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673건 처리시간 0.036초

복령(Poria cocos) 재배기술의 변천과 실용화 (Changes of the cultivation methods of Poria cocos and its commercialization)

  • 조우식;유영복;홍인표;김동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3-307
    • /
    • 2013
  • 한국에서의 복령연구는 형태학적 관찰 및 특징, 채집기, 재배방법, 복령균의 배양학적 특성연구 (홍과이, 1990), 1994년 농촌진흥청에서 복령의 인공재배법이 개발되면서 드링크제, 제빵제재 등의 식품화연구도 2000년대 초까지 진행되었다. 복령의 에탄올추출물은 폐암, 난소암, 피부암, 중추신경암, 직장암 세포 성장에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등 항암효과 등의 기능성이 입증되었다(권 등, 1998). 하지만 현재까지도 복령의 수요를 천연채집 및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재배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한 인공재배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경북농업기술원과 신농버섯연구소 등에서 지상에서 재배법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의 재배사례에서는 부적절한 재배시기를 선택하는 등의 사유로 실패사례를 간혹 볼 수 있다. 최근 복령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이 수출을 제한하여서 지난 4년간 복령가격이 113% 인상되는 등 복령의 국내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복령의 지상재배법과 지하재배법의 장점만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의 복령인 공재배기술의 확립이 요청된다.

곰소만 조간대 바지락 양식장 저질의 퇴적학적 및 수리역학적 특성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 조태진;이상배;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5-253
    • /
    • 2001
  • 곰소만 조간대에서 채취한 표층퇴적물에 대하여 입도분석을 수행하여 퇴적물의 조직 특성을 분석하였다. 코어 시료를 이용하여 퇴적물의 수리-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퇴적물의 심도별 역학적 응력 및 과잉간극수압, 그리고 지반의 안정성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여 바지락 양식장 퇴적물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곰소만 조간대내의 표층 퇴적물은 겨울에는 $5 \phi$의 조립 실트가 주를 이루는 단모드형을 나타내고, 여름에는 $5 \phi$의 조립 실트질 퇴적물에 $4 \phi$의 미세사질 퇴적물이 첨가된 경향을 보여준다 바지락 양식장의 퇴적환경은 평균 입도 $4\~5 \phi$범위, 모래함량 $50\%$ 미만, 니질 함량 $5\sim10\%$ 범위를 나타낸다. 퇴적양상은sandy silt이며, 분급도는 $1.0\sim2.0 \phi$를 나타내고, 왜도는 0.1-0.5의 범위에 포함되어 퇴적물의 퇴적 작용이 방해가 될만한 높은 에너지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 환경이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치해석적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저질환경은 사질과 니질이 혼합되어 절대 투수계수가 $10^{-11}\sim10^{-12}m^2$ 범위인 경우로 사료되며, 수치해석 모델링 견과 니질 피복층의 두께가 4cm를 초과하게되면 바지락 서식에 대한 저질환경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고찰된다.

  • PDF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응용한 식물재배용 관수 광량 제어장치

  • 김종만;김영민;김원섭;신동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
    • /
    • 2010
  • Multi Cultivation Remote-control System(MCRS) for crops through characteristics of multi-safe sensors was realized. I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o the effect of LED Control with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crops(for examples, sprouts). We have also composed a Combined Automatic Control System possible for the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e same time. And we producted the remote control as using Linux.

  • PDF

관행농법, 시설재배 및 유기농법 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배추, 상추의 $NO_3^-$ 집적량 차이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Cultivated by the Conventional Farming, Greenhouse Cultivation and Organic Farming and Accumulation of $NO_3^-$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 손상목;한도희;김영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9-165
    • /
    • 1996
  • In order to get some basic datas on environmental friendly funtion against soil and water pollution and safe vegetable production by organic farming,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cultivated by the conventional farming, greengouse cultivation and organic farming and acumulation of NO3--N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were analysed. The highest value of NO3--N in 0-30cm subsoil of organic farming was found among the 3 different farming systems, and it was 3.6 and 6.6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farming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respectively. P2O5 also show high accumulation in the rhizosphere of organic farming compared to convnetional farming. The accumulation of NO3--N and P2O5 in the rhizosphere of organic farming were simial to those of greenhouse cultivation. The NO3- accumulation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by organic farming reach 3224ppm in chinese cabbage and 2543ppm in lettuce and it were 4.7 and 6.4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nvnetional farming. It is urgently necessary to introduce the basic standard of IFOAM, EU and FAO/WHO Codex on organic agriculture into korean organic agriculture for oper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ystem and production of safe vegetable in terms of NO3-.

  • PDF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병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ellinus baumii Grown in Bottle)

  • 류영현;조우식;이진만;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4
    • /
    • 2004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은 현재 원목재배가 주종을 이루는 있는데 자실체 생육기간이 길고 원목수급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톱밥의 경우 목재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톱밥병재배을 실시하였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톱밥병재배를 실시한 결과 참나무톱밥 + 미강(4 : 1)배지가 배양속도와 균사밀도는 가장 높았지만 자실체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반면에 참나무톱밥 100% 배지는 균사밀도와 배양속도는 낮았지만 병배지에서 자실체를 형성할 수 있었고 850 ml병에 비해서 1,100 ml 병 처리가 수량성과 생체효율이 약간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Characteristics for the growth and yield of Pleurotus ostreatus by air velocity

  • Oh, Tae-Seok;Park, Youn-Jin;Lim, Hyun-Goo;Kim, Tae-Kwon;Jang, Myoung-Ju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1-46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um wind velocity for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In the chamber experiments, the divergence of pileus was $63^{\circ}$ in 0.3m/s, and it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more the air velocity was increased, the more the divergence became small. And the ratio of commercial yields was 96% in the air velocity of 0.3m/s. In the cultivation room experiments, the divergence of pileus was $64^{\circ}$ in 0.3m/s, and it was the tendency that the more the air velocity was fast, the more the divergence became larger. And the commercial yields was similar to the trend of the chamber experiment as 94.8% in 0.3m/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ruit-body showed the uniform qua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 becaus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ize of the pileus, etc. was the lowest in 0.3m/s like the chamber experiment.

재배용기별 표고의 배양특성 및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Lentinula edodes cultivated in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 김정한;백일선;신복음;권희민;이용선;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2-135
    • /
    • 2019
  • 본 연구에서 생력화가 가능하면서 친환경적인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병, 상자를 이용하여 표고 의 배양특성 및 버섯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병과 봉지는 각각 1.2 kg의 혼합배지를, 상자는 7 kg의 혼합배지를 넣어 표고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20{\pm}1^{\circ}C$의 배양실에서 모든 처리구의 배지온도는 배양 14일째 최대치에 도달하다 그 이후 낮아지며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재배용기별 배양기간은 봉지와 병이 30일, 상자는 39일로 나타났고, 갈변기간은 상자가 42일로 병과 봉지가 각각 51일, 60일 보다 짧았다. 1주기 재배기간은 병이 89일, 상자가 90-97일, 봉지가 99일로 나타났다. 재배용기별 버섯 발이수는 상자 27개, 봉지 7.7개, 병 2.3개 순으로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쳐 상자가 1,253kg, 봉지 199.7, 병 144.0g으로 나타났다. 건조 배지중량 대비 신선버섯 발생비율은 상자가 39.4%, 봉지 35.8%, 병 26.4% 순으로 상자의 생물학적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자재배는 갈변기간의 단축과 버섯 수량성에서 봉지재배에 비해 유리한 장점이 있어 친환경 생력화 재배법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표고 '산조701호', '농진고'의 최적 배양 및 자실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optimal cul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Lentinula edodes fruit body 'Sanjo701ho', 'Nongjingo')

  • 박혜성;문지원;이은지;이찬중;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6-238
    • /
    • 2018
  • 표고 톱밥배지 배양일수별 배지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조701호'의 색도는 명도인 L값이 배양 30일에 83.8(${\pm}2.5$)에서 배양 120일에 45.7(${\pm}2.3$)로 감소하였고, a와 b의 값은 배양일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경도는 배양 30일에 9.4(${\pm}0.9$)g/mm에서 배양 120일에 2.6(${\pm}0.2$)g/mm으로 감소하였다. '농진고'는 명도인 L값이 배양 30일에 86.2(${\pm}2.1$)에서 배양 120일에 53.4(${\pm}1.3$)로 감소하였고, a와 b의 값은 배양일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경도는 배양 30일에 4.8(${\pm}0.7$)g/mm 배양 120일에 3.8(${\pm}1.0$)g/mm로 감소하였다. 배양일수별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조701호'의 배양일수별 첫 수확일은 30일 배양배지는 46일, 60일배양 배지는 89일, 90일배양 배지는 8일로 가장 짧았고, 120일 배양배지가 9일이었다. 자실체 평균무게는 90일 배양배지가 48.3 g으로 가장 높았고 갓 직경, 갓 두께도 가장 높았지만 색도측정결과에서는 120일 배양배지에서 발생된 자실체가 가장 우수한 상품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진고'는 30일 배양배지가 22일, 60일 배양배지가 18일, 90일 배양배지가 8일로 가장 짧았고, 120일 배양배지는 9일이었다. 따라서 표고의 배지, 자실체 특성 등을 고려할 때 배지의 배양일수가 120일이 안정적인 수량 및 높은 상품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irst Report of Stemonitis splendens Rostaf Causing Bark Decay of Oak Log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in Korea

  • Lee, Jung Han;Kim, Da-Ran;Kwak, Youn-Sig
    • Mycobiology
    • /
    • 제42권3호
    • /
    • pp.279-281
    • /
    • 2014
  • Severe bark decay disease was observed on oak logs at a shiitake cultivation farm in Geochang-gun, Gyeongnam province. The symptoms observed were fruiting bodies that had developed on the top and side surface of oak logs. As a result, the bark came off easily exposing the sapwood. Slime mold specimens collected from oak logs showed developing fruiting bodies comprising of stalks, hypothallus, capillitium, and columella, and the causal agent of bark decay disease was identified as Stemonitis splendens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temonitis splendens causing bark decay of oak logs used for shiitake mushroom cultiv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