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

검색결과 28,562건 처리시간 0.053초

32'-diagonal Gated CNT Cathode

  • Lee, Chun-Gyoo;Lee, Sang-Jo;Lee, Sang-Jin;Chi, Eung-Joon;Lee, Jin-Seok;Yun, Tae-Il;Lee, Byung-Gon;Han, Ho-Su;Ahn, Sang-Hyuck;Jung, Kyu-Won;Kim, Hun-Yeong;Yun, Bok-Chun;Park, Sung-Man;Choi, Jong-Sik;Oh, Tae-Sik;Kang, Sung-Kee;Kim, Jong-M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303-304
    • /
    • 2002
  • 32"-diagonal gated carbon nanotube(CNT) cathodes named under-gate cathodes for large-size display applications have been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The emission uniformity looks fine, even without the resistive layer. The emission performance has been improved by scaling down the cathode electrode dimension.

  • PDF

R&D Scoreboard에 의한 연구개발투자와 성과의 연관성 분석

  • 조성표;이연희;박선영;배정희
    • 기술혁신연구
    • /
    • 제10권1호
    • /
    • pp.98-123
    • /
    • 2002
  • This study develops a Korean R&D Scoreboard which has originated from the R&D Scoreboard in United Kingdom. The Scoreboard contains details of the R&D investment, sales, growth, profits and employee numbers for Korean companies which are extracted from company annual reports and key ratios calculated, with some movements over time. Companies are classified by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The Scoreboard contains 190 companies which consist of 100 largest companies and 30 middle-or small-sized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KSE), and 30 ventures and 30 other firms listed in KOSDAQ. The overall company R&D intensity (R&D as a percentage of sales) is 2.1%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average of 4.2%. Korea has an unusually large R&D percentage of sales in IT hardware (4.9%) and telecommunication (3.7%). R&D intens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pany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profitability, sales growth, productivity and market value. For largest companies listed in KSE and ventures listed in KOSDAQ, the ratio of operating profit to sales is greater for high R&D intensity companies. Sales growth is in proportion to R&D intensity for all companies. Plots of value added per employee or sales per employee vs R&D per employee rise together for the sectors studied, especially for the chemical sectors and automobile sectors, demonstrating a correlation with productivity. The average market value of high R&D companies in the KSE has risen more than 1.6 times that of the KOSPI 200 index. Given the correlation between R&D intensity and company performance and given that R&D is a smaller percentage of surplus (profits plus R&D) than international level (both overall and in several sectors), the challenges facing Korean companies are to maintain the leading position in IT hardware and telecommunication, and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R&D in many medium-intensive R&D sectors where Korea has an average intensity well below international or US levels.

  • PDF

문턱회귀모형(threshold regression)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적정 R&D 투자수준 분석 (Analysis on the Adequate Level of R&D Invest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Using Threshold Regression)

  • 정의영;백철우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1호
    • /
    • pp.87-105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 중소기업의 R&D 투자와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비선형 형태를 확인하고, 문턱값인 투자적정수준을 도출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투자와 성과 간 시차를 고려하지 않거나, 투자와 성과 간 회귀모형에서 투자 변수의 1차, 2차 항을 이용한 산술적 계산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투자수준을 결정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2년의 시차를 가정한 문턱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R&D 집중도 및 연구원비율과 이익률간의 관계는 S곡선 형태를 보였고,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 기준으로 6.4%, 종업원수 대비 연구원수 기준으로 13%가 R&D 투자의 적정수준으로 도출되었다. 연구로부터 도출된 투자 및 성과 간 관계 형태와 문턱값은 향후 기업의 R&D 투자 전략 및 정부 지원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 기술개발 전략 실증분석을 통한 R&D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 농생명자원 활용분야 중심으로 (A Study on Plans to Enhance R&D Efficiency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National R&D Strategy Focusing on Agricultural Bioresources)

  • 김은정;전은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7-298
    • /
    • 2012
  • 농림수산식품 산업은 기존의 생산 중심의 1차 산업을 탈피하여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농업 R&D 패러다임의 전면적인 전환을 도모하고 있으며, 특히 농생명자원을 활용한 생명산업 등의 육성을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범부처 청 차원에서 R&D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산업의 핵심자원인 농생명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 등 전 단계에 걸친 국가 R&D 정책, 기술개발 전략, 사업 추진현황, 성과 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용화 조기 달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제안된 개선방안으로부터 농생명자원 R&D 분야의 정부/민간, 부처(청) 내 역할분담 및 협력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부 R&D 투자의 전략성 효율성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한 생명산업의 산업화 성공사례 조기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정부의 R&D 정책과 연구개발 네트워크의 구조 및 공간적 특성: 한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Government Policies, R&D Networks and Space: The Case of Korean national R&D Projects)

  • 김형주;이정협;손동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33
    • /
    • 2008
  • 정부의 R&D 정직은 직 간접적으로 혁신주체의 구성이나 공간적인 측면 등 다양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한국 정부는 산업화와 함께 R&D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정부의 정책은 정부출연연구기관 중심의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일부 지역에 집중된 공간적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주도로 추진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참여 주체의 다원화와 네트워크의 지역화 경향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부처별 국가연구개발사업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과거 정부출연연구기관 중심으로 추진되어온 국가연구개발사업 네트워크에서 대학과 기업이 핵심주체로 추출되는 등 다원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인 측면에서는 일부 지역에 집중되어온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16개 시도별 기업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전국 단위 혹은 수도권에 종속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공동연구수행체제 및 참여기업의 기술획득전략-유형별 기업화성과 분석- (Technology Sourcing Strategies and Cooperative Patterns in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 이철원;배종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34
    • /
    • 1995
  • Since 1982, the government of Korea has actively promoted vertical cooperative R&D programs betwee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GRIs) and private firms. A number of firms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because cooperative R&D could lower the risk and could contribute to rapid commercialization of many technologie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by the modes of cooperation between GRIs and industrial firms,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firms' technology sourcing strategies for commercial utilization of cooperative R&D results at the project performed from 1982 to 1989 under the Government-Industry Cooperative R&D Program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MOST) in Korea. The cooperative R&D projects a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two criteria, i.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firms, and the breadth of cooper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irm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cooperative R&D pro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commercial success, cooperation between GRIs and industrial firms should not be limited to R&D stage only. The breadth of cooperation should be extended to commercialization stage. Small- and medium-sized firms participating in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in Korea usually lack internal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at are needed to commercialize the results of cooperative R&D. Three different technology sourcing strategies - exclusive cooperative R&D strategy, in-house development augmented cooperative R&D strategy, and licensing-in supplemented cooperative R&D strategy - are empirically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of the relative usage rates cooperative R&D and of other supplementary technology acquisition method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irms participating in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should try to utilize other supplementary technology acquisi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commercial utilization of the vertical cooperative R&D results.

  • PDF

실무 적용성 제고를 위한 R&D Portfolio 모형 확장 연구 (A Study of R&D Portfolio Model Expansion for Improving Practical Application)

  • 안태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9권
    • /
    • pp.1-15
    • /
    • 2006
  • The concept of portfolio is rarely understood and used in R&D management field. The conventional management technique in selecting R&D projects is scoring each projects and choosing projects based on the scores which are determined during evaluation. As a collection of good stocks is not necessarily a good stock portfolio, a collection of good R&D projects is not always a good R&D project portfolio. In this paper, framework and practical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R&D project portfolio are introduced. This technique can be easily applied in private and plublic R&D institutes.

  • PDF

중소기업 R&D출연·보조금 지원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 Subsidy for SMEs' R&D Activities)

  • 유천;김학민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5호
    • /
    • pp.51-66
    • /
    • 2014
  • 중소기업의 연구개발과 수출성과를 포함한 경영성과와의 관계는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본 연구는 정부의 중소기업 R&D출연 보조금 지원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본 지원정책이 기술개발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긍정론도 존재하지만, 반대로 기업의 자체적인 투자를 위축시켜 오히려 기업의 혁신활동을 감소시킨다는 부정적 견해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연 중소기업 R&D출연 보조금 지원정책이 효과적인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분석범위를 정부의 중소기업 R&D출연 보조금 지원정책이 기업 R&D투자의 촉진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DID 모형과 확률효과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의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은 자기조달 R&D투자를 4.7% 감소시켰지만, R&D집약도는 2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R&D집약도가 1% 높아질 때 6.47%의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R&D출연 보조금 지원정책이 중소기업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