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toxic Effect

검색결과 1,308건 처리시간 0.036초

($Interferon-{\gamma}$)가 마우스 조골세포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terferon-{\gamma}$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Mouse Osteoblast MC3T3/E1 Cells In Culture)

  • 이관훈;김정근;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216-229
    • /
    • 1996
  • Interferon(IFN) is a sort of glycoproteins that are produced by activated lymphocyte, monocyte and fibroblast. IFN has anti-viral effects, immuno-defensive mechanism and regulating properties to the several kinds of cells that includes affect on the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The effect of IFN on the osteoclast & other tissue cells has been studied in a number of researchers with the limited reports on the osteobl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FN on the osteoblastic function. The MC3T3/El cell(Mouse osteoblast) was incubated in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containing 10% FBS. To detect the cytotoxic effect of $IFN-{\gamma}$ on osteoblast, the cells were cultured in 96-well plate to which $IFN-{\gamma}$ of various concentrations were added for 2 days. After staining with trypan blue, total cells and living cells were counted under microscope. To determine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t(ALP), various concentrations of $IFN-{\gamma}$ were treated to culture medium, and biochemical assay was performed. $IFN-{\gamma}$ and $IFN-{\gamma}$ plus cycloheximide were added to culture medium separately and then ALP activity were determined. To detect the effect of the $IFN-{\gamma}$ on the bone formation of osteoblast, long-term culture was performed,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were observed using von Kossa's staining. After the addition of $IFN-{\gamma}$ with various concentrations to the medium, no cytotoxic effect of $IFN-{\gamma}$ was detected at any concentration. The significant increase in ALP activity of osteoblast were found the concentration of $IFN-{\gamma}$ 500-2500U/ml and the culture time of 24-48 hours respectively. The enhancement of ALP activity by $IFN-{\gamma}$ of osteoblas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treatment of cycloheximide. After long-term culture of osteoblast, the nodule formation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number and density by the addition of 500 U/ml $IFN-{\gam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N-{\gamma}$ was affected on the bone formation of osteoblast. Forthemore this kind of study or $IFN-{\gamma}$ to osteoblast will be held continuously.

  • PDF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Jaspine B의 함암활성 비교 (Differential Cytotoxic Effects of Jaspine B in Various Cancer Cells)

  • 이지훈;최광익;권미화;이동주;최민구;송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92-1399
    • /
    • 2016
  • Jaspine B는 석회해면류에서 추출된 sphingosine유도체로 인간 암세포에서의 항암활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양한 인간 암세포주에서 항암활성을 비교하고, 암세포주에서의 Jaspine B의 농도를 측정하여 항암 활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암활성은 MTT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EC_{50}$ 값으로 표현하였다. 암세포주내 Jaspine B의 농도는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항암활성은 세포주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유방암과 흑색종 세포주에서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EC_{50}$ 각각 $2.3{\mu}M$$2.6{\mu}M$), 신장암세포주에서는 $EC_{50}$ 값이 $29.4{\mu}M$이었다. 암세포주에서의 $EC_{50}$ 값은 동일한 세포에서의 Jaspine B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r=0.838), 암세포내 약물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P-glycoprotein과 breast cancer resistance protein 등의 배출수송계와는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세포내 약물농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항암활성에 매우 중요하며, 세포내 약물농도가 암세포주에 따라 다른 약효를 보이는 원인으로 사료된다.

흰목이(Tremella fuciformis)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 및 항암 효과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remella fuciformis)

  • 오윤희;김상범;이건우;김혜영;심미자;노현수;이현숙;이민웅;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11
    • /
    • 2006
  • 흰목이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세포 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2000{\mu}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염용액 추출물도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아서 이들 물질을 세포에 투여 할 경우 안전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Sarcoma 180 복수암을 유발시킨 생쥐에 투여하고 수명연장효과를 측정한 결과 53%의 수명연장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3.0{\sim}8.1$배 증가시켰으며, 총 복강 세포 수에서도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7.4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처리군의 백혈구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가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따라서 흰목이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 최승필;이의용;함승시;이득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12-218
    • /
    • 2008
  •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실험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를 처리한 S. typhimurium AT100 균주에 대해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00 ${\mu}g/plate$)이 80.6%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며, 4NQO를 처리한 TA98 및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은 85% 이상의 돌연변이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Trp-P-1에서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80.9와 85.9%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A549 와 Colo 205 세포에 1.0mg/ml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 시 모두 70.3% 이상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MCF-7 과 Hep3B 세포의 경우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0mg/ml)에서 80% 이상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AGS는 1.0mg/ml농도의 에틸아세테에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강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녹차 폴리페놀 성분과 일반 의약품의 상호작용에 의한 장관계 세포 독성 평가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Tea Polyphenols in Intestinal Cells Treated with Over-the-counter Drugs)

  • 최현아;김미리;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41-64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PPE와 일반 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일어날 수 있는 상호 작용에 의한 세포독성 변화를 장관계 정상세포와 암세포 모델에서 비교하였다. PPE는 정상 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에 농도의존적인 독성을 나타내었고, $IC_{50}$ 수치는 각각 29.9과 57.4 ${\mu}g/mL$로써 암세포에 더욱 강력한 독성을 보였다. PPE와 200 ${\mu}M$ 이하의 저농도 약물을 HCT 116 세포에 24, 48시간 복합 투여한 결과 전체적으로 현저한 독성의 변화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HCT 116 세포에서 항산화효소 SOD 존재 시에 PPE 독성의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이 조건에서도 약물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PPE로부터 생성되는 $H_2O_2$의 양은 5 mM 이상의 Asp 또는 Ibu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AAP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INT 407 세포와 HCT 116 세포에서 mM 이상의 고농도 약물과 PPE를 복합 처리하여 세포독성변화를 본 결과 현저한 독성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INT 407 세포에서 PPE 존재 시 AAP의 독성이 다소 증가하였다. 한편 PPE와 약물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처리하였을 때 HCT 116 세포에서의 독성이 단독처리 시 각각의 합보다 20% 이내에서 증가하였다. PPE와 빈번히 복용되는 일반 의약품 AAP, Asp 및 Ibu를 여러 조합에 의해 장관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부 독성의 강화현상이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두드러진 독성발현 빛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IL-12 Production and Subsequent Natural Killer Cell Activation by Necrotic Tumor Cell-loaded Dendritic Cells in Therapeutic Vaccinations

  • Kim, Aeyung;Kim, Kwang Dong;Choi, Seung-Chul;Jeong, Moon-Jin;Lee, Hee Gu;Choe, Yong-Kyung;Paik, Sang-Gi;Lim, Jong-Seok
    • IMMUNE NETWORK
    • /
    • 제3권3호
    • /
    • pp.188-200
    • /
    • 2003
  • Background: Immunization of dendritic cells (DCs) pulsed with tumor antigen can activate tumor-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s (CTL) that are responsible for protection and regress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uptake of necrotic tumor cells could modulate DC phenotypes and whether the immunization of necrotic tumor cell-loaded DCs could elicit efficient tumor specific immune responses followed by a regression of established tumor burdens. Methods: We prepared necrotic tumor cell-pulsed DCs for the therapeutic vaccination and investigated their phenotypic characteristics, the immune responses induced by these DCs, and therapeutic vaccine efficacy against colon carcinoma in vivo. Several parameters including phagocytosis of tumor cells, surface antigen expression, chemokine receptor expression, IL-12 production, and NK as well as CTL activation were assessed to characterize the immune response. Results: DCs derived from mouse bone marrow efficiently phagocytosed necrotic tumor cells and after the uptake, they produced remarkably increased levels of IL-12. A decreased CCR1 and increased CCR7 expression on DCs was also observed after the tumor uptake, suggesting that antigen uptake could induce DC maturation. Furthermore, co-culturing of DCs with NK cells in vitro enhanced IL-12 production in DCs and IFN-${\gamma}$ production in NK cells, which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IL-12 production and cell-to-cell contact. Immunization of necrotic tumor cell-loaded DCs induced cytotoxic T lymphocytes as well as NK activation, and protected mice against subsequent tumor challenge. In addition, intratumoral or contra-lateral immunization of these DCs not only inhibited the growth of established tumors, but also eradicated tumors in more than 60% of tumor-bearing mice. Conclusion: Our data indicate that production of IL-12, chemokine receptor expression and NK as well as CTL activation may serve as major parameters in assessing the effect of tumor cell-pulsed DC vaccine. Therefore, DCs loaded with necrotic tumor cells offer a rational strategy to treat tumors and eventually lead to prolonged survival.

Fumonisin B$_1$의 SD흰쥐에 대한 세포분열과 세포독성작용 (Mitogenic and Cytotoxic Effect of pure Fumonisin B$_1$, a carcinogen, in Sprague-Dawley Rats.)

  • Lim, Chae Woong;Has;Rim, Byung Moo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
    • /
    • 1996
  • Fumonisin B$_1$(FB$_1$)은 모든 동물종에서 간독성을 나타내며 흰쥐에서는 간암과 신장독성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FB$_1$의 반복투여 효과를 관찰하고자 수컷 Sprague-Dawley 흰쥐에 1 mg FB$_1$/kg을 1일(T$_1$) 혹은 2일(T$_2$), 3일(T$_3$)간 반복주사하였다. T$_1$군에서는 간장과 신장 다같이 독성작용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간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5.5배의 증가된 세포분열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T$_3$군에서는 병리조직학적 관찰과 혈청검사에서 간소엽 중심부에 병변이 있는 간독성이 관찰되었으며, 신장은 수질부 outer stripe에서 세포변성이 인정되었다. T$_3$군에서는 간효소를 포함하는 혈청검사치가 증가되었는데 특히 Cholesterol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FB$_1$의 반복 노출시에 신장보다는 간장에서 먼저 세포독성이 관찰되었으며 세포분열 역시 증가되었다.

  • PDF

암세포에 대한 Echinacea angustifolia 순차 용매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Echinacea angustifolia on Cancer Cells)

  • 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3-127
    • /
    • 2002
  • Echinacea angustifolia의 줄기와 뿌리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의 인간유래 백혈암세포인 HL60과 폐암세포인 3LL 세포를 대상으로 항암 활성을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L60 세포의 경우에 뿌리 추출물은 저농도(0.125 mg/mL)에서 ethylacetate, acqueous, buthanol 분획물의 순으로 $77%{\sim}72%$의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hexane 분획물이 저농도에서는 독성효과가 낮았으나 점진적으로 독성효과가 커짐(1.0 mg/mL, 82%)을 알 수 있었다. 3LL 세포주에 대해서는 뿌리의 경우 저농도(0.25 mg/mL)에서 buthanol, ethylacetate 분획물이 $43.5%{\sim}26.3%$의 낮은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1.0 mg/mL 농도에서는 chloroform, hexane 분획물이 $68.4%{\sim}58.5%$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에키네시아의 줄기보다 뿌리의 세포독성이 컸고, HL60이 3LL보다 세포독성이 크게 나타났다.

Anticancer Potential of Cratoxylum formosum Subsp. Pruniflorum (Kurz.) Gogel Extracts Against Cervical Cancer Cell Lines

  • Promraksa, Bundit;Daduang, Jureerut;Khampitak, Tueanjit;Tavichakorntrakool, Ratree;Koraneekit, Amonrat;Palasap, Adisak;Tangrassameeprasert, Roongpet;Boonsiri, Patchar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117-6121
    • /
    • 2015
  • Background: Most northeast Thai vegetables may play roles in human health by acting as antioxidant and anticancer agents. Recent study showed that Cratoxylum formosum subsp. pruniflorum (Kurz.) Gogel. (Teawdang) could inhibit growth of liver cancer cell lines. Cervical cancer, which has human papilloma virus as its main cause, is found at high incidence in Thailand. Due to increasing drug resistance, searches for potential anticancer compounds from natural source are required. Therefore, our purpose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Teawdang extracts in cervical cancer cell lines. Materials and Methods: Teawdang edible parts, purchased from Khon Kaen market during July-October 2013 was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 Phenolic profiles of crude hexane (CHE), ethyl acetate (CEE), methanol (CME) and water (CWE) extracts were perform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techniques. Their cytotoxic effects on cervical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with HPV-non infected (C-33A) and HPV-infected (HeLa and SiHa) cell lines. Results: HPLC profiles showed that all crude extracts contained caffeine, ferulic acid and resveratrol. CME and CEE had high contents of gallic acid and quercetin. Catechin was found only in CWE. Cytotoxicity test showed that CEE had the lowest IC50 on HeLa ($143.18{\pm}13.35 {\mu}g/mL$) and SiHa cells ($106.45{\pm}15.73{\mu}g/mL$). C-33A cells were inhibited by CWE ($IC50=130.95{\pm}3.83{\mu}g/mL$). Conclusions: There were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Teawdang extracts which may have cytotoxic effects on cervical cancer cell lines. Investigation of these bioactive compounds as new sources of anticancer agents is recommended.

카페인과 일반의약품의 복합처리에 의한 장관계 세포 독성 평가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Caffeine Treated with Over-the-counter Drugs in the Intestinal Cells)

  • 최현아;김미리;박경아;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6-361
    • /
    • 2012
  • 다양한 식품 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생리활성 성분 카페인과 일반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상호작용에 의한 세포 독성 변화를 장관계 세포모델에서 조사하였다. 카페인은 정상 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에 농도의존적인 독성을 나타내었고, $IC_{50}$ 수치는 각각 1.91과 2.45 mM로써 정상세포에 유의적으로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카페인과 각각의 약물을 세포에 24시간 동시 처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현저한 독성의 변화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약물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카페인의 상대적 독성 및 카페인 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약물의 독성이 INT 407 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시 처리 시 약물에 의해 감소된 GSH를 비롯한 thiol성 물질의 세포 내 수준이 카페인 존재 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카페인과 약물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처리하였을 때, 특히 HCT 116 세포에서의 약물의 상대적인 독성이 강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의약품 AAP, Asp 및 Ibu과 카페인을 다양한 조합에 의해 장관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일부 상대적인 독성의 강화 또는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두드러진 독성발현 빛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