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ve shape

검색결과 1,082건 처리시간 0.027초

다양한 형상의 밀폐된 구획에서 최대 열발생률 예측을 위한 상관식 검토 (A Correlation Study for the Prediction of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Closed-Compartments of Various Configurations)

  • 윤홍석;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6-23
    • /
    • 2018
  • 다양한 밀폐 구획을 대상으로 내부 체적 및 화재성장률의 변화에 따라 최대 열발생률의 예측이 가능한 상관식이 수치적으로 검토되었다. 구획의 체적은 ISO 9705 화재실의 바닥면 형상을 기준으로 길이 비의 변화를 통해 조절되었으며, 이때 천장 높이는 2.4 m로 고정되었다. 주요 결론으로서, 천장 높이의 변화가 고려된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천장 높이의 변화가 최대 열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다. 또한 밀폐된 구획에서 천장 높이 변화와 관계없이 최대 열발생률을 예측할 수 있는 보다 일반화된 상관식이 제안되었다. 이 상관식은 수치결과와 비교할 때 다양한 화재성장률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7%, 그리고 최대 19%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성능위주설계에 적용된 5개의 대표적인 구획을 대상으로, 제안된 상관식의 적용 가능성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화재시뮬레이션에서 요구되는 입력정보 뿐만 아니라, 밀폐된 공간에서 플래시오버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최대 열발생률의 예측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수원공 설계를 위한 장기간 연속수수량 추정모형의 개발 - 중심유역을 중심으로 (A Developmont of Numerical Mo del on the Estimation of the Log-term Run-off for the Design of Riverheads Works -With Special Reference to Small and Medium Sijed Catchment Areas-)

  • 엄병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72
    • /
    • 1987
  • Although long-term runoff analysis is important as much as flood analysis in the design of water works, the technological level of the former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In this respect, the precise estimation model for the volume of successive runoff should h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Up to now, in Korea, Gajiyama's formula has been widely used in long-term runoff analysis, which has many problems in applying in re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in flood analysis, unit hydrograph method has been exclusively u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rying to apply unit hydrograph method in long-term runoff analysis for the betterment of its estimation. Four test catchment areas were selected ; Maesan area in Namlum river as a representative area of Han river system, Cheongju area in Musim river as one of Geum river system, Hwasun area in Hwasun river as one of Yongsan river system, and Supyung area in Geum river as one of Nakdong river system. In the analysis of unit hydrograph, seperation of effective rainfall was carried out firstly. Considering that effective rainfall and moisture condition of catchrnent area are inside and outside of a phenomenon respectively and the latter is not considered in the analysis, Initial base flow(qb)was selected as an index of moisture condition. At the same time, basic equation(Eq.7) was established, in which qb can take a role as a parameter in relating between cumulative rainfall(P) and cumulative loss of rainfall(Ld). Based on the above equation,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on model of qbwas seperate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range of qb,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measured hydrographs and hyetographs for total 10 years in 4 test areas and effective rainfall was estimated. Estimation precision of model was checked as shown in Tab- 6 and Fig.8. In the next stage, based on the estimated effective rainfall(R) and runoff(Qd), a runoff distribution ratio was calculated for each teat area using by computerised least square method and used in making unit hydrographs in each test area. Significance of induced hydrographs was tested by checking the relative errors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runoff volume(Tab-9, 10). According to the results, runoff estimation error by unit hydrograph itself was merely 2 or 3 %, but other 2 or 3 % of error proved to be transferred error in the seperation of effective rainfall. In this study, special attentioning point is that, in spite of different river systems and forest conditions of test areas, standardized unit hydrographs for them have very similar curve shape, which can be explained by having similar catchinent characteristics such as stream length, catchinent area, slope, and vegetation intensity. That fact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factor ingeneralization of unit hydrograph method.

  • PDF

Retort Pouch 쌀밥의 가열살균시(加熱殺菌時) 파우치 포장내(包裝內)의 진공도(眞空度)가 열전달(熱傳達) 및 물성(物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the Levels of Package Vacuum on the Heat Penetration and Texture of Cooked Rice Packed in Retort Pouch during Thermal Process)

  • 최광수;김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24
    • /
    • 1982
  • retort pouch 쌀밥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가열살균 중의 진공도가 열전달 속도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쌀의 수침시 평형수분 함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품종에 별로 관계 없이 실온$(24^{\circ}C)$에서는 $2.5{\sim}3$시간이고 증미를 실온에서 침지하여 약 60% 수분의 최적 쌀밥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약 1시간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111^{\circ}C$에서 49분간 살균했을때 고진공 포장에서의 Fo값은 3.16분이고 저진공포장 쌀밥의 2.90분으로써 고진공 포장에서의 살균값이 더 컸다. fh 값도 $111^{\circ}C$ 살균시 고진공포장은 8.5분(j값=1.08), 저진공포장에서는 12.9분(j값=1.18)로서 고진공포장이 열전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알았고 $121.1^{\circ}C$에서도 진공도의 영향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고진공포장 쌀밥이stickiness/Hardness의 비율로 봐서는 우수하게 보였으나 저진공포장의 쌀밥보다 stickiness, adhesiveness가 현저히 증가하고 쌀알이 파괴되고 엉켜서 품질이 좋지 않았다.

  • PDF

신장의 사춘기 성장 동안 초경 발생 시기와 성장 곡선의 형태에 관한 연구 (Menarcheal timing and growth curve shape during the adolescent growth spurt)

  • 안용수;이기수;남종현;강윤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9-167
    • /
    • 2009
  • 이 연구는 만 7세부터 17세까지의 신장의 누년적 변화를 통해서 사춘기 최대 성장기와 초경 발생 시기와의 관계를 평가하고, 성장 곡선의 형태에 따라 성장 곡선을 분류하여 각 형태별 특징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경기도 화성에 있는 삼괴 고등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 96명의 생활기록부에 기재되어 있는 신장의 누년적인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초경 시기와 전신적 질환 유무는 설문지를 통해 조사되었다. 사춘기 성장 가속기는 9.9세에 시작하여 11.6세에 최대 성장기를 이루고 14.1세경에 끝났다. 초경은 12.6세에 일어나며 76.1%는 최대 성장기 이후에 나타나고 최대 성장기와는 1년의 차이를 보인다. 10.4%에서 최대 성장기 전에 초경이 나타났고 13.5%에서는 최대 성장기와 동일한 시점에 나타났다. 초경 시기와 관계없이 사춘기 성장 가속 기간은 4.2년으로 일정하게 나타난다. 성장 곡선을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A형은 51.1%, B형은 21.9%, C형은 20.8%, D형은 6.2%의 분포를 보인다. C형의 성장 가속기간이 가장 길게 나타난다. B형과 C형에서 PHV가 두 개인 경우는 B형과 C형의 58.5%인 24명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개개인의 성장 양상은 개인차가 크며 초경뿐만 아니라 누년적인 성장을 참고로 하여 onset의 정확한 시기와 성장 곡선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남은 성장 기간 예측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아치 트러스 및 공간 트러스 구조의 비탄성 비선형 거동해석 (Inelastic Nonlinear Analysis of Arch Truss and Space Truss Structures)

  • 김광중;정미루;김연태;백기열;이재홍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47-58
    • /
    • 2008
  • 대공간 구조는 형태저항구조로서, 기둥-보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건축골조구조가 설계외력에 대해 휨 및 전단으로 저항되는 것에 반해, 구조물의 내부에 기둥이 없는 공간을 내포하는 대공간 구조는 축력 및 면내 단면력에 의해 저항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특성상 공간구조에는 일반적으로 장스팬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결과 일반적인 골조와는 달리, 부재에 발생하는 변형도가 작은 경우에도 큰 변형이 발생하는, 즉 대변형 혹은 유한변형을 동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치해석에 있어 비선형 해석이란 기하학적 비선형 및 재료적 비선형, 또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고려한 복합 비선형 해석을 들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으로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한 비선형 평형방정식을 적용하고, 부재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재료적 비선형성도 함께 고려하였다. 사용된 수치해석 기법은 불안정 경로의 해를 찾아갈 수 있는 호장법을 적용하여 하중-변위 곡선을 추적하였다. 또한, 해석 결과는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수치 해석결과 제시한 평면 및 공간 트러스의 비탄성 비선형 거동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예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사선 수술시 Isocenter, 콜리메이터 변수에 따른 선량 분포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with the Vatiation of Isocenter and Collimator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 오승종;박정훈;곽철은;이형구;최보영;이태규;김문찬;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3호
    • /
    • pp.129-134
    • /
    • 2002
  • 방사선 수술시 예상되는 치료효과를 위해 종양에 미리 정의된 방사선량이 조사되도록 수술을 계획한다. 이러한 수술계획시 다양한 모양의 종양에 대해 수술 계획을 수행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숙련된 수술계획자가 요구된다. 최근 들어, 뛰어난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를 이용한 수술계획 방법들이 많이 연구 발표되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수술계획은 주로 시행착오를 통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수술계획시 고려되는 많은 빔관련 변수들을 고려하고 다양한 형태의 종양들을 원통형으로 가정한 후 이 종양모델을 50% 등선량 곡선내에 포함시킬수 있는 변수들을 찾아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많은 변수들 중 본 연구에서 고려한 변수는 콜리메이터 크기, isocenter의 개수와 isocenter 간의 거리이고 이때 얻어진 선량분포는 Dose Volume Histogram(DVH)과 Dose Profile로 서로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우리가 가정한 50% 등선량 곡선내에 종양모델을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개수 이상의 isocenter의 사용은 치료의 복잡성만을 증가시킬뿐 Dose Profile과 DVH에서의 변화는 눈에 뛰게 향상되지 않았다. 또한 같은 콜리메이터 크기로 같은 개수의 isoceter를 사용할 때 isocenter의 거리가 지름대비 1.0-1.2일 경우의 DVH와 Dose profile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치료 방사선 선속(Flux)에 포함된 산란전자의 분포와 에너지 측정 (The Measurements of Energy and Distribution of Scattered Electrons in Therapeutic X-Ray Beam)

  • Vahc, Young-Woo;Park, Kyung-Ran;Ohyun Kwon;Lee, Yong-Ha;Kim, Tae-Hong;Kim, Sookil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2
  • 치료방사선 선형가속기에서 출력되는 광자선의 선속 (flux)에는 gantry head로부터 발생되는 오염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오염전자의 발생은 주로 gantry head의 부속장비 또는 방사선 치료를 위해 gantry head 밑에 설치되는 부속장치 등에서 광자선과 매질의 전자쌍생성, 또는 컴프톤 산란전자 등의 물리적 현상으로 발생된다. 오염전자는 표면영역의 수cm 깊이의 선량 분포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것은 방사선 치료 시 skin-sparing 효과를 감소시키는 등 임상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오염전자의 특성을 이해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형가속기 (Clinac 1800, Varian )에서 출력되는 15MV 광자 선속에서 조사야의 크기가 0.0$\times$10.0 to 30.0$\times$30.0 $\textrm{cm}^2$에서 30.0$\times$30.0 $\textrm{cm}^2$ 대해 구리판(Cu)의 부분적 오염전자 제거 능력과, 조사야의 부분 차폐 방법을 이용하여 물팬톰 내의 선량분포의 변화를 측정하므로써 오염전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염전자는 조사야의 중심축으로부터 넓게 퍼진 cone 모양의 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또한 오염전자가 갖는 평균 에너지는 약 3.0MeV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오염전자는 표면으로부터 2.5cm 깊이까지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써 광자선속에 포함된 오염전자를 제거하고 순수한 광자선을 이용한다면 buildup 영역 및 표면선량이 감소되고, 최대선량지점이 좀더 깊어진다.

  • PDF

강부재(鋼部材) 이음부(部)의 피로거동(疲勞擧動)에 관(關)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A Fundamental Study on the Fatigue Behavior in the Joints of Steel Members)

  • 이용재;정영화
    • 산업기술연구
    • /
    • 제9권
    • /
    • pp.21-28
    • /
    • 1989
  • For the study of the fatigue behavior, high-strength bolted connections on a small scale were manufactured, and carried on fatigue tests. Its experimental values were analysed by stress-fatigue life (S-N) curve. Three types of specimens : the base metal, the cireular hole and the welded sperimens had same net section were made. Through the same tests those experimental valu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high-strength bolted conneetion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ings. It was found that the fatigue strength in $F_{n=100,000}$ and $F_{n=2,000,000}$ of the high-strength bolted conneetions were much more about 14% and 16% than that of the base metal specimen. It was thought that this trend was due to frictional force increasing fatigue strength. It was known that fatigue strength in $F_{n=100,000}$ and $F_{n=2,000,000}$ of the welded joints were less 29% and 21% than that of base metal specimen. It was thought that that trend was due to weld flaw. It was appeared that the fatigue strength in $F_{n=100,000}$ and $F_{n=2,000,000}$ of the high-strength bolted connections were much more about 38% and 30% than that of welded joint. It was thought that it was due to both frictional force increasing the fatigue strength in bolted connections and weld flaw decreasing the fatigue strength in welded connections. It was found that the fatigue strength in $F_{n=100,000}$ and $F_{n=2,000,000}$ of the B3 specimens were much more 2% and -2% than that of the B4 specimen. It was thought that that trend wa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which concerned with shape of specimen. It was known that the fatigue strength in $F_{n=100,000}$ and $F_{n=2,000,000}$ of the specimen with circular hole was less 61% and 65% than that of base metal. It was known that the allowable stress for bolted joint was higher than that of welded Joints. If that research is continued and more data are accumulated it can be expected that a basic pattern to provided the indicator of the fatigue design of the bolted connections of steel structures and persume the safety and lifeproof of existing structures is given.

  • PDF

인구자질과 태생기.주산기.영아기 사망에 관한 연구: 제1보-태생기 생명현상의 수량적 분석 (A Study on Fetal and Infant Mortality in Association with Population Quality: Report 1-Quantitative Analysis on Fetal Life)

  • 김정근;이승욱;이주열;김무채
    • 한국인구학
    • /
    • 제19권2호
    • /
    • pp.47-76
    • /
    • 1996
  • 이 논문은 인구자질정책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된 임신추적조사의 결과이다. 경기도 가평군 전지역을 대상으로 1993년 11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유배우 여성이 경험한 모든 임신을 추적조사하여 임신경과와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조사기간중 782건의 임신이 관찰되었는데, 이중 642건은 최종 임신종결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140건은 전출 및 조사종료에 따라 관찰이 중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추적조사 자료로 태생기 생명표를 작성하여 그 생명현상을 분석하였다. 태생기 생명표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은 출생률 53.5%, 태아사망률 14.5%, 인공유산율 32.0%로 전임신기간을 통해서 46.5%의 임신손모가 있었으며, 태아주령에 따른 임신종결확률의 곡선모양은 인공유산율과 태아사망률 모두 L형을 나타내었다. 한편 인위적으로 임신을 중단시키는 인공유산을 제외했을 경우의 태아사망확률은 21.9%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태아사망이나 인공유산과 같은 임신손모에 의해 태생기의 생명이 상당히 손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신손모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습지의 체적-면적-깊이에 대한 관계식 추정 (Estimation of Volume-Area-Depth Relationship for Shallow Wetland)

  • 김준권;김형수;정상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231-240
    • /
    • 2002
  • 습지는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문학적 측면, 즉, 물의 양과 같은 기초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륙성 습지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작은 습지들에 대한 체적(V)-면적(A)-깊이(h)의 관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들 관계를 산정하기 위하여 우선 기본 방정식을 유도하고, 실제 대상습지에 대한 측량자료를 획득하여 모형화 한 후 Surfer프로그램을 이용해 A-h 및 V-h의 관계를 구하였다. 5개의 대상습지에 대해 방정식에 의한 추정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4개의 습지는 오차가2∼11 %의 범위에 있었고 나머지는 34 %의 오차를 보였다. 작은 오차를 보인 습지는 방정식에서 가정한 단면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큰 오차를 보인 습지는 가정 단면과 아주 상이한 형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습지들 중 경사부분에서 절곡이 나타난 W3, W4, W5와 같은 경우는 체적의 오차비율이 크게 나타났는데 절곡부분을 기준으로 습지의 형상을 상하로 구분하여 체적을 재산정 하였다. 재산정 결과 오타 비율이 1∼8 % 이내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절차는 차후 우리나라 습지에 대한 V-A-h의 관계를 산정 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