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BUL Industrial Complex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전남산업단지의 지표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s of Industrial Complexes in Jeonnam Using Landsat 7 ETM+ Satellite Images)

  • ;;허정원;한동엽
    • 지역연구
    • /
    • 제31권3호
    • /
    • pp.99-112
    • /
    • 2015
  • 기상관측망은 충분히 고밀도로 구축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산업지역의 전체 지표온도를 얻기는 쉽지 않다. 넓은 지역에 걸쳐 취득하고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 원격탐사 정보를 통하여 특정지역에서 현재의 변화하는 지표온도를 정확하고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전라남도는 광양제철소, 여수산업단지, 율촌산업단지, 대불산업단지와 같은 많은 산업단지와 함께 빠르게 산업화되고 있다. 산업단지 내 지표온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Landsat 7 ETM+의 열적외 파장영상을 이용하여 4개의 산업단지의 지표온도를 비교하였다. 이로부터 환경적 자연적 자원관리를 위한 산업단지의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산업단지계획가에서 환경적 문제와 관련된 개발방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목포 연안해역의 해수, 퇴적물 및 해조류에 축적된 중금속 함량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awater, Sediment and Seaweed in Mokpo Coastal Regi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박찬선;위미영;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03-310
    • /
    • 2008
  •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Fe, Zn, Cu, Cd and Pb were analysed from seaweeds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Caulacanthus okamurae), sediments and seawater at the two experimental sites of Daebul and Sabjin industrial complex in Mokpo coastal area with a control site (Heugsando). Highest values of heavy metals were found at two experimental sites influencing by various pollution sources such as industrial drains, sewage and harbours. In contrast, the lowest concentrations was observed at the control site without any pollution sourc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accumulated heavy metal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seaweeds > sediments > seawater.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ere observed at the seaweeds, sediments and seawater for the highest mean values of the different heavy metals. This result show that seaweeds could be used as a biomonitors of heavy metals at coastal region.

대불산업단지 도로먼지 내 중금속류 오염 특성: 입도와 자성에 따른 구분 (Characteristics for Heavy Metal Pollution in Road Dust from Daebul Industrial Complex: Classification by Particle Size and Magnetic Separation)

  • 정혜령;최진영;나공태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4호
    • /
    • pp.252-2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불산업단지 내 14개 지점에서 채취한 도로먼지의 입도, 중금속 성분, 자기특성 등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오염도 평가를 통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였다. 도로먼지 내 금속농도는 Fe>Zn>Cu>Pb>Cr>Ni>As>Cd>Hg 순이었으며, 중금속류 오염은 연구지역의 주요 산업 및 교통 활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먼지 내 중금속 원소와 입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Fe 및 모든 분석된 원소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입자크기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p<0.05). 그러나 큰 금속 입자들의 노면 유입으로 인해 일부 금속의 경우 >1000 ㎛의 입자의 중금속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분율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이 다른 입도분율보다 높았다. 도로먼지에서 자성입자의 분리 후 Cr, Ni, Cu, Zn, Cd, Pb의 농도 수준이 전체의 85(As)-22(Ni)%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지역 도로먼지의 평균 중금속 오염도는 3지역 토양환경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지점의 경우 Zn 농도 기준을 초과해 재 비산이나 비점오염유출 등을 통해 도로먼지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적 관리방법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木浦港 開發 및 大佛産業團地 造成에 따른 沿岸海域 變化(II) - 海上環境을 中心으로 - (The Change of Coastal Water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II))

  • 이중우;정명선;민병언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64
    • /
    • 1992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oceanographical environment caused by Mokpo coastal zon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Special emphasis was placed on the clarification of the water level changes and coastal current structure and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astal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ceangraphical environemnt,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pH,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 tide and current were measured. To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ide and curre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a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ertain zones, it was found to be flooding problems near the lowlying commercial area.

  • PDF

목포항 개발 및 대불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연안해역 변화(I)- 해면 정온도를 중심으로 - (The Change of Coastal Water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I))

  • 이중우;정명선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7-96
    • /
    • 1991
  • The change of water level at Mokpo Harbour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Youngsan Estuary Barrage and the Third Land Reclamation Work of estuary barren had been roughly expected. Periodical floods, which occur 2 times per month, are also being observed at the low lying commercial areas near the Mokpo Old Harbor.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highest tidal current component among the tidal current records at the approaching channel to Mokpo Harbor is reduced to 6 kts, because of the esturary barrage, they do not give any precise statement or a deep analysis for the flooding and periodical water level change under certain environmental conditions. Moreover, they never tried the analysis of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natural disaster such as typhoon or other extreme condi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related to floodings, harbor oscillations, currents, and water quality , etc. because of the development considering the extreme condition. Thus,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related to floodings, harbor oscillations, currents, and water quality, etc. because of the development considering the extreme condition and to evaluate the field observation and measurement, including the numerical model simulation based on the scientific approaches. This study deals the problem of the water level change among the integrated analyses of the coastal area changes. The result can be used for the integrated planning to give a strong foundation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area.

  • PDF

20kHz 급 금속 초음파 융착용 스텝형 바 혼의 최적설계 (Analysis of Optimum Design of Stepped Bar Horn for 20kHz Metal Ultrasonic Welding)

  • 김지선;김재웅;김인주;서주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94-10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용접기의 진동에너지를 모재에 전달하는 금속 용접용 혼의 형상설계를 위해 해석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20kHz 영역에서 사용되는 한파장 바 형상을 갖는 용접용 혼의 형상설계를 위해 FEM(Finite Element Method)을 사용하였다. 봉의 종진동 이론을 Ansys APDL(Ansys Parametric Design Language)에 적용하여 혼의 형상을 최적화하였다. 적절한 혼의 형상을 도출하기 위해 진동의 입력면과 출력면의 면적비와 혼의 축방향 길이비를 이용하여 총 25가지의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Modal 해석과 Harmonic 해석을 통해 균일한 진동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스텝 바혼의 끝단부(팁)의 균일도 90%이상을 확보하기 위해 Harmonic 해석을 통해 길이비, 면적비를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혼의 총길이 130mm, 스텝 길이 65mm, 출력단 면적 28.79mm의 혼을 설계하였다. 설계치수를 바탕으로 Titanium (Ti-6Al-4V)-GR5 재료를 이용하여 혼을 제작하였다. 또한, 별도로 구성된 초음파 용접시스템을 이용하여 혼의 끝단부의 진동 진폭률 및 변위특성을 평가하였다. 최적화된 혼의 진폭률은 51%까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균일한 종방향 스텝 바혼을 설계하였으며, 끝단부(팁)의 균일도 97.4%이상을 확보하였다.

목포항 개발 및 대불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연안해역 해면변화 (The Changes of Coastal Water Level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

  • 정명선;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1년도 하계학술발표회 한국항해학회
    • /
    • pp.37-44
    • /
    • 1991
  •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의 건설로 인한 항만 및 이의 인접해역 해면의 변화는 예상한 바 있으며 실제 여러개소에서 월 2회정도의 주기로 목포 구항부근 상업지역에서 해면상승에 따라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목포항의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 조성으로 인한 조류성분중 최고기록을 가진 수로에서는 6kts 정도로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주위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수면 상승 및 해수면의 주기적인 변화 등에 대한 상세한 언급 및 깊이 있는 분석은 회피되어왔다. 수자원의 효율적관리를 위해 하구언 방조제는 이미 건설되었고 앞으로 대규모의 항만개발과 대불산업단지조성을 위해 추가 3개의 만입해안해역에 댐으로 해역을 막아 매립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분석은 타당성의 여부만을 강조한 상업적 용역이 이루어지고 있고 장래 개발에 대해 학술적이고 실질적인 문제점 추출과 해결방아네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경시한 바가 많다 더구나 태풍 저기압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고려한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전후의 현상에 대한 상세한 자료 및 현장 조사와 극한 상태를 고려하여 개발에 따른 수위상승 부진동, 조류 수질등 이해역의 변화요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과학적 접근방법에 기초를 둔 수치모델의 실험을 포함하여 현장관측 및 측정자료를 검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되어 종합분석의 한단계로 여기서는 하구언 및 하구간척(Land Reclamatic of Estuary barren)으로 해역축소에 따른 해면변화의 실제현상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이를 수치모델을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보았다 이는 종합개발의 좋은 기초자료로 이용됨은 물론이로 이지역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본다.적절하게 가정된 지반의 응력-변형률 관계와 간극수압특성에 의하여 고려되었다. 그 결과 응력 및 변위가 심하게 발생하는 지역은 황색 점토층이었으며 이로부터 황색 점토층에서 부터 파괴면이 생성되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form trap with 2.88[eV] deep of injected space charge from the chathode in the crystaline regions. The origin of ${\alpha}$$_2$ peak was regarded as the detrapping process of ions trapped with 0.9[eV] deep originated from impurity-ion remained in the specimen during production process of the material, in the crystalline regions. The origin of ${\beta}$ peak was concluded to be due to the depolarization process of "C=0"dipole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0.75[eV] in the amorphous regions. The origin of ${\gamma}$ peak was responsible to the process combined with the depolarization of "CH$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