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Environment

검색결과 1,640건 처리시간 0.036초

Identification of New Isolates of Phytophthora sojae and the Reaction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Following Hypocotyl Inoculation

  • Kang, In Jeong;Kang, Sunjoo;Jang, Ik Hyun;Jang, Yun Woo;Shim, Hyung Kwon;Heu, Sunggi;Lee, Sung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98-704
    • /
    • 2019
  • Phytophthora root and stem rot (PRSR) caused by Phytophthora sojae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diseases of soybean. PRSR recently became an issue as soybean cultivation in paddy fields increased in South Korea. The management of PRSR mainly involves R-gene-mediated resistan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sistance in Korean cultivars. Major Korean soybean cultivars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R-gene-mediated resistance to four P. sojae isolates, two of which were new isolates. Isolate-specific reactions were observed following P. sojae inoculation. Of 21 cultivars, 15-20 cultivars (71.4-95.2%) showed susceptible reaction for each isolate. Ten cultivars were susceptible to all the isolates, and six cultivars were identified to have R-gene-mediated resistance to one or two isol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framework for the discovery of resistant cultivars, development of new cultivars resistant to P. sojae, and investigation of pathogenic diversity of P. sojae population in South Korea.

산수유의 지표성분 함량과 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r compounds contents and cultivation environment of Cornus officinalis)

  • 어현지;강연경;김다솜;박영기;김현준;박광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175-1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재배 환경에 따른 산수유나무의 지표성분인 loganin 및 morroniside을 함량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구명하고자 하였다. Loganin 및 morroniside 함량은 UPLC에 의해 동시 분석되었다. 토양 데이터의 Mg2+ 함량과 pH가 loganin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g2+, Na+ 함량, pH, 염도, silt 비율, 점토 비율이 morroniside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g2+ 함량, pH, 점토비율은 산수유 지표성분인 morroniside 및 loganin 함량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수유나무의 최적의 재배환경요건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작물 재배를 위해 토양에 혼화처리된 Ethoprophos의 후작물 흡수이행 (Uptake and Translocation of Ethoprophos Mixed with Soil for Cultivation of Preceding Crop into Succeeding Crop)

  • 곽세연;이상협;김효영;신병곤;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98
    • /
    • 2021
  • BACKGROUND: Unintentional residual pesticide in soil derived from preceding crops and the transfer to succeeding crops was considered a critical barrier for positive list system (PLS). Thus, an uncertain risk is predicted for ethoprophos applied at cultivation of preceding crop (Korean cabbage) to succeeding crop (spinach). METHODS AND RESULTS: Ethoprophos was treated on soil following the recommended dose and 5 times dose according to the safe use guidelines for Korean cabbage after seeding. On the 4 days after harvesting of preceding crop, spinach was sowed. The initial residual amounts of ethoprophos on soil (7.081-19.493 mg/kg) were decreased to 3.832-7.218 mg/kg until the harvest of Korean cabbage, and then finally decreased to 0.011-0.079 mg/kg after spinach cultivation. The uptake rates of ethoprophos from soil by Korean cabbage were 0.01-0.03% and distributed to root (0.150-0.903 mg/kg) and shoot (0.021-0.151 mg/kg), respectively. The residual amounts of uptake and translocation from preceding crop cultivated soil to spinach edible part were found to be below LOQ. CONCLUSION: The plant back internal (PBI) for ethoprophos is not recommended during sequential cultivation of leafy vegetables, since the residual amounts of ethoprophos in spinach were less than MRL (0.02 mg/kg).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Garden Space Using the Planting System Design Process

  • Hong, In-Kyoung;Yun, Hyung-Kwon;Lee, Sang-Mi;Jung, Young-Bin;Lee, Mi-R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15-62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Urbanization caused a reduction in urban green space and a lack of community spaces.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gardens, have become popular and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downtown areas. However, urban gardens have some inadequate aspects from a visual or landscape persp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aesthetic and productive garden space by introducing cultivation methods through the planting system design process. Methods: The design process using plants was classified and present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 An urban garden spac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scenery' and 'participation aesthe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urban gardens were divided into vertical type (corn, millet, sorghum), climbing type (kidney bean, cucumber, bitter gourd), and runner type (melon, watermelon, peanut). After classifying pla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t, the structure supporting climbing was installed and the crops were cultivated in an upright form with a tunnel. Results: In the designed cultivation, each crop cooperates, without invading each other's spa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roduction, and management was made more convenient since weed outbreaks were effectively suppressed while runner type crops cover over the land's surface. Since the positions of each crop are clearly distinguished, the aesthetic value is improved by offering a sense of rhythm with a balanced desig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ltivation methods through the plant system design process have aesthetic as well as productive value, and the design using plants, an infinite living resource, could lead to an expansion of the design field. Moreover, it would enable a sustainable symbiosis between industry and environment. There is potential for the design industry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griculture,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한국의 공장적 식물생산 기술의 현황 및 발전 방향 (Actual State and Development Strategies on Cultivation Technology of Factory Style Plant Production in Korea)

  • 권영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6년도 국제심포지움 21세기 첨단식물생산시스템의 실용화
    • /
    • pp.75-89
    • /
    • 1996
  • 식물의 공장적 생산으로 생산방식을 전환 발전시키기 위한 기술의 구성요소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겠으나 생산의 공정화, 규격품의 주년생산, 최적한 인공환경조성, 생산물의 무공해 청정화로 볼 수 있다. 첫째로 생산방식의 공정화는 3차원적 생산구조로서 광의 수광태세를 개선시키고 작업대상인 작물을 작업장치에 이동시키는 동적생산체계를 구성함으로써 생산의 효율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둘째로 규격품의 주년생산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년중 균일한 고품질 상품을 생산함으로서 기존 생산물과 품질의 차별화를 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중략)

  • PDF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기계이앙과 담수산파 재배의 건물 생산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iomass Production between Machine-Transplanted and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in the Central Plain Area of Korea)

  • 양운호;박정화;강신구;김숙진;최종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86-195
    • /
    • 2018
  •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기계이앙과 담수산파 재배의 건물 생산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 시험 포장에서 최근 육성 등록된 목우와 녹우 품종을 이용하여 5월 20일에 이앙 및 직파하여 3년간 검토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수산파 재배의 $m^2$당 입모수는 125~192개였으며, 출수기는 9월 11일~18일로 기계이앙보다 11~17일 지연되었다. 2. 기계이앙보다 담수산파 재배에서 수확기의 3년 평균 볏짚 건물중은 증가하였고 이삭 건물중은 감소하였는데, 볏짚 건물중 증가량이 이삭 건물중 감소량의 3.3배로 많아 전체 건물 수량은 증대되었다. 3. 건물 수량은 볏짚 건물중과 밀접한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이삭 건물중과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으며, 출수 후 수확기까지의 볏짚 건물중 감소 정도와 이삭 건물중 증가 정도는 유의한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건물 수량과 밀접하게 관련된 볏짚 건물중은 초장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m^2$당 수수가 많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기계이앙 대비 담수산파의 전체 건물중 비율은 이삭 건물중 비율과는 관계가 없었고 볏짚 건물중 비율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5. 기계이앙 대비 담수산파에서 $m^2$당 수수는 9% 증가하여 하나의 이삭이 차지하는 평균 면적이 감소하였음에도 이삭줄기당 건물중 비율이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6. 따라서 담수산파 재배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담수산파에서 이삭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품종 재배적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겨울논 유채와 보리 재배시 전과정평가 방법을 이용한 환경영향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of Rapeseed and Barley Cultivation in Paddy Field for Winter using Life Cycle Assessment)

  • 홍승길;신중두;박광래;안민실;옥용식;김정규;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59-68
    • /
    • 2016
  • 벼 수확 후 겨울철 휴경논에서 유채 재배 시스템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경쟁 작물인 보리 재배 시스템의 환경영향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전과정 평가방법을 적용하였다. 투입물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유채 및 보리 1 ton을 기능단위로 하여 분석하였다. 전과정 영향평가를 위해서는 체계화가 잘 되어있고 규칙적으로 적용된 영향평가 방법인 Eco-indicator 95 방법을 사용하였다. 생산물 1 ton당 발생하는 영향범주별 비교에서는 온실가스 등 6개 영향범주에서 보리보다 유채의 포텐셜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 중 화학비료 사용에 의한 환경부하가 전체 발생량의 65-96%를 차지하고 있었다. 부영양화 포텐셜은 오히려 유채보다 보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보리와 유채 재배에서 중금속에 의한 부하가 0.5 Pt로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전체 영향범주값을 합산하게 되면 보리에서 0.78 Pt, 유채에서 0.82 Pt로 나타났다. 시비-수확량 반응 시험에 대한 평가에서 보리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환경부하가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채는 시비량에 따라 증가하다가 최고 생산량을 보인 R3(80-65-65)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겨울 휴경논에 유채를 재배할 경우 환경 영향 범주 8개 중 6개 범주에서 기존의 보리를 재배하는 과정에 비해 환경부하량은 더 크다고 할 수 있지만 환경지수값으로 환산하게 되면 휴경지에서 유채와 보리 재배를 통한 환경영향에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친환경 농법에 따른 논 잡초발생 차이와 벼 수량에 끼치는 영향 (Weed Occurrence and Rice Yield as Affected b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Methods)

  • 조광민;이상복;김선;안설화;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9-288
    • /
    • 2011
  • 친환경 벼 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호남 및 충남지역에 위치한 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있는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잡초 발생 양상, 관리 실태 및 쌀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역의 잡초방제 관리실태는 왕우렁이농법> 오리농법> 쌀겨농법> 자라농법 순으로 감소하였다. 친환경 농법별우점 초종은 왕우렁이농법에서 피, 여뀌바늘, 물달개비, 벗풀, 사마귀풀이, 오리농법에서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자귀풀, 미국가막사리가, 쌀겨농법에서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여뀌, 올방개 등이었다. 친환경 농법별 쌀 수량은 제초제 처리 농가($5.2\;MT\;ha^{-1}$)와 비교하여 오리농법 93%, 왕우렁이농법 91%, 쌀겨농법 92%, 자라농법 78%이었다. 쌀 품위 중 완전립율, 사미, 착색립, 동할미, 피해립 등은 관행재배보다 낮았으며, 단백질, 아밀로스, 지방산은 관행재배와 유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구 관리 문제점은 논토양 정지 불균일, 배수관리 소홀, 냉수재배지 등 지형적 불리한 조건으로 잡초가 다발하거나 병해충 발생 및 도복 등으로 인하여 수량이 관행재배 대비 약 32~79%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논에서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를 할 경우 지형적으로 불리한 지역에서 친환경 농법은 배제되어야 하며 균평작업을 통하여 토양 표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겨울 유채의 환경성 평가를 위한 전과정평가(LCA) 방법론 (Methodology of Life Cycle Assessment(LCA)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Winter Rapeseed in Double-cropping System with Rice)

  • 남재작;옥용식;최봉수;임송택;정용수;장영석;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5-210
    • /
    • 2008
  • Life cycle assessment(LCA) is acknowledged as a valuable tool to quantify the environment impact of agricultural practice as well as final product(biodiesel) considering whole life cycle of the target product. As a preliminary research of LCA study for rapeseed(Brassica napus L.) biodiesel, the methodological issues which have to be regarded with high priority were dealt with. No life cycle inventory(LCI) based on local data are currently available for LCA of rapeseed cultivation, crushing, and conversion to rapeseed methyl ester(RME) in Korea. In this paper, the life cycle of rapeseed and methodological factors which have to be measured for building LCI of each process are provided and discussed, which are including seed, fertilizer, energy use in rapeseed cultivation environment; and crushing, RME conversion, and transportation in biodiesel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