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History

검색결과 1,760건 처리시간 0.04초

The Dilemma of Cultural Propaganda and Academic Research: New historical drama "Hai Rui's Dismissal" in Shanghai

  • Zhang, Sheng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2권1호
    • /
    • pp.87-111
    • /
    • 2020
  • Since 1949, The first generation leader MAO zedong liked reading history books and historical biography, It led to criticism and evaluation of history and character be targeted in every movement, before the February Outline(er yue ti gang) had been revoked, the Shanghai society discussed "Hai Rui's Dismissal "basically" within the "learning and using Chairman MAO's works(huo xue huo yong mao zhu xi zhu zuo)" category, with the deterioration of the national political situ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drama "Hai Rui's Dismissal" discussions, the dilemma of cultural propaganda and academic research appeared.

국내 전시 사례로 본 국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국내의 인식 변화 (Changes in Domestic Perception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Explored through Exhibitions Held in Korea)

  • 신소연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330-355
    • /
    • 2024
  • 국내에는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유산을 불행한 역사적 배경 아래 국외로 흩어진 환수의 대상으로 보는 시선과 한국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외국에 널리 알리는 활용의 대상으로 보는 시선이 공존한다. 이러한 시선의 변화는 1945년 광복 이후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는데,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인식이 존재했으며 특별전이나 상설전에서 이러한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환수 문화재 전시에서 강조한 환수의 당위성 인식이다. 불법 반출되어 반환되거나 구입이나 기증 형식으로 돌아온 문화재 전시에서 주로 확인된다. 한일 국교 정상화를 계기로 개최된 1966년 <반환문화재특별전>은 전시 제목처럼 일제강점기 불법 반출된 문화재 환수의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1980~90년대 전후 기간에는 기증 특별전이 열렸는데, 기증의 배경 역시 반환의 당위성에 기반하였으며 2011년 개최된 <외규장각의궤> 특별전은 환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며, 우리의 문화적 자부심을 회복한 계기였다. 두 번째 인식의 유형은 국외의 우리 문화재를 한국문화를 복원하고 한국문화를 종합적인 시각으로 보기 위해 필수적인 문화재로 보는 인식으로 주제별로 국외에서 한국문화재를 대여 전시하는 특별전에 잘 나타난다. 호암미술관의 1995년 <대고려국보전>, 1997년 <조선전기 국보전>,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의 2010년 <고려불화대전>은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가 한국문화사의 '복원'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 각인시킨 전시이다. 세 번째 유형은 국외소재 한국 문화재 각각의 역사를 중시하는 인식으로 한국문화재 수집사 특별전이 개최되어 대중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8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을 기반으로 90년대 해외 박물관 신규 설치가 늘어나고 한국 문화재 전시가 늘어나자 입수 경위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1994년 <유길준과 개화의 꿈>, 2012년 <미국, 한국미술을 만나다> 전시는 한국실과 한국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수집의 역사를 소개하고 미국 내 한국미술에 대한 인식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계기로 한국실 설치와 지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외 우리 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활성화되고, 국외에 있는 우리문화재가 현지인의 이해를 돕고, 우리 문화를 알린다는 점에서 국외 한국 문화재에 대한 국내의 다양한 인식 변화가 이어졌다.

백제문화제 활성화을 위한 문화상품에 관한연구 (백제문화상품전국공모전분석을통하여) (A Study on the Cultural Goods for Vitalization Baekje Cultural Assets (Through the Analysis of National Contest Exhibition for Baekje Cultural Goods))

  • 이재호;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67-673
    • /
    • 2013
  • 백제문화제는 옛 백제의 도읍지였던 공주와 부여 지역의 역사적 기반을 바탕으로 백제문화를 재조명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한다는 목적 하에 개최되어 왔다. 백제의 문화를 소개하고 교육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축제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지역문화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여 지역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역사문화축제인 백제문화가 당면한 문제점으로 역사문화축제가의 의미 혹은 활용방안 등에 대한 인식 부족이 있다. 이는 당초 취지와 목적에 동떨어진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크다. 따라서 백제문화제의 다양한 경연프로그램 중 백제역사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백제문화에 대한 우수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국제적 관심을 유도하여 백제문화상품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디자인 창작열을 높인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고자 백제문화상품 전국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본 필자는 백제문화상품 전국공모전 통한 입상작의 문화 상품으로써 문화콘텐츠 산업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백제문화상품 전국 공모전에 관한 백제문화제 일반적 고찰, 국내 문화상품 사례를 통해, 백제문화상품 전국 공모전을 활용한 백제 역사, 문화, 재인식하고 찬란한 백제의 역사적 가치를 문화상품으로써 대중들의 관람, 소비, 홍보, 체험 등으로써 대중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한방지역축제의 역사성 고찰 (Review on History of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

  • 송재민;도미자;안상우;정지호;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
    • /
    • 2015
  • Purpose :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present the history of the Korean medicine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tourists, vitalizing local economy, and improving the local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festival and grasp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Methods : I compared the books and articles presented in the reference list. Results & Conclusions :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originates from traditional yangnyeongsi. Since the $17^{th}$ century, yangnyeongsi has grown up as a special market.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Act promoted commodity and monetary economy that helped commerce and industry develop and market grow up. It also made changes in the social status system and yangnyeongsi has been such a historical phenomenon appeared in this social background. The growth of yangnyeongsi contributed to the progress in the private medicine that triggered the gradual transfer of power in the medicine to the private sector which has long been held by the government. In yangnyeongsi, there were many cultural events to attract visitors. It's the same case in China that preserves stages that were used for cultural events in the medicine market to pass down the historic sites while those in Korea are disappearing as yangnyeongsis are being pulled out of the city areas to the suburban areas due to the redevelopment projects. For this reason, restoration of the place for traditional yangnyeongsi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rough local medicinal herb festivals.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전 '문화재' 개념의 형성과 변화 (Forming and Changing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befor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 오춘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288-318
    • /
    • 2023
  • 이 글은 소멸이 예상되는 '문화재'라는 개념어의 역사를 살피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작하였고, 이 개념어가 우리 사회에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이전의 역사를 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재라는 단어는 1920년대에 등장하였는데, 문화적 자원이라는 의미 속에서 문학·역사·음악·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까지 문화재의 의미는 '문화적 자원'이라는 범위에서 많이 쓰였고, 이 시기에는 일제강점의 현실과 역사를 극복하려는 취지에서 사용된 사례가 많았다. 한국전쟁 직후에는 '전쟁으로 인한 문화적 자원의 복구'라는 취지에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일본의 문화재보호법 영향을 직접 받은 문화재 인식은 1950년대부터 등장한다. 1960년대 초 문화재 관련한 각종 법령 제정과 문화재관리국 설치는 문화재의 의미가 '문화유산'으로 한정되는 현상의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국가가 주도한 문화재의 정의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문화재 개념이 문화재보호법처럼 일본에서 수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여러 일본 유학생들이 문화재 개념을 한국에 소개한 사례들은 이 개념이 일본에서 수입되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하지만 '여러 한자를 사용한 조어', '1920년대 문화관련 복합어의 발생 현상', '비 일본권 유학자들의 문화재 개념 사용 사례' 등은 자체적인 발생 가능성도 열어준다. 문화재 개념의 수입 여부와는 별도로, 당시 지식인들은 이 개념을 사용하여 식민지 조선의 내적 발전과 극복을 도모하였다. 이 글에서 문화재라는 개념어는 일반적인 인식보다 더 오래되고 폭넓은 시작의 역사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재'라는 개념어의 역사는 문화재보호법 제정을 기준으로 하면 60여년이 되지만, 그 발생인 1925년을 기준으로 하면 100년 가까운 역사가 된다. 일반적으로 단어의 생성과 소멸은 사회적 변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진행되기도 하지만, 국가적 정책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사라질 수도 있다. 사라질 예정인 단어의 시작이 어떠했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이 단어의 역사적 의미를 정리하는 일에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사회사적 디자인사 연구를 위한 방법론 모색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pproach to Design History in Korea)

  • 강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33-242
    • /
    • 2005
  • 본 연구는 디자인의 사회사가 한국디자인의 역사를 연구하고 교육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디자인에 대한 사회사적 접근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제2장에서는 니콜라우스 페브스너 이래 지속되어 온 디자이너 중심의 디자인사 서술 방식과 이를 비판하며 사회사적 관점의 디자인사를 주장했던 에이드리언 포티의 디자인사 서술 방식을 비교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 근현대기 일상문화와 시각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을 시도했던 <일상 기억 역사>, <캠페인을 보면 사회가 보인다>, <신화 없는 탄생: 한국 디자인 1910 - 1960> 등 세 개의 국내 전시회를 통해 한국디자인에 대한 사회사적 접근 방식의 사례를 찾아보고자 했다. 제4장에서는 디자인사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 디자인의 사회사적 접근 방식이 갖는 의미와 특성 등을 고찰해보고 질적연구방법론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동양수학사에서의 조선수학의 역할과 의미 (The Role and Meaning of Joseon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Asian Mathematics)

  • 이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9-181
    • /
    • 2018
  • We here discuss about the roles and meaning of Joseon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Asian mathematics from cultural perspective. To do so, we focus on culture. We first look at the meanings and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civilization and culture, and their differences. We next discuss on the cultural perspective to look at the mathematical history of Korea, which is considered as a part of the history of Asian mathematics. It is notable that Joseon mathematics of Korea made Asian mathematics develop further, and played the roles of academic bridges among China, Korea and Japan. It also kept and prolonged the life of the Asian mathematics up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지역 역사문화 아카이빙을 위한 김포 북변동 스토리텔링 사업 (Storytelling Project for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Archiving on Bukbyeon-dong, Gimpo-si)

  •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5-281
    • /
    • 2019
  • 본 글은 2018년 김포문화재단에서 주관한 김포시 북변동 스토리텔링 사업을 소개한 글이다. 프로젝트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아카이빙 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세부 과업으로는 조사, 답사, 구술채록, 스토리 정리, 콘텐츠 활용방안 제시 등이었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낀 프로젝트의 한계와 의미, 지역 역사문화자원 발굴의 의미, 지역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함께 보고한다.

일본 근대문화유산의 보호시책에 관한 연구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for the Modern Ages in Japan)

  • 김태영;김동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101-116
    • /
    • 2000
  • Many cultural heritages for the modern ages in Korea are becoming lost rapidly as a result of subsequent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s and other reasons. But they are indispensable for an understanding of history, tradition culture of Korea, and form the basis for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future cultu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in Japan, establishing the protection policies in Korea. In Japan, The Advisory Committee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was organized by The Agency for Cultural Affairs. And this classified modern cultural heritage into four fields, as like; (1)monuments, (2)buildings, (3)fine arts and historical heritage, and (4)life, culture, and technology to pursue concrete research and study. The next step is tarrying out investigations to identify these cultural heritages, which were once the backbone of Japanese modernization and are now in the process of being lost, in an effort to preserve them as cultural heritage of the Japanese modernization period. The investigation will have conducted on an about eight year scheme starting with 1996. And it's will ask all local boards of education(of the prefectures, cities, towns, and villages throughout the country) to supply all related records or documents available and to cooperate in field studies. So now, many cultural heritages for the modern ages in Japan have been designated as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onuments, etc. And they have been prepared various tax policy(ex, reduction of the real estate tax). Also, that's examples are not only one by one but magnified with protection of large-scale construction associated with region. In addition, magnified with region's activities. In conclusion, in the process, protection has been extended to a broader variety of cultural properties and much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methods of protection in Jap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