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PI/PI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초

크립토스포리디움의 활성/감염성 판별법을 이용한 오존 및 자외선 소독능 평가 (Evaluation of Cryptosporidiurn Disinfection by Ozone and Ultraviolet Irradiation Using Viability and Infectivity Assays)

  • 박상정;조민;윤제용;전용성;임연택;진익렬;정현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34-539
    • /
    • 2006
  • 크립토스포리디움은 염소내성이 매우 강해 일반적인 표준정수처리공정의 소독으로는 제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존 및 UV를 이용한 단위소독공정에서 DAPI/PI 및 in vitro excystation을 이용하여 크립토스포리디움 불활성화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 파일럿에서는 세포배양법을 이용하여 크립토스포리디움 불활성화를 평가하였다. 오존 소독연구는 50 mL 용량의 piston type batch reactor에서 용존오존을 자동적으로 측정해주는 flow injection analysis (FIA)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1 log 제거에 필요한 CT값은 $25^{\circ}C$에서 DAPI/PI 및 in vitro excystation에 의해 각각 약 1.8, 2.2 $mg/L{\cdot}min$으로 나타났으며, 2 log 제거에 필요한 CT값은 각각 약 3.2, 3.8 $mg/L{\cdot}min$으로 나타났다. 또한 $5^{\circ}C$에서 크립토스포리디움 1 log 제거에 필요한 CT값은 DAPI/PI 방법에 의해 약 9.1 $mg/L{\cdot}min$으로 나타났으며, 2 log제거에 필요한 CT값은 14.8 $mg/L{\cdot}min$로 나타나, 같은 소독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저온에서는 상온에서보다 요존 요구량이 약 $4{\sim}5$배 정도 증가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40 L규모의 오존 반응조를 이용한 파일럿 실험에서는 정수처리공정상 모래여과를 거친 물에 살아있는 크립토스포리디움을 접종한 것을 시료로 하여 연속적으로 흐르게 한 다음, 오존량을 변화시키고 체류시간은 5분으로 고정하여 불활성화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8 $mg/L{\cdot}min$의 CT값에서 DAPI/PI 및 excystation과 같은 생사판별법을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약 0.2 log정도의 불활성화를 나타내었으며, 세포감염시험법을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약 1.2 log정도의 불활성화를 나타냈다. 오존에 의한 크립토스포리디움의 소독능 평가에 단위공정 및 파일럿 실험 모두 2가지 생사판별법(DAPI/PI와 excystation) 사이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사판별법과 세포감염시험법 사이에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세포감염시험법으로 측정하는 sporozoite 및 merozoite로의 분화과정이 생사판별법이 근거한 세포벽의 구조와 기능 유지 보다 더 오존 소독에 더 민감함을 알 수 있었다. 파일럿 실험에서의 CT값이 piston batch reactor에서의 CT값 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파일럿 실험에서 수작업으로 인한 용존 오존 측정이 정밀하지 못하여 IOD가 농도에 반영되지 않았고, 반응조 규모(50 mL vs 40 L) 및 형태(회분식 vs 연속식)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UV를 이용한 단위공정에서는 크립토스포리디움 1, 2 log 제거에 필요한 IT값은 $25^{\circ}C$에서 각각 DAPI/PI 방법에 의해 약 25, 50 $mWs/cm^2$로 나타났으며, $5^{\circ}C$에서의 크립토스포리디움 1, 2 log제거에 필요한 IT값은 약 40, 80 $mWs/cm^2$로 나타났다. 온도 $20^{\circ}C$ 감소 시 약 60% 정도의 IT값이 더 필요한데, 이것은 저온에서는 약한 자외선을 발산하는 저압저출력 UV 램프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Ferutinin, an Apoptosis Inducing Terpenoid from Ferula ovina

  • Matin, Maryam Moghaddam;Nakhaeizadeh, Hossein;Bahrami, Ahamd Reza;Iranshahi, Mehrdad;Arghiani, Nahid;Rassouli, Fatemeh Behn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123-2128
    • /
    • 2014
  • A current hurdle in cancer management is the intrinsic or acquired resistance of cancer cells to chemical agents that restricts the efficacy of therapeutic strategie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sire to discover new natural compounds with selective toxicity to combat malignancies. In present study, the cytotoxic and apoptosis-inducing activities of ferutinin, a terpenoid derivative from Ferula ovina, were investigated on human breast (MCF7) and bladder (TCC) cancer cells as well as normal fibroblasts (HFF3).The toxicity and DNA damage inducing effects of ferutinin were studied by MTT and comet assays, DAPI and PI staining and DNA laddering. The $IC_{50}$ values of ferutinin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with routine prescribed drugs, doxorubicin and vincristine, by MTT test. Alkaline comet assay and DAPI staining revealed DNA damage due to ferutinin, which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in MCF7 and TCC than HFF3 cells. Apoptosis induction was evidenced by PI staining and DNA laddering. Our results suggest that ferutinin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nticancer agent for future in vivo and clinical experiments.

Resveratrol이 MDA-MB-231 유방암 세포에서 PI3K/Akt와 p53 신호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 (Resveratrol Induces Apoptosis through PI3K/Akt and p53 Signal Pathway i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 권중기;박영석;박병권;김병수;김상기;정지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2-459
    • /
    • 2012
  • 본 연구는 MDA-MB-231 세포에서 resveratrol의 apoptosis 유발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되었다. Cell viability 결과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DAPI stain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chromatin condensation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sveratrol은 p53, cleaved-caspase-3, cleaved-caspase-9의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PI3K/Akt의 발현은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In vivo 실험에서는 resveratrol의 종양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50 mg/kg 투여한 군에서 종양의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TUNEL assay를 통해 apoptosis cell을 관찰한 결과 50 mg/kg 투여한 군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50 mg/kg 투여한 군에서 p53, cytochrome-C, cleaved-caspase-3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봤을 때 resveratrol이 MDA-MB-231 세포에 apoptosis를 유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3-hydroxyursolic acid Induces Apoptosis of human leukemia HL-60 cells

  • Heon, Won-Jong;Shin, kyung-Min;Rim, Seo-Bo;Park, Hee-Jun;Park, Jong-Won;Lee, Kyung-Ta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18.1-318.1
    • /
    • 2002
  • We found that 23-hydroxyursolic acid, triterpenoid was isolated from Cussonia bancoensis have a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HL -60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The IC of 23-hydroxyursolic acid was 32.83 $\mu$M. These anti-proliferative activity was due to induction of apoptosis. The effect of apoptosis was identified by DNA laddering, DAPI assay. PI staining, and Annerxin V-FITC binding assay. (omitted)

  • PDF

UV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섬유아세포의 세포사에 미치는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열매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Fruit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Apoptosis of Skin Fibroblasts)

  • 황인식;고은경;김지은;이영주;곽문화;고준;성지은;송성화;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67-475
    • /
    • 2014
  •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은 flavonoid, carotenoids, steroids, vitamin, tannins, oleic acid 등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높은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오랫동안 피부질환(skin diseases), 위궤양(gastric ulcers), 천식(asthma), 폐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와 유럽의 고지대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Sea buckthorn의 열매추출물(SBFE)이 UV조사 후 유도되는 세포사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세포사와 관련된 다양한 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세포사를 유발할 수 있는 UV조사농도는 400 mJ로 설정하였고, 세포생존율은 UV + LoC, UV + MeC, UV + HiC 처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FACS와 DAPI염색의 결과에서 PI로 염색된 세포수는 UV + vehicle 처리군에서 급격히 증가한 이후 UV + SBF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nnexin V가 염색된 세포 수는 고농도의 SFBE을 처리한 UV + HiC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PI와 Annexin V가 동시에 염색된 세포의 수는 UV + LoC 처리군에서 오히려 증가하였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세포사와 관련된 단백질의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 caspase-3는 pro 형태와 active 형태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Bax와 Bcl-2 모두 UV 무처리군에 비하여 UV + Vehicle 처리군에서 감소하였으나 Bax의 발현양은 UV + SBFE 처리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한 반면, Bcl-2의 발현양은 UV + SBFE 처리군에서 추가적으로 더욱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들은 SBFE가 UV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를 억제하거나 회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UV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상해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20(S)-Protopanaxadiol Induces Human Breast Cancer MCF-7 Apoptosis through a Caspase-Mediated Pathway

  • Zhang, Hong;Xu, Hua-Li;Fu, Wen-Wen;Xin, Ying;Li, Mao-Wei;Wang, Shuai-Jun;Yu, Xiao-Feng;Sui, Da-Y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919-7923
    • /
    • 2014
  • 20(S)-Protopanaxadiol (PPD), a ginsenoside isolated from Pananx quinquefolium L., has been shown to inhibit growth and proliferation in several cancer cell lin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ts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cells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20(S)-PPD and cytotoxicity was evaluated by MTT assay. Occurrence of apoptosis was detected by DAPI and Annexin V-FITC/PI double staining.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as measured with Rhodamine 123. The Bcl-2 and Bax expression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Caspase activity was measured by colorimetric assay. 20(S)-PPD dose-dependently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MCF-7 cells, with an $IC_{50}$ value of $33.3{\mu}M$ at 24h. MCF-7 cells treated with 20(S)-PPD presented typical apoptosis, as observed by morphological analysis in cell stained with DAPI. The percentages of annexin V-FITC positive cells were 8.92%, 17.8%, 24.5% and 30.5% in MCF-7 cells treated with 0, 15, 30 and $60{\mu}M$ of 20(S)-PPD, respectively. Moreover, 20(S)-PPD could induc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loss, up-regulate Bax expression and down-regulate Bcl-2 expression. These events paralleled activation of caspase-9, -3 and PARP cleavage. Apoptosis induced by 20(S)-PPD was blocked by z-VAD-fmk, a pan-caspase inhibitor, suggesting induction of caspase-mediated apoptotic cell death. In conclusion, the 20(S)-PPD investigated is able to inhibit cell proliferation and to induce cancer cell death by a caspase-mediated apoptosis pathway.

Bleomycin Inhibits Proliferation via Schlafen-Mediated Cell Cycle Arrest in Mouse Alveolar Epithelial Cells

  • Jang, Soojin;Ryu, Se Min;Lee, Jooyeon;Lee, Hanbyeol;Hong, Seok-Ho;Ha, Kwon-Soo;Park, Won Sun;Han, Eun-Taek;Yang, Se-R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2호
    • /
    • pp.133-142
    • /
    • 2019
  • Backgrou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nvolves irreversible alveolar destruction. Although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are key functional participants within the lung parenchyma, how epithelial cells are affected upon bleomycin (BLM) exposure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BLM could induce cell cycle arrest via regulation of Schlafen (SLFN) family genes, a group of cell cycle regulators known to mediate growth-inhibitory responses and apoptosis in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Methods: Mouse AE II cell line MLE-12 were exposed to $1-10{\mu}g/mL$ BLM and $0.01-100{\mu}M$ baicalein (Bai), a G1/G2 cell cycle inhibitor, for 24 hours. Cell viability an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analyzed by MT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Apoptosis-related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Cellular morphology was determined after DAPI and Hoechst 33258 staining. To verify cell cycle arrest, propidium iodide (PI) staining was performed for MLE-12 after exposure to BLM. Results: BLM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MLE-12 cells.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6,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Based on Hoechst 33258 staining, BLM induced condensation of nuclear and fragmentation. Based on DAPI and PI staining, BL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nuclei and induced G2/M phase cell cycle arrest. Results of qRT-PCR analysis revealed that BLM increased mRNA levels of BAX but decreased those of Bcl2. In addition, BLM/Bai increased mRNA levels of p53, p21, SLFN1, 2, 4 of Schlafen family. Conclusion: BLM exposure affects pulmonary epithelial type II cells, resulting in decreased proliferation possibly through apoptotic and cell cycle arrest associated signaling.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의 신경아세포종 SK-N-SH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nake Venom Toxin from Vipera Lebetina Turanica on Neuroblastoma SK-N-SH Cells)

  • 심재영;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53-69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액(蛇毒藥鍼液)(Snake venom toxin, SVT)이 인간 신경아세포종의 암세포주인 SK-N-SH 세포에서 암세포성장의 억제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SK-N-SH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CCK-8 assay와 LDH assay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세포형태의 관찰과 DAPI, TUNEL, Annexin V-PI double staining assay 및 cell detachment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을 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세포내 칼슘량, 세포내 활성산소량 및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 변화를 측정하였고, DNA fragmentation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인 Bax, Bcl-2, caspase-3, -9의 발현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SK-N-SH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 신경아세포종 세포의 성장, Apoptosis의 유발 및 기전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VT를 처리한 SK-N-SH 세포 관찰에서 세포독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암세포성장의 유의한 억제는 $20{\mu}g/m{\ell}$ SVT에 의해서만 나타났다. 2. 세포자멸사 평가에서 SVT를 처리한 SK-N-SH 세포는 세포자멸사의 특징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에서는 세포자멸사 활성세포가 미약하게 나타난 반면 cell detachment assay와 Annexin V-PI double staining에서는 각각 세포박리와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연구에서 SVT를 처리한 SK-N-SH 세포의 세포주기, 세포 내 칼슘양 및 DNA fragmentation에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세포내 활성산소 양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의 유의한 변동이 관찰되었다. 4. SVT를 처리한 SK-N-SH는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 발현에서 Bax에 대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aspase-3 및 caspase-9의 유의한 증가와 Bcl-2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세포 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에 변화를 일으켜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주인 SK-N-SH의 세포박리와 유관한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 PDF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이 신경아세포종 SK-N-MC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nake Venom Toxin from Vipera Lebetina Turanica on Neuroblastoma SK-N-MC Cells)

  • 심재영;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41-57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액(蛇毒藥鍼液)(Snake venom toxin, SVT)이 인간 신경아세포종의 암세포주인 SK-N-MC 세포에서 암세포성장의 억제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SK-N-MC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CCK-8 assay와 LDH assay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세포형태의 관찰과 DAPI, TUNEL, Annexin V-PI double staining assay 및 cell detachment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을 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세포내 칼슘량, 세포내 활성산소량 및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 변화를 측정하였고, DNA fragmentation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인 Bax, Bcl-2, caspase-3, -9의 발현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SK-N-MC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 신경아세포종 세포의 성장, Apoptosis의 유발 및 기전에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VT를 처리한 SK-N-MC 세포 관찰에서 $20{\mu}g/m{\ell}$ SVT 처리가 암세포성장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관찰에서 SVT처리는 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증가를 나타내었다. 2. 세포자멸사 평가에서 SVT를 처리한 SK-N-MC 세포는 세포자멸사의 특징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에서는 세포자멸사 활성세포가 미약하게 나타난 반면 cell detachment assay와 Annexin V-PI double staining에서는 각각 세포박리와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연구에서 SVT를 처리한 SK-N-MC 세포의 세포주기, 세포내 칼슘량 및 DNA fragmentation에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세포내 활성산소 양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의 유의한 변동이 관찰되었다. 4. SVT를 처리한 SK-N-MC는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 발현에서 caspase-9에 대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Bax 및 caspase-3의 유의한 증가와 Bcl-2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세포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므로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에 변화를 일으켜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주인 SK-N-MC의 세포박리와 유관한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므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 PDF

Curcumin Induces Caspase Mediated Apoptosis in JURKAT Cells by Disrupting the Redox Balance

  • Gopal, Priya Kalyan;Paul, Mausumi;Paul, Santan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93-100
    • /
    • 2014
  • Background: Curcumin has has been reported to exert anti-inflammatory, anti-oxidation and anti-angiogenic activity in various types of cancer. It has also been shown to induce apoptosis in leukemia cells. We aimed to unravel the role of the redox pathway in Curcumin mediated apoptosis with a panel of human leukemic cell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in vitro cytotoxicity of Curcumin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apoptotic effects were assessed by annexin V/PI, DAPI staining, cell cycle analysis, measurement of caspase activity and PARP cleavage. Effects of Curcumin on intracellular redox balance were assessed using fluorescent probes like $H_2DCFDA$, JC1 and an ApoGSH Glutathione Detection Kit respectively. Results: Curcumin showed differential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on different human leukemic cell lines in contrast to minimal effects on normal cells. Curcumin 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the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OS,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tracellular GSH depletion, caspase activation. Conclusions: As Curcumin induces programmed cell death specifically in leukemic cells it holds a great promise as a future therapeutic agent in the treatment of leuk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