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Off

검색결과 2,220건 처리시간 0.025초

Ba-Ferrite 단결정의 자기적 특성에 관한 뫼스바우어 분광학적 연구 (Mössbauer Studies of the Magnetic Properties in Ba-ferrite Single Crystal)

  • 서정철;지성훈;홍양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0-64
    • /
    • 2007
  • Ba-ferrite 단결정을 제조하여 자기적 성질을 Mossbauer 분광법으로 연구하였다. 단결정 시료를 c-축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고 그 면에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결정 전체에 걸쳐 Fe 이온의 스핀 방향이 c-축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온도에 따른 초미세자기장의 감소 추세는 입자상태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결정 내 Fe원자의 이온 상태 역시 일치하였다. 결정구조는 Magnetoplumbite로서 결정상수는 $a_0=5.892{\AA},\;b_0=5.892{\AA},\;c_0=23.198{\AA}$로 정되었으며 그 외의 다른 상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M\"{o}ssbauer$ spectrum은 결정 내에 존재하는 Fe의 자리에 따라 5의 각각의 다른 subspectrum이 존재하였는데 감마선의 방향이 c-축과 일치하여 모든 자리에서 4개의 공명흡수선 만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결정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단일상으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여분의 ${\alpha}-Fe_2O_3$ 등은 존재하지 않음을 명확히 하였다. 자기이력곡선을 통하여 실온상태에서 포화자기모멘트는 70.71 emu/g, 보자력이 320 Oe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0.25 ${\mu}m$ T형 게이트 P-HEMT 제작 및 특성 평가와 MMIC 저잡음 증폭기에 응용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0.25 ${\mu}m$ T-shaped gate P-HEMT and its application for MMIC low noise amplifier)

  • 김병규;김영진;정윤하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호
    • /
    • pp.38-4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0.25${\mu}m$ T형 게이트 P-HEMT의 제작 및 특성 평가를 하였고, 제작된 P-HEMT를 X-밴드용 3단 MMIC 저잡음 증폭기 설계에 응용하였다.제작된 P-HEMT의 DC 특성은 최대 외인정 전달 컨덕턴스가 400mS/mm이고, 최대 드레인 전류는 400mA/mm이었다. RF 및 잡음 특성은 전류 이등 차단 주파수($f_T$)가 65GHz이고, 주파수 9GHz에서 최소 잡음 지수는 0.7dB, 관련 이득은 14.8dB이었다. 이때의 바이어스 조건은 Vds가 2V이고, Ids는 60%Idss이었다. 저잡음 증폭기 설계에 있어서, 회로 Topology는 인덕턴스 직렬 궤환(Series Feedback)으로 쇼토 스터브(Short Stub)를 사용하였다. 이때 최적의 쇼트 스터브 길이를 찾기 위해, 직렬 궤환에 의한 잡음 지수와 이득 특성, 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계된 회로의 특성은 주파수 8.9-9.5GHz에서 이득이 33dB이상, 잡음 지수가 1.2dB이하, 그리고 입출력 반사 계수가 각각 15dB와 14dB이하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작된 소자가 고이득 X-밴드용 저잡음 증록기에 매우 적합한 소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ascode 구조에 Shunt Peaking 기술을 접목시킨 밀리미터파 광대역 Amplifier (Millimeter-wave Broadband Amplifier integrating Shunt Peaking Technology with Cascode Configuration)

  • 권혁자;안단;이문교;이상진;문성운;백태종;박현창;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0호
    • /
    • pp.90-9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cascode 구조에 shunt peaking 기술을 접목시킨 밀리미터파 광대역 amplifier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밀리미터파 광대역 cascode amplifier의 설계 및 제작을 위해서 $0.1{\mu}m\;{\Gamma}-gate$ GaAs PHEMT와 CPW 및 passive library를 개발하였다. 제작된 PHEMT는 최대 전달 컨덕턴스는 346.3 mS/mm, 전류이득 차단 주파수 ($f_T$)는 113 GHz, 그리고 최대공진 주파수($f_{max}$)는 180 GHz의 특성을 갖고 있다. 설계된 cascode amplifier는 회로의 발진을 막기 위해서 저항과 캐패시터를 common-rate 소자의 드레인에 병렬로 연결하였다. 대역폭의 확장 및 gain의 평탄화를 위해 바이어스 단들에 short stub 및 common-source 소자와 common-gate 소자 사이에 보상 전송선로를 삽입하고 최적화하였으며, 입출력 단은 광대역 특성을 갖는 정합회로로 설계하였다. 제작된 cascode amplifier의 측정결과, cascode 구조에 shunt peaking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대역폭을 확장 및 gain을 평탄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 dB 대역폭은 34.5 GHz ($19{\sim}53.5GHz$)로 광대역 특성을 얻었으며, 3 dB대역 내에서 평균 6.5 dB의 $S_{21}$ 이득 특성을 나타내었다.

스마트 기기에 의해 전자기기별 차단전력문턱치 설정기능이 장착된 자동대기전력 차단콘센트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automatic standby power blocking socket outlet having a blocking power threshold per electronic device by the smart machine)

  • 오창선;박찬영;김동회;김기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81-48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차단전력문턱치에 의해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자동대기전력 차단콘센트를 구현하였다. 여기서 대기전력은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전자제품에 콘센트가 꽂아져 있는 경우, 흐르는 전력을 뜻한다. 제안한 콘센트의 경우 PC(Personal Computer)나 모바일 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로 실시간 전력량을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전력문턱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전자기기든 각 대기 전력에 맞게 차단전력문턱치를 설정하여 확실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비젼, SN8 C 스튜디오로 코딩을 했으며, 하드웨어는 크게 ATmega128, SN8F27E93S, USB to UART,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실험결과, 제안된 방법과 기존 방법에서 먼저 휴대폰을 비교해보면 대기전력값이 큰 차이가 없지만 컴퓨터, 에어컨, 특히 셋톱박스의 경우에는 기존 방법에 의한 대기 전력이 제안된 시스템에 의한 대기전력보다 많은 소모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차단콘센트는 대기전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1 keV $Ar^+$이온빔으로 개질된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위의 구리 박막 증착 (Deposition of Copper Film on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Modified by 1 keV Ion Irradiation)

  • 조준식;윤기현;고석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2
    • /
    • 2000
  • 1 keV $Ar^+$ 이온빔을 이용하여 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의 표면을 개질하고 그 위에 $5000\;{\AA}$의 구리 박막을 이온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이온빔 조사에 의하여 PTFE의 표면에는 cone이 형성되며 cone의 높이는 이온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분석을 통하여 조사된 PTFE의 표면에서는 이온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Fls peak의 강도가 감소하며 이는 F 원자의 선택적인 스퍼터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온 조사에 의해 생성된 불안정한 사슬들은 crosslinking에 의하여 새로운 C-F 계열의 결합들을 생성하였다. 이온빔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증착된 구리 박막은 PTFE 표면의 cone을 따라 균일하게 증착되며 PTFE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함에 따라 (111) 방향으로 우선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증착된 구리 박막의 비저항은 개질전 PTFE의 $2.7{\mu}{\Omega}cm$에서 $1{\tiems}10^{16}/\textrm{cm}^2$의 이온 조사량으로 개질된 PTFE의 $4.3{\mu}{\Omega}cm$까지 이온 조사량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 $1{\tiems}10^{17}/\textrm{cm}^2$의 이온 조사량으로 개질된 PTFE 위에 증착된 구리 박막의 갑작스런 비저항 증가는 구리 박막의 단락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 PDF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otherhood discourses' during 1920s and 1930s - Focusing on mothering education written in $\lceil$Shinyeosung$\rfloor$)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5-112
    • /
    • 2005
  • 이 연구는 $\lceil$신여성$\rfloor$ 에 실린 모성담론을 통해 식민지 시기 어머니 노릇의 구체적 내용 및 그 특징과 함께 모성 담론의 논리적 토대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당대 가장 대표적 여성잡지인 $\lceil$신여성$\rfloor$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ceil$신여성$\rfloor$에 실린 모성담론의 내용은 (1) 여성의 어머니됨, (2) 아동관, (3) 우생학, (4) 아동양육 및 교육, (5) 아동 질병 및 간호, (6) 임신과 출산의 내용으로 나눠지며, 이것은 당시의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과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모성담론의 집필진은 문인을 포함하여 대부분 의사${\cdot}$박사와 같은 전문가(experts)들이었다. 둘째, 모성담론의 주장에 '당위성'을 부여하는 논리적 토대는 (1) 어머니로서 여성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여성교육의 주장, (2) 모성은 여성의 본질적 특성이라는 성과학의 주장, (3)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재된 위험과 질병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의함담론의 주장이 있었다. 셋째, 식민지 시기 모성담론의 특성은, (2) 잡다한 어머니 노릇의 나열, (2) 자녀에 대한 세심한 관찰에 대한 강조 (3) 질병이 내재된 양육에의 위험성 강조, (4)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어머니 노릇의 제시, (5) 새로운 어머니 노릇으로 강조되는 학부모 역할로 정리할 수 있다.

  • PDF

Pleural Fluid Pentraxin-3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leural Effusions

  • Yeo, Chang Dong;Kim, Jin Woo;Cho, Mi Ran;Kang, Ji Young;Kim, Seung Joon;Kim, Young Kyoon;Lee, Sang Haak;Park, Chan Kwon;Kim, Sang Ho;Park, Mi Sun;Yim, Hyeon Woo;Park, Jong Y.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6호
    • /
    • pp.244-249
    • /
    • 2013
  • Background: Conventional biomarkers cannot always establish the cause of pleural effusions; thus, alternative tests permitting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are require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bility of pentraxin-3 (PTX3) in order to diagnose the cause of pleural effusion and compare its efficacy to that of other previously identified biomarkers. Methods: We studied 118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classified as transudates and exudates including malignant, tuberculous, and parapneumonic effusions (MPE, TPE, and PPE). The levels of PTX3, C-reactive protein (CRP), procalcitonin (PCT) and lactate in the pleural fluid were assessed. Results: The levels of pleural fluid PTX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PPE than in those with MPE or TPE. PTX3 yielded the most favorable discriminating ability to predict PPE from MPE or TPE by providing the following: area under the curve, 0.74 (95% confidence interval, 0.63-0.84), sensitivity, 62.07%; and specificity, 81.08% with a cut-off point of 25.00 ng/mL. Conclusion: Our data suggests that PTX3 may allow improved differentiation of PPE from MPE or TPE compared to the previously identified biomarkers CRP and PCT.

60 GHz 무선 LAN의 응용을 위한 고이득 저잡음 증폭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igh-gain Low Noise Amplifier for 60 GHz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조창식;안단;이성대;백태종;진진만;최석규;김삼동;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1호
    • /
    • pp.21-2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60 GHz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응용을 위해 0.1 ㎛ Γ-gate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PHEMT)를 이용하여 V-band용 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MIMIC)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HEMT의 DC 특성으로 드레인 포화 전류 밀도(Idss)는 450 mA/mm, 최대 전달컨덕턴스(gm, max)는 363.6 mS/mm를 얻었으며, RF 특성으로 전류이득 차단주파수(fT)는 113 GHz, 최대 공진 주파수(fmax)는 180 GHz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의 개발을 위해 PHEMT의 비선형 모델과 CPW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PHEMT 기반의 MIMIC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었으며,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의 측정결과, 60 GHz에서 S21이득은 21.3 dB, 입력반사계수는 -10.6 dB 그리고 62.5 GHz에서 출력반사계수는 -29.7 dB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의 잡음지수 측정결과, 60 GHz에서 4.23 dB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IHA(Indirect hemagglutination test)를 이용한 간흡충증(肝吸虫症)의 면역혈청학적(免疫血淸學的) 진단(診斷)에 관한 연구(硏究) -ELISA법과의 비교(比較) 및 치료(治療) 전후(前後) 의 혈청항체가(血淸抗體價) 변동(變動)에 관하여- (Changes of Serum antibody Levels by Indirect Hemagglutination Test after Treatment in Clonorchiasis)

  • 주경환;김종성;정명숙;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2권1호
    • /
    • pp.117-123
    • /
    • 1987
  • Detection of IgG antibody in clonorchiasis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serodiagnostic procedure including complement fixation test, gel diffusion test,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 indirect hemagglutination test etc. In this report enzyme immunoassay (ELISA) and indirect hemagglutination test (IHA) were used to determine IgG serum antibody levels before and after therapy with praziquantel. Briefly, sera from 62 cases of confirmed human clonorchiasi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praziquantel. Among 62 cases treated 25 cases were categorized as completely cured groups by formalin-ether and careful examination of 4 cellophane thick smered slides at 18 months after treatment. The sera of 25 cases of cured groups were examined again by ELISA and IHA, and com-pared to the previous dat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ensitivity of IHA test was 83.6% when cut-off titer of 1:8 was applied. No sera obtained from 10 normal healthy control showed positive reaction. 2) Twenty cases (80.0%) out of 25 cured one showed negative results by IHA at 18 months after treatment. 3) Although 5 cases showed positive titer even 18 months after treatment 3 cases of them showed decreased antibody titer. However 2 cases did not show any response. 4) Even though almost all cases showed de- creased ELISA value, only 11 cases (44.0%) out of 25 patients showed negative results by ELISA at 18 months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while IgG ELISA for detecting long persisting antibody was more sensitive than IHA, IHA results more conclusively indicated effective treatment in clonorchiasis by negative conversion than did the results of ELISA.

  • PDF

MHEMT를 이용한 DC ∼ 45 GHz CPW 광대역 분산 증폭기 설계 및 제작 (DC ∼ 45 GHz CPW Wideband Distributed Amplifier Using MHEMT)

  • 진진만;이복형;임병옥;안단;이문교;이상진;고두현;백용현;오정훈;채연식;박형무;김삼동;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2호
    • /
    • pp.7-1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0.1 $\mu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를 이용하여 DC~45 GHz 대역의 광대역 MIMIC(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분산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MIMIC 증폭기의 제작을 위해 Metamorphic HEMT(MHEMT)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MHEMT는 드레인 전류 밀도 442 mA/mm, 최대 전달컨덕턴스(Gm)는 409 mS/mm를 얻었다. RF 특성으로 fT는 140 GHz fmax는 447 GHz의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광대역 MIMIC 분산 증폭기의 설계를 위해 MHEMT의 소신호 모델과 CPW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MIMIC 분산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분산 증폭기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MHEMT MIMIC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MIMIC 분산 증폭기의 측정결과, DC ~ 45 GHz대역에서 6 dB 이상의 S21 이득을 얻었으며, 입력반사 계수는 45 GHz에서 -10 dB, 출력반사계수는 -7 dB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분산 증폭기의 칩 크기는 2.0 mm$\times$l.2 mm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