) and the therapeutic action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on gp120- or ddC-induced neurotoxicity. DRG neurons were exposed to gp120 (500 pmol/L), ddC ($50{\mu}mol/L$), gp120 (500 pmol/L) plus ddC ($50{\mu}mol/L$), gp120 (500 pmol/L) plus IGF-1 (20 nmol/L), ddC ($50{\mu}mol/L$) plus IGF-1 (20 nmol/L), gp120 (500 pmol/L) plus ddC ($50{\mu}mol/L$) plus IGF-1 (20 nmol/L), respectively, for 72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gp120 and/or ddC caused neurotoxicity of primary cultured DRG neurons. Interestingly, the severity of neurotoxicity induced by gp120 and ddC was different in different subpopulation of DRG neurons. gp120 mainly affected large diameter DRG neurons (> $25{\mu}m$), whereas ddC mainly affected small diameter DRG neurons (${\leq}25{\mu}m$). IGF-1 could reverse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gp120 and/or ddC on small, but not large, DRG neurons. These data provide new insights in elucidating the pathogenesis of HIV infection- or antiretroviral therapy-related peripheral neuropathy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A novel WD40 protein, BnSWD1, is involved in salt stress in Brassica napus

  • Lee, Sang-Hun;Lee, Jun-Hee;Paek, Kyung-Hee;Kwon, Suk-Yoon;Cho, Hye-Sun;Kim, Shin-Je;Park, Jeong-Mee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2호
    • /
    • pp.165-172
    • /
    • 2010
  • Genes that are expressed early in specific response to high salinity conditions were isolated from rapeseed plant (Brassica napus L.) using an mRNA differential display method. Five PCR fragments (DD1.5) were isolated that were induced by, but showed different response kinetics to, 200 mM NaCl.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and homology search revealed that the deduced amino sequences of three of the five cDNA fragments showed considerable similarity to those of ${\beta}$-mannosidase (DD1), tomato Pti-6 proteins (DD5), and the tobacco harpin-induced protein hin1 (DD4),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remaining clones, DD3 and DD2, did not correspond to any substantial existing annotation. Using the DD3 fragment as a probe, we isolated a full-length cDNA clone from the cDNA library, which we termed BnSWD1 (Brassica napus salt responsive WD40 1). The predicted amino-acid sequence of BnSWD1 contains eight WD40 repeats and is conserved in all eukaryotes. Notably, the BnSWD1 gene is expressed at high levels under salt-stress conditions. Furthermore, we found that BnSWD1 was upregulated after treatment with abscisic acid, salicylic acid, and methyl jasmonate. Our study suggests that BnSWD1, which is a novel WD40 repeat-containing protein, has a function in salt-stress responses in plants, possibly via abscisic acid-dependent and/or -independent signaling pathways.

Soft X-ray분석(分析)에 의한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 자란 해송(Pinus thunbergii)의 연륜(年輪)의 특징(特徵) (Characteristics of Annual Rings of Pinus thunbergii Grown in the Air-polluted Area by Soft X-ray Analysis)

  • 김종갑;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51-359
    • /
    • 1991
  • Soft X-ray에 의한 연륜밀도해석법(年輪密度解析法)으로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 자란 해송(Pinus thunbergii) 성목(成木)의 연륜(年輪)에 대한 특징(特徵)을 알아본 결과, 연륜폭(年輪幅)과 대기밀도(最大密度), 최대밀도(最大密度)와 최소밀도(最小密度)의 차(差)(이하DD)는 공장이 가동된 이후 오염원(汚染源)의 주변지역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오염원(汚染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地域)에서 가장 뚜렷히 감소하고 있었고 추재율(秋材率)과 최소밀도(最小密度)는 오염(汚染)으로 인한 감소와 증가의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연륜폭(年輪幅) 및 최대밀도(最大密度), DD는 공장가동직후 5년동안보다도 5년이후부터 더욱 감소되고 있었으며 감소율(減少率) 역시 공장가동 5년이후 부터 증가되었고 연륜폭(年輪幅)의 감소율(減少率)이 가장 컸다. 이와같이 본조사를 통하여 본 해송의 연륜폭(年輪幅) 및 최대밀도(最大密度), DD는 오염으로 인한 생장저해(生長沮害)의 지표(指標)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 PDF

비선형 채널 환경에서 CEFSK 시스템의 성능 (Performance of CEFSK Systems in Nonlinear Channel Environments)

  • 이기훈;최병우;신관호;서종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1호
    • /
    • pp.79-87
    • /
    • 2013
  • 전력 및 대역폭 제한적 디지털통신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변조 기술인 상관부호화 FSK (CEFSK) 시스템의 성능을 단일 및 다중 반송파 비선형 채널 환경에서 분석하였다. CEFSK는 심볼간 간섭이 없으며 인접하는 두 심볼간의 진폭과 위상 사이에 상관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부드럽고 연속적인 위상천이와 함께 적은 포락선 변동을 갖는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CEFSK 시스템은 기존의 GFSK와 비교하여 비선형 왜곡에 대한 인접심볼간섭(ISI)과 혼변조(IM)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AWGN과 ISI 그리고 IM 성분을 갖는 비선형 증폭 채널 환경에서 CEFSK 시스템의 성능을 전산모의실험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단일채널에 대한 실험에서는 고출력증폭기의 입력 차단 (IBO)가 -1.0dB와 -3.0dB일 때, 단일 비트 차동검파 (1DD) CEFSK가 $BER=1{\times}10^{-4}$을 유지하기 위해서 1DD-GFSK 보다 1.2dB와 0.8dB 우수하고 다중채널의 경우에서는 IBO의 값과 무관하게 약 1.1dB 우수하였다.

열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저전압 DC-DC 부스트 변환기 (DC-DC Boost Converter for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 김명규;김한나;방준정;황인호;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7-25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열전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DC-DC 부스트 변환기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변환기는 열전소자의 작은 출력 전압으로부터 start-up 블록을 통해 일정 전압까지 승압된 $V_{DD}$를 얻으며, 이는 내부 블록들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V_{DD}$가 원하는 전압 값에 도달하면 detector가 이를 감지하여 start-up 블록을 off 시킴으로써 전류소모를 최소화하였다.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V_{DD}$를 위한 DC-DC 변환기와 최종출력 $V_{OUT}$을 위한 변환기를 번갈아가며 동작시켜서 최종적으로 승압된 출력을 얻는다. 모의실험 결과, 설계한 변환기는 열전소자로부터 200mV의 전압을 입력받아 2.8V의 전압을 출력한다. 0.35um CMOS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한 칩의 크기는 PAD를 포함하여 $1.52mm{\times}0.95mm$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