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kine ($TNF-{\alpha}, \

검색결과 1,129건 처리시간 0.02초

Cytokine이 Toxoplasma감염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ytokines in the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from mice infected with Toxopluma gondii)

  • 이영하;신대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85-194
    • /
    • 1994
  • T. gonnii의 Beverley주를 감염시킨 마우스(감염군)로부터 분리한 복강대식세포에 cytokine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복강대식세포 단세포층에 medium, 조제 Iymphokine, 재조합 tumornecrosis $factor-{\alpha}{\;}(TNF-{\alpha})$. 재조합 $interferon-{\gamma}{\;}(IFN-{\gamma})$, 및 재조합 $IFN-{\gamma}와{\;}TNF-{\alpha}$를 함께($IFN-{\gamma}/TNF-{\alpha}$) 처치한 후, 각 처치군별 $H_2O_2{\;}생산량,{\;}NO2^{-}$ 생산량 및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염군의 복강대식세포에 $IFN-{\gamma}{\;}처치시{\;}NO2^{-}$ 생산량은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외의 처치군에서는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염군 대식세포에 $IFN-{\gamma}나{\;}IFN-{\gamma}/TNF-{\alpha}$ 처치시 $H_2O_2$ 생산량이 medium처치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NO2^{-}$ 생산량은 $TNF-{\alpha},{\;}IFN-{\gamma}나{\;}IFN-{\gamma}/TNF-{\alpha}$ 처치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감염군에 cytokine 처치시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은 medium 처치시보다 모두 증가되었다 또한 정상군과 감염군의 $H_2O_2$ 생산량, $NO2^{-}$ 생산량 및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을 상호 비교시 $IFN-{\gamma}$ 처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그 외의 cytokine 처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IFN-{\gamma}$가 Toxoplosma감염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질경이 열수 추출 투여의 마이스 사이토카인 및 비장세포 증식 효과 (Effect of Plantago asiatica L. Water Extracts on Mic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0-514
    • /
    • 2017
  • 질경이 열수 추출물 첨가가 마이스의 면역세포 증식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음의 대조군에 비해 질경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모든 농도에서 비장세포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50{\sim}5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한편, 대식세포 활성화로 유도된 cytokine 분비량 $IFN-{\gamma}$, IL-2, $TNF-{\alpha}$ cytokine측정 결과, IL-2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IFN-{\gamma}$, $TNF-{\alpha}$ 모두 $250{\sim}5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나타난 결과로 질경이 열수 추출물이 마이스 비장세포 생성을 유도하고, cytokine 분비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질경이 물 추출물이 면역 기관과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면역능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말초 혈액 단핵구의 TNF-$\alpha$와 IL-8 발현에서 내독소에 대한 내성 기전에 관한 연구 (Mechanisms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Lipopolysaccharide Tolerance in the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8 in Peripheral Blood Monocytes)

  • 박계영;김재열;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01-610
    • /
    • 1997
  • 연구배경 : 그람음성 간균의 내독소에 의한 sepsis syndrome에서 단핵 식세포는 내독소에 의해 자극받아 여러 종류의 cytokine을 분비함으로써 개체를 방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cytokine들은 개체를 방어하는 작용 뿐 아니라 TNF등의 경우처럼 심각한 조직손상을 가져오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생체 내에서 내독소에 반응하여 cytokine의 분비를 조절하는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이전의 연구에서 미리 내독소에 노출된 단색 식세포는 내독소로 재자극 시 cytokine 생성능의 저하가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을 '내독소 내성'이라고 하며 cytokine 분비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되나 그 기전 등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방 법 : 생체 외에서 내독소에 대한 내성획득의 조건을 확립하고자 정상인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10ng/ml의 저농도 내독소로 24시간 전처치한 후 2회 세척하고 다시 1 ng/ml의 내독소로 각각 4시간, 6시간, 24시간 자극하여 TNF-$\alpha$와 IL-8의 단백량을 측정하고 총 RNA를 분비하였다. 내독소 내성 획득 기전을 밝히고자 내독소 전처치 시에 자가혈청, PMA, antiCD14 Ab, Indomethacin, $PGF_2$를 각각 첨가하여 내성획득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TNF-$\alpha$와 IL-8의 단백량은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리한 RNA를 이용하여 TNF-$\alpha$와 IL-8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말초혈액을 저농도 내독소로 전처치하면 TNF-$\alpha$ 단백 생성 및 mRNA 발현을 억제하였으나 IL-8에 대해서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전처치 시에 antiCD14 Ab를 내독소와 같이 준 경우 억제된 TNF-$\alpha$ 생성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PMA만으로 전처치 하여도 저농도 내독소 전처치와 유사하게 내독소 내성을 유도할 수 있었다. 결 론 : 내독소에 의한 내성획득에는 CD14가 관여하고 Protein kinase C 경로를 통하며 pretranslational 수준에서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L-60 세포에서 $TNF-{\alpha}$에 의한 MCP-1 발현에 미치는 Betulinic Acid의 효과 (The Effect of Betulinic Acid on $TNF-{\alpha}-induced$ MCP-1 Expression in HL-60 Cells)

  • 김경찬;이추희
    • 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7-42
    • /
    • 2008
  • Betulinic acid, a naturally occurring pentacyclic triterpenoid, is found in abundance in the outer bark of white birch (Betula alb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f betulinic acid affects cytokine expression from activated macrophage cells. ELISA result showed that stimulation of HL-60 cells with proinflammatory cytokine such as $TNF-{\alpha}$ resulted in MCP-1 release into culture medium. In addition,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of MCP-1 in response to $TNF-{\alpha}$ was observed by RT-PCR analysis. However, incubation of HL-60 cells with betulinic acid prior to $TNF-{\alpha}$ treatment abrogated MCP-1 expression in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al level. Consistent with a number of studies which reported requirement of ERK activation for $TNF-{\alpha}$ expressio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NF-{\alpha}-induced$ ERK activation was suppressed by pretreatment of HL-60 cells with betulinic acid. Taken together, our data indicate that betulinic acid exerts its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TNF-{\alpha}-induced$ ERK activation which is required for the subsequent MCP-1 release.

율무 추출물의 마우스 비장세포와 대식세포 활성 효과 (Effects of Job's Tears(Yul-Moo) Extracts on Mouse Splenocyte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08
  • Job's Tears(Yul-Moo) is a grass crop long-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t is also a nourishing food. There are reports of its anti-inflammatory, stomachic, antiallergic activity, and antispastic effects and Job's Tears has been used in China to treat rheumatism, and neuralgia although its warts, rheumanism remains unclear. Thu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effect of Job's Tears extracts on immune function. Here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IL-1{\beta},\;IL-6,\;TNF-{\alpha})$ by peritoneal macrophages cultured wi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Job's Tears were examined. splenocytes proliferation increased with Job's Tears water extracts supplement at concentrations investigated The cytokine production$(IL-1{\beta},\;IL-6,\;TNF-{\alpha})$ by ELISA using a cytokine kit And $IL-1{\beta}$, IL-6 and $TNF-{\alpha}$ production increased water extracts supplementation. This in vitro study suggests that supplementation with Job's Tears water extracts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enhancing cytokine production of activated macrophages.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투여에 의한 마우스 비장세포 및 사이토카인 활성효과 (Enhancing Effect of Pleurotus ostreatus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03-608
    • /
    • 2014
  • In vitro 실험을 통한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첨가가 마우스의 면역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음의 대조군에 비해 느타리 물 추출물을 첨가한 모든 농도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사이토카인 생성의 경우, IL-2, IFN-${\gamma}$, TNF-${\alpha}$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50{\sim}500{\mu}g/mL$ 농도에서 생성된 IL-2, IFN-${\gamma}$, TNF-${\alpha}$ 사이토카인은 대조군보다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IFN-${\gamma}$, TNF-${\alpha}$ 사이토카인 모두 50, 100, 250, $500{\mu}g/mL$의 농도에서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IL-2의 경우, 생성량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50{\mu}g/mL$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은 마우스 비장 세포를 증식시키고, 사이토카인 생성량에도 영향을 주어,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느타리버섯이 면역 증진 기능성 식품 개발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염구세포주와 복강 비만세포에서 유색미 겨 추출물의 알레르기 염증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Pigmented Rice Bran Extract to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Basophilic Cell Line and Peritoneal Mast Cells)

  • 최선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15-321
    • /
    • 2005
  •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호중구 세포주 및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매개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및 염증 cytokine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와 rat에서 분리 추출한 복강 비만세포(RPMC, peritoneal mast cell)를 이용하여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일반미 겨 추출물은 RBL-2H3 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들의 분비량을 증가시킨 반면, 유색미 겨 추출물은 이들의 분비를 억제하였다(histamine 10.19% 억제, ${\beta}-hexosaminidase$ 110.03% 억제). RPMC에서는 유색미가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를 일반미보다 각각 8배와 3배나 높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관련 cytokine으로서 $IL-1{\beta},\;TNF-{\alpha}$ 및 IL-6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유색미가 일반미 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실험에서도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 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에 대한 억제효과 뿐 아니라, 염증 cytokine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도 일반미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1{\beta}$ in Splenic Dendritic Cells and Their Serum Levels in Mouse Sparganosis

  • 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91-194
    • /
    • 2011
  • Sparganosis is a tissue invading helminthiasis infecting intermediate hosts, including humans. Strong immune responses are expected to occur in early phases of infection. Thus, we investigated cytokine expressions in splenic dendritic cells and in sera after experimental infection of mice. In splenic dendritic cells, TNF-${\alpha}$ and IL-$1{\beta}$ expression peaked at week 1 and week 3 post -infection (PI), respectively, and also early phase (week 2 PI) depressed cytokine expression was noticed. Serum IL-$1{\beta}$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week 2 PI and peaked at week 6 PI, and that of TNF-${\alpha}$ peaked at week 6 PI.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are chronologically regulated in mouse sparganosis.

Inflammatory Cytokine Level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Treatment Outcome of Oral Appliance Therapy

  • Oh, Jae-Tak;Chung, Jin-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1권3호
    • /
    • pp.126-132
    • /
    • 2016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inflammatory cytokine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to evaluate treatment outcome and changes of plasma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after oral appliance therapy. Methods: Twenty-seven subjec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al Medicin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performed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analyzed plasma C-reactive protein (CRP), interleukin (IL)-$1{\beta}$, IL-6,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levels. Each subject was evaluated with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12 OSA patients (apnea-hypopnea index [AHI] >5) and 15 control (AHI ${\leq}5$) groups. The OSA group was treated with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for 3 months and re-evaluated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plasma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Results: Plasma TNF-${\alpha}$, IL-10, and IL-6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SA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Total AHI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lasma IL-6 and TNF-${\alpha}$ levels. Percentage time of $SpO_2$ <90 and lowest $SpO_2$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sma TNF-${\alpha}$ level. E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sma IL-10 level. Total AHI, percentage time of $SpO_2$ <90, lowest $SpO_2$, and mean $SpO_2$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MAD therapy. Plasma TNF-${\alpha}$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MAD therapy. Conclusions: We suggest that MAD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patients with OSA and can decrease plasma cytokine level.

Porphyromonas gingivalis의 각종 표면성분이 싸이토카인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cytokine-inducing activities of surface components of the periodontopathogenic bacterium Porphyromonas gingivalis)

  • 김성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799-81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otency of the three surface compo- nents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to stimulate the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to synthesize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alpha($TNF-{\alpha}$) and nitric oxide (NO). Lipopolysaccharide(LPS). lipid A-associated proteins(LAP) and saline-extractable surface -associated material(SAM) were isolated from P. gingivalis 381. $TNF-{\alpha}$ release into culture supernatants was determined by two-site ELISA. NO production was assayed by measuring the accumulation of nitrite in culture supernatants. Western blot analysis of iNOS and analysis of reverse transcription(RT)-PCR products were carried out. The surface components extracted from this bacterium were almost equally potent in stimulating release of $TNF-{\alpha}$ and NO by RAW264.7 cells. $TNF-{\alpha}$ that was being measured immunologically was due to activation of $TNF-{\alpha}$ gene transcription. The present study clearly shows that P. gingivalis surface components fully induced iNOS expression in RAW264.7 cells in the absence of other stimuli. The ability of P. gingivalis surface components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TNF-{\alpha}$ and NO may b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