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inary major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45초

외식 업체 종사자들의 전공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 비교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by Major in Foodservice Industry)

  • 변진원;남혜원;현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6-373
    • /
    • 2006
  • Employee turnover and job satisfaction are the main concerns of Foodservice indusryy because of a high dependence on human resourc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Foodservice industry and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by major at the college or university. In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by 3 groups of food-related majored, tourism-business majored, and other majo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But in th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and 6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re were all significant correlations in food-related majored and tourism-business majored employees. Employees in Foodservice industry were satisfied by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hat they majored at colleg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were gender, employment status, length of employment, monthly income, working hour per week in the food-related majored employees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tourism-business majored employees. Finally, among job satisfaction factors, intention to quit was negatively affected by supervision in food-related majored and tourism-business majored employees, but positively affected by job environment only in tourism-business majored employees.

대학생들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본인참여의 조절효과 - 외식.조리전공을 중심으로 -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participation Regarding the Impa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ajor of Food Service and Culinary Arts -)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6-25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본인참여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사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외식 조리 전공 2,4년제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또한 본인참여가 매개효과가 있는지의 검정은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교육만족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본인참여와는 후생복지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인참여의 매개효과 분석은 교육서비스품질에 본인참여를 추가하여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서 본인참여는 순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참여의 조절효과는 $R^2$값이 0.537에서 0.569로 0.032증가하여 교육서비스품질에 본인참여가 교육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습실환경${\times}$본인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된장 제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by Traditional Methods)

  • 변명우;남탄공;전명숙;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43-1548
    • /
    • 2014
  • 전국 5개도에서 수집된 된장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 환원당 함량은 강원도 된장이 $122.37{\pm}0.95$ mg/g으로 다른 지역 된장들보다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지역 된장들은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전라도 된장이 가장 높았고 경기도 된장이 가장 낮았으나 된장의 전통식품 품질인준 기준 300 mg%를 모두 충족시키는 값이었다. 식염 함량은 충청도 된장(14.58%)과 경상도 된장(13.54%)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강원도 된장(9.76%)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 값 범위는 5.36~4.79로 된장 모두 정상적인 시판 제품의 범위였고, 적정산도는 전라도 된장과 경기도 된장이 220(0.1 N NaOH mL/5 g)으로 높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된장에 대한 묘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성분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짠맛과 짠맛 후미를 갖는 된장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된장의 화학성분과 기호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된장의 소금 농도와 pH 값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된장의 화학성분과 묘사분석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와 상관관계를 부분 최소 제곱을 이용하여 pH가 높고 짠맛이 있는 된장을 좋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 중심 산학협동 현장실습생의 중요도 인식과 만족도가 취업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외식, 조리 전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Importance, Satisfac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Program on Their Employment - Focusing on Hotel Management, Food-service, Culinary Arts Majors -)

  • 전영직;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3-2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중심의 산학협동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실습 후 만족도와 이로 인한 취업의사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서 174부를 실증분석으로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장실습 중요도가 현장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계성'의 요인인 학생들이 산학실습에 참여할 때는 학과내용, 전공 관련 직무, 어학능력, 그리고 향후 취업과 연계하여 실습에 만족도를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현장실습 중요도가 취업의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계성'의 요인만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졸업 후, 전공에 맞고 현장실습을 한 업체에 취업하려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실습 만족도가 취업의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결과, 현장실습 만족도는 취업의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장실습을 통하여 업무능력과 기술이 향상되고 평가를 받게 되면서 향후 취업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풍 건조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With Hot-air-dried Perilla Leaf powder)

  • 김정수;안종성;안광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3-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섭취량이 많은 들깻잎을 생면에 첨가를 하여 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와 최적의 생면 레시피를 도출하고자 열풍건조 들깻잎을 제조하여 밀가루 대비 0%, 3%, 6%, 9%, 12%를 각각 첨가하였다. 반죽의 수분은 0%첨가한 대조군이 34.41%로 가장 높게 나타냈으며, pH는 12%를 첨가한 반죽이 5.59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반죽의 L값과 a값은 0% 첨가군이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반죽의 WRC 분석결과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흡수력이 증가하였다. 생면의 수분함량은 0%첨가한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면의 L, a, b값은 0% 첨가군이 각각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중량과 부피는 0% 첨가군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났고, 탁도의 경우 열풍건조한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탁도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경도(Hardness)와 응집성(Cohesiveness)은 는 0%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탄력성(Springiness)은 열풍건조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면의 미생물 변화는 저장 2일과 3일째에는 시료의 첨가량에 따라서 월등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결과에서 외관(Appearance), 향(Flavor), 색(Color), 맛(Taste), 조직감(Texture) 모든 항목에서 6%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역시 6% 첨가군이 7.20로 가장 높았고, 12% 첨가가 3.2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허여 볼 때 열풍건조한 깻잎 분말을 첨가를 하여 생면을 제조시에는 저장성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미생물 억제작용이 증가하나, 관능적 측면에서는 6% 첨가시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구기자를 첨가한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essing made with gugija(Lycium chinense))

  • 양정수;김현아;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71
    • /
    • 2015
  • 본 연구는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한국 사람의 기호에 부합하는 마요네즈, 요거트, 이탈리아 드레싱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기자 추출물 10%, 15% 그리고 20%를 첨가하여 드레싱을 만들고 드레싱의 수분 함량, pH, 색, 점도,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당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드레싱의 pH는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드레싱의 명도는 대조군보다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졌다. 드레싱의 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마요네즈 드레싱은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MC3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요거트 드레싱도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YL3가 가장 선호되었다. 이탈리아 드레싱도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GL3가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드레싱에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드레싱의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선호됨을 알 수 있었고 한약재가 첨가된 건강한 드레싱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쇠고기 선택 속성의 관여도와 선호도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Effects of Consumer Preference for Beef and Involvement in the Attributes of Beef Selec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 김기진;변광인;정우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6-298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쇠고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쇠고기 관여도, 쇠고기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7월 11일부터 7월 13일까지 서울, 대전, 대구 지역에 위치한 대형 할인 마트 2곳을 각각 선정하여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2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쇠고기를 구매할 때 안전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의 양, 브랜드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쇠고기 중 호주산쇠고기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우 선호도와 호주산 쇠고기의 선호도는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쇠고기 선택 속성에 대한 저관여 집단이 고관여 집단보다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 선택 속성에 대한 관여도가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미국산 쇠고기 선호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쇠고기 선택 속성의 관여도는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 선택 속성의 관여도와 관련성이 있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로 나타났고, 저관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 여자가 남자보다 미국산 쇠고기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기도 초등학교 급식에서 식습관과 지각된 식사품질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d Habits and Perceived Food Quality on Satisfaction with Elementary School Lunch in Gyeonggi Province)

  • 안경아;변진영;최영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8-108
    • /
    • 2015
  • 도교육청은 학교급식을 서비스로 간주하고 소비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올리버의 기대 불일치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의 식습관과 지각된 품질이 학교 급식 만족에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생의 성별과 학교 조건의 조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학교의 조건으로 검토한 것은 소재지가 농촌 또는 도시인지, 영양교사가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인지, 조리 시설 현대화 사업을 실시 또는 미실시하였는지, 배식장소가 교실 또는 식당인지 등이다. 2014년 9월 경기도 소재 8개 학교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이 실시되어 설문지 240부가 회수되었다.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전체 208부를 대상으로 PLS와 붓트랩 t-테스트를 하였다. 분석결과로 식습관이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p<0.01), 학교급식 서비스의 지각된 품질이 부분적으로 둘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경우에 식습관이 만족에 더 적은 영향을 주었다(p<0.1). 영양교사가 정규직인 경우가 비정규직인 경우보다 학생의 식습관이 만족에 더 작은 영향을 주었다(p<0.05). 조리 시설 현대화 사업을 시행한 학교의 경우가 식습관이 만족에 더 작은 영향을 주었다(p<0.1). 학교 소재지와 배식 장소는 식습관과 만족 사이에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태도를 형성하는 식습관과 지각된 품질이 상호작용하여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급식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식습관 개선하는 프로그램이 동반될 필요가 있다. 정책적으로 조리 시설 현대화 사업을 미실시한 학교와 비정규직 영양교사가 있는 학교에 우선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교육 효과가 높아질 것이다.

패밀리레스토랑 종업원의 위생과 청결에 관한 중요도 인식 (Importance perception on the sanitation and cleanliness of family restaurant employees)

  • 고호석;김선경;김동기;김범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5-16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anitation and cleanli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family restaurant employees in the Ulsan and Busan area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su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8 measures of food-service as well as major subject descriptors. From the results, the frequency, descriptive, factor, correspondence analysis, major findings and marketing implicati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 factors were extracted: cooking and control factor, food and tableware handling factor, personal cleanliness condition factor, purchase and receiving factor, unit food material store factor and Kitchen utensil sanitation factor. KMO and Bartlett' stest statistics showed that the data fitted the factor analysis well. Results of factor analysis, average variance extracted estimates and shared variance showed that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6 factors are supported and Cronbach's alpha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6 factors was supported. Second, correspondence analysis indicat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existed between some of the family restaurant employee sanitation and cleanliness factors and the family restaurant enterprise.

국내산과 외국산 퀴노아의 식품성분 비교 (A Comparison of Food Components between Korean and Imported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 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2-45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main food components between Korean and imported quinoa from Peru, the U.S., and Thailand. Proximate composition of Korean quinoa showed highest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hile Korean quinoa had lowest moistur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Korean quinoa than in imported quinoa. Fatty acid content was highest in quinoa cultivated in the U.S. and Wonju. Quinoa cultivated in Wonju was rich in palmitic acid, lignoceric acid, linoleic acid, eicosadienoic acid, erucic acid, and nervonic acid. Mineral content was higher in Korean quinoa than in imported quinoa. Quinoa cultivated in Wonju showed highest contents of P, Mg, Zn, while quinoa cultivated in Hongcheon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Na. Citric acid was found the major organic acid in quinoa. Citr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quinoa imported from the U.S. and lowest in quinoa cultivated in Hongcheon. Among free sugar, raffin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highest in quinoa cultivated in Hong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Korean quinoa has high contents of protein, amino acids, fatty acids, minerals and free sugar, offering essential amino acids in an excellent 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