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mulative exposure index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누적 폭로지수를 이용한 유기용제 폭로량과 의무실 이용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and exposed amount to solvent by using cumulative exposure index)

  • 박주원;이순영;장재연;이경종;정호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404-413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la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enter for the shipyard workers who have been work in exposed environment to solvent. At first the tendencies of the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onte. in accordance with cumulative exposure(CE), lifetime weighted average exposure(LWAE), one's place of duty, work contents, states of using safety apparatus, the degree of the knowledge on handling solvents, exposure year. 1). The increase in the cumulative exposure(CE) war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enter. The group with longer exposure yea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enter(p<0.01). Considering the work contents such as power blasting, spray, mixing and touch-up, the group of touch-up showed higher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enter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ose who were not using the safety apparatus, showed higher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ent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degree of the knowledge on handling the solvent had no relation with using health center. 2) The results conducted from this study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clar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utilization to health center, CE, exposure year and using safety apparatus was significant factor in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 PDF

복잡지형에서 사면 개방도과 계절별 과열지수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Index and Overheating Index in Complex Terrain)

  • 정유란;황범석;서형호;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0-207
    • /
    • 2003
  • 온도기반 생태모형을 경관규모에 적용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BioSIM을 우리나라 환경에 도입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일 최고기온 추정과정을 검토하였다. 과열지수 대신 사용되는 개방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전역을 대상으로 10${\times}$10m 면적 단위로 총 57만여 개 지점의 개방도를 계산하고, 같은 지점에 대해 추분, 하지, 동짓날의 과열지수를 계산하였다. 각 날짜별 과열지수의 변이를 개방도에 의해 설명하기 위한 2차 회귀식을 작성한 바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동지에 0.44, 하지에 0.50, 추분에 0.56으로 Regniere(1996)의 추정치 0.7-0.9에 비해 크게 낮았다. 따라서 개방도를 사용하여 추정된 복잡지형의 일 최고기온값은 신뢰도가 낮아 생태모형의 구동변수로 부적합하므로 반드시 과열지수를 직접 계산해서 사용해야 한다.

누적적 위험요인과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연구 (Cumulative Risk and Problem Behavioral of Divorced Family's Children)

  • 주소희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61-86
    • /
    • 2008
  • 본연구의 목적은 이혼가정자녀들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누적적 위험모델의 효과성과 누적적 위험요인의 수와 그 누적적 영향력이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누적적위험 요인은 생태체계적인 측면에서 12개로 구성하였으며 위험요인의 원점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0-12점의 점수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이혼가정자녀들이 부모이혼후 경험한 위험요인의 수가 많은 아동일수록 문제행동의 가능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요인의 누적적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에 누적적위험요인의 영향력과 다중위험 요인의 영향력이 일관성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이혼가정자녀들의 행동문제를 위한 예방과 전략이 모색되었다.

자외선 조사량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봉지재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hotovoltaic Module Encapsulant According to UV Irradiation Dose)

  • 이송은;배준학;신재원;전찬욱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81-85
    • /
    • 2018
  • The photovoltaic modules installed in the actual field are affected by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electrical performance output value is generally lowered compared to initial output value. The most of photovoltaic modules consists of low iron glass, encapsulant (EVA), back sheet, frame and junction box assembly based on the solar cell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encapsulant which is an important constituent material of photovoltaic module were verified by maximum power determination, electro luminescence images, yellowness index measurement, and gel content measurement after ultraviolet (UV) irradiation exposure. The most commonly installed 72 cells crystalline photovoltaic modules were tested after various UV exposure of 0, 15, 30, and $60kWh/m^2$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module. After UV exposure of $15kWh/m^2$, which is the current international test condition, a small amount of change was observed in yellowness index and electroluminescence, while a gell content rapidly increased. At a cumulative dose of $60kWh/m^2$, which will be a new international test condition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 yellowness index increased sharply and showed the greatest output power drop.

병원 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만성적 방사선 피폭에 의한 혈액학적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to Hospital Workers: On the Effect of Hematological Change)

  • 류재광;정우영;신상기;조시만;동경래;김현수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157-170
    • /
    • 2008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료방사선 작업종사자에게서 직업적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인체 내 생리적인 변화를 통해 만성적 저선량 방사선피폭의 위험도를 예측하며 현 수준의 변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시내 일개 대형병원에서 최근 1~9년간 방사선 작업종사자로 근무한 370명을 대상으로 남녀 간의 체내 혈액성분의 수치변화를 대조군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종사자의 1~9년간 평균 방사선 누적선량은 남자가 $9.65{\pm}15.2\;mSv$, 여자가 $4.89{\pm}5.55\;mSv$로 남자에서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1). 2. 남녀 종사자 모두에서 누적선량과 종사기간의 차이에 따른 검사항목들과의 상관성은 매우 미약하였다(r<${\pm}0.25$) 3. 종사기간이 증가할수록 남자에서는 백혈구의 감소자와 증가자, 혈색소의 감소자, 당질의 증가자 비율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여자에서도 백혈구의 감소 및 증가자, 호산구의 감소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4. 누적선량의 증가할수록 남녀모두에서 오히려 이상분포를 보이는 항목은 줄어들었으며, 남자는 림프구와 혈소판의 감소자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여자는 림프구와 적혈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종사기간에서 이상을 보였던 백혈구의 감소 및 증가자 역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5. 전체적인 변화를 보면 남자 종사자에서는 혈액성분 중 적혈구, 혈소판, 림프구가 주로 감소되며 백혈구는 감소와 증가양상을 같이 보였다. 화학성분 중 당질의 증가가 유의했지만 큰 의미는 없었다. 여자 종사군에서는 남자와 똑같게 백혈구가 감소, 증가 양상을 동시에 보였으며 그밖에 적혈구와 림프구, 호산구의 감소가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록 낮은 선량에 피폭이 되고 있는 의료방사선 종사자일지라도 방사선 피폭에 있어서는 자유롭지 못하여 그 영향으로 인한 체내 생물학적 변화를 겪을 수 있으며 그 변화는 선량에 의존하기 보다는 다분히 확률적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항상 미연에 피폭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종사자 스스로 기울임을 물론 관련 당국 또한 종사자들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하루빨리 구축하여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직업병의 발생의 우려를 없애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석유화학단지에서의 유기용제 노출에 의한 후천적 색각이상 (Acquired Color Vision Impairment among Solvent-Exposed Workers in Petrochemical industry)

  • 이은희;조성일;정해관;;백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7-26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여수지역의 한 석유화학단지애서 적어도 6개월이상 근무한 작업자 1030명을 대상으로 Lanthony D-15-desaturated 검사법을 이용하여 유기용제노출과 후천적 색각이상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작업환경측정은 전 작업시간(8시간) 단시료를 각 작업자에게 부착하는 개인시료를 활용하여 각 개인별 평균, 최대, 누적 연평균 8hr TWA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색혼란지수(CCI)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5). 형태에서는 청황색각이상의 분포가 노출군과 비노출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후천적 색각이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제3색형과 제4색형 그리고 복합형이 대부분 노출군에서 높은 분포(비노출군 6.16%, 7.55%, 13.71%, 노출군 5.9%, 7.86%, 14.99%)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색각이상과 관련된 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 후천적 색각이상이 좌안에서는 비노출군과 비교하여 볼 때 통계적 연관성은 없었으나 노출군의 Odds ratio가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연령에 대하여는 좌 우안에서 모두 높은 통계적 연관성을 보였다(p<0.01). 따라서 이 상의 결과로 근로자가 유기용제 중독으로 인해 초기 신경계이상의 증상으로 후천적 색각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안보건 사업에서의 또 하나의 일환으로 근로자의 안보건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 PDF

Effect of Occupational Exposure to Herbicides on Oxidative Stress in Sprayers

  • Intayoung, Unchisa;Wunnapuk, Klintean;Kohsuwan, Kanyapak;Sapbamrer, Ratana;Khacha-ananda, Supakit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1호
    • /
    • pp.127-132
    • /
    • 2021
  • Background: Herbicides such as glyphosate, paraquat, an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have been reported to cause adverse side effects through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However, there were no data representing the adverse effects of a mixture herbicide usage in farmers, especially the changes in oxidative marker and antioxidant defen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urinary malondialdehyde (MDA) and glutathione (GSH) level in farmers using mixed herbicides. Methods: Ninety-three farmers were recruited, and two spot urine samples (before and after work) were collected. The urinary MDA level was evaluated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assay, and the urinary GSH level was determined using the enzymatic recycling method. Results: Sixty-two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men, and 59% of the participants worked in a farm for 20-40 years. The common combinations of herbicide usage were glyphosate with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36.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work urinary MDA and GSH levels among the 3 groups of herbicides. However, the urinary MDA levels in farmers using the combination of glyphosate and paraqu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und in farmers using glyphosate alone. The associated factors with changes in MDA levels found that the exposure intensity index (B = 0.154), the cumulative exposure intensity index (B = 0.023), and wearing gloves while working (B = -2.347)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DA level.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use of glyphosate and paraquat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urinary MDA levels. Moreover, intensity of exposure to herbicide and wearing gloves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MDA.

Occupational Lifting Tasks and Retinal Detachment in Non-Myopics and Myopics: Extended Analysis of a Case-Control Study

  • Mattioli, Stefano;Curti, Stefania;De Fazio, Rocco;Mt Cooke, Robin;Zanardi, Francesca;Bonfiglioli, Roberta;Farioli, Andrea;Violante, Francesco 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3권1호
    • /
    • pp.52-57
    • /
    • 2012
  • Objectives: Lifting heavy weights involves the Valsalva manoeuvre, which leads to intraocular pressure spikes. We used data from a case-control study to further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occupational lifting is a risk factor for retinal detachment.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48 cases (patients operated for retinal detachment) and 84 controls (outpatients attending an eye clinic). The odds ratios (OR) of idiopathic retinal detachment were estimated with a logistic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age, sex and body mass index). Three indexes were used to examine exposure to lifting; 1) maximum load lifted, 2) average weekly lifting, 3) lifelong cumulative lifting. Results: For all indexes, the most exposed subjects showed an increased risk of retinal detachment compared with the unexposed (index 1: OR 3.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1-10.48; index 2: OR 3.24, 95% CI 1.32-7.97; index 3: OR 2.23, 95% CI 1.27-8.74) and dose-response relationships were apparent. Conclusion: These results reinforce the hypothesis that heavy occupational lifting may be a relevant risk factor for retinal detachment.

농약 노출과 중추신경 증상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esticide Exposure and Central Nervous System Symptoms)

  • 권영준;강태선;김경란;이경숙;주영수;송재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2호
    • /
    • pp.265-285
    • /
    • 2004
  • 이 연구는 농약의 노출에 의해 중추신경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농약노출로 인해 중추신경계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농약 누적노출을 추정하였으며, 농약 노출 관련 요인에 따라 신경독성증상 호소의 차이를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 1년 동안 농약살포시간은 과수농민 69.6시간, 밭농민 41.1시간, 축산농업인 25.8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누적노출지수는 과수농민 119.5g, 밭농민 63.9g, 축산농업인 23.7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누적노출지수에 의해 분류하면, 과수농민은 고노출군, 밭농민은 중간노출군. 축산농민은 저노출군에 해당하였다. 과거 농약중독 경험률은 과수농민 40.7%, 밭농민 35.1%, 축산농민 23.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01), 지난 3개월 동안 농약중독 증상 경험률은 과수농민 67.2%, 밭농민 55.3%, 축산농민 20.5% 순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신경독성 자각증상의 총점과 6개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는 대조군 및 축산농민에 비해 밭농민 및 과수농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연령, 교육수준, 성, 흡연, 음주를 보정한 상태에서도 6개 이상 신경독성 증상 발생의 교차 비는 비노출군에 비해 과수농민이 3.08(95% CI 1.50-6.30)배, 누적노출지수가 75% 이상 높은 군이 2.75(958% CI 1.12-6.78) 배, 과거 농약중독 경험이 있는 경우 1.97(95% CI 1.21-3.20)배, 현재 농약중독증상을 경험한 경우 정상군에 비해 경도 중독군 3.03(95% CI 1.47-6.22)배, 중등도 중독군이 6.34(95% CI 3.03-13.25)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경독성증상의 발생에 일관되게 농약노출과 관련된 요인이 유의하게 나타나고, 농약노출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과수농민에서 중추신경계 증상 호소가 유의하게 녹게 나타나 만성 농약노출에 의해 중추신경계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 PDF

Assessment of Arsenic Levels in Body Samples and Chronic Exposure in People Using Water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rsenic: a Field Study in Kutahya

  • Arikan, Inci;Namdar, Nazli Dizen;Kahraman, Cuneyt;Dagci, Merve;Ece, Ezg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183-3188
    • /
    • 2015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kin lesions, which is a health effect of chronic arsenic (As) exposure, and determine the hair/blood arsenic concentrations of people living in Kutahya villages who are using and drinking tap water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rseni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3 people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A prepared questionnaire form was used to collect the participants'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istory. Skin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all participants. Hair, blood and water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The cumulative arsenic index (CAI) was calculated for all participants. Results: Villag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rsenic level (<$20{\mu}g/L$, Group I; >$20{\mu}g/L$, Group II) in their water. The prevalence of skin lesions, hair and blood arsenic level, and CAI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II participants. There wa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ody arsenic levels and CAI in the participants of each group. Conclusions: The number of skin lesions and arsenic concentrations in body sampl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the water arsenic level and exposure time. We hope that sharing this study's results with local administrators will help accelerate the rehabilitation of water sources in Kutah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