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ex pipiens pallen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2초

세종지역 질병매개모기 분포 및 병원체 감염 실태 조사 (Monitoring for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and pathogen infection)

  • 이성희;김태평;이태호;김문배;윤창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5-169
    • /
    • 2018
  • This survey is performed for the vector mosquitoes including of Japanese encephalitis, Malaria and West niles virus. Black light traps were installed in 5 sites (Sejong lake, Janggun-myeon, Jeonui-myeon, Yeongi-myeon, Bukang-myeon). Mosquitoes were collected twice every week from five collection sites using a black light trap from May to September. A total of 10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14,234 female mosquito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s vector mosquitoes. Among ten mosquito species, Culex pipiens complex was the most commonly mosquitoes (6,163 individuals, 43.3%). The greatest number of Culex pipiens pallens was trapped in the first week of July. A total of 115 pools from 14,234 mosquito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ir species, collection date and site. We have screened infection of virus in mosquitoes. All of virus were not detected in mosquitoes. Our findings confirm that population and first appearance time of vectors mosquitoes and virus infection in Sejong city.

Examination of $\alpha$-terpinene on Primary Eye Irritancy and Skin Sensitization

  • Park, Byeoung-Soo;Choi, Won-Sik;Lee, Sung-E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1호
    • /
    • pp.68-75
    • /
    • 2007
  • [ $\alpha$ ]-Terpinene has been known as a repellent against the mosquito Culex pipiens pallens Coquillett based on a human forearm bioassay. $\alpha$-Terpinen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repellency than a commercial formulation, N, N-diethyl-m-methylbenzamide (deet). In this study, skin and eye sensitivity of $\alpha$-terpinene (2%) was examined with bioassays using white New Zealand rabbits. There were somewhat gross and histological changes observed in these treatments. Eye irritancy assays examined gross changes to cornea, iris and conjuctiva, and histological changes to smear of ocular discharge and eye tissue. Treated rabbits were divided into two cohorts, a saline washed cohort (W) or a non-washed cohort (NW). Opacity of cornea and redness, chemosis and discharge of conjuctiva were observed in both cohorts, but disappeared within 4 and 10 days in W and NW, respectively. Main components of ocular discharges were fibrin, epithelial or epitheloid cells, lymphoid cells, erythrocytes and granulocytes. These abnormal cellular components disappeared within 4 days and 10 days in W and NW, respectively. No permanent histolog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horts. However, severe irritation was determined as 57.2 of I.I.O.I value on the first day after 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a spray-type solution containing 2% $\alpha$-terpinene may serve as an alternative mosquito repellent and further studies need to reduce the eye irritation with formulation changes.

경북지역에서의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출현 소장 (Seasonal Prevalence of the Vector Mosquitoes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Kyungpook Province, Korea)

  • 주종윤;화전의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39-150
    • /
    • 1985
  • 1984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경북지역에서 출현하는 모기의 종류와 그 생태를 조사함과 아울러, 유문등에 의한 매개모기의 계절적 출현 소장을 관찰하였다. 조사 기간중에 채집된 모기의 종류는 4층 14종이었으며, 기중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작은 빨간집모기), Anopheles sinensis Wiedemann(중국얼룩날개모기), Culex pipiens pallets Coquillett(빨간집모기), 3종이 우점종으로 전 채집수의 95.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경산군에서 채집한 모기 34,571마리 중 C. tritaeniorhynchus가 44.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4.3%를 나타내는 분. pipiens pallens였으며, A. sinensis는 18.9%로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뇌염환자의 다발성 지역인 안강읍에서 채집한 모기 13,075마리 중, A. sinensis가 75.8%로 가장 많았고, C. tritaenorhynchus는 23.2%, C. pipiens pallens는 0.6%였다. 조사지역에서 C. tritaeniorhynchus를 처음으로 채집할 수 있는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이 기간중 기온은 $21.9^{\circ}C~25.0^{\circ}C$, 습도는 60~80%, 그 밀도(Average number of female mosquito/trap.night)는 1.2마리였다. C. tritaeniorhynchus의 최대 밀도시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초순 사이었으며, 그 기간중 기온은 $23.0^{circ}C~27.9^{\circ}C$, 습도는 64~88%였고, 최대밀도는 1,008.4마리였다. 매개모기의 야간 흡혈 활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7월 17~18일과 8월 3~4일 2회에 걸쳐 저녁 19시부터 그 다음 날 아침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모기를 채집하였다. C. tritaeniorhynch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21시에서 22시, 24시에서 1시 사이였으며, 아침 5시 이후에는 한마리도 채집할 수 없었다. 조사 지역에서 채집한 유충은 사육실로 옮겨 종을 동정 하였던 바, 4층 14종이었으며,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 매개종인 C. tritaeniorhynchus의 유충서식처는 답, 옹덩이, 작은 연못, 늪, 미나리논 및 소택지 등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뇌염 매개 모기, C. tritaeniorhynchus는 6월 중순에 처음으로 출현하며, 8월 하순과 9월 초순에 최대 밀도를 나타내였고, 10월 중순 부터는 채집할 수 없음을 알았다.

  • PDF

모기유충에 활성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Isolate against Mosquito Larva)

  • 길미라;김다아;백승경;김진수;최수연;김대용;윤영남;황인천;;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57-465
    • /
    • 2008
  • 본 연구는 모기에 활성을 나타내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균주에서 생산된 내독소결정단백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균주는 위상차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일반적으로 모기에 활성을 나타내는 spherical type의 내독소결정 성단백질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서식하는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이집트숲모기(Aedes aegyti)에 대한 이 균주의 살충활성검정은 각각 173, 190, 580 ng/ml의 $LC_{50}$ 값으로 각각 활성을 보였다.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균주에서 생산된 내독소결정성단백질의 SDS-PAGE를 통해 135, 80, 49와 28-kDa의 주요한 4개의 밴드를 나타냈다. 내독소결정성단백질의 소화에 영향을 미치는 곤충중장액과 유사한 trypsin효소를 처리하여 72와 63-kDa의 단백질이 새롭게 생성하였다. 파리목 위생해충인 모기에 활성을 나타내는 다른 7개의 B. thuringiensis 균주들의 내독소 결정성단백질과 혈청학적인 비교실험에서 독소단백질이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osquito-borne zoonotic diseases in slaughterhouse in Daejeon

  • Youngju Kim;Gyurae Kim;Sunkyong Song;Youngshik Jung;Seojin Park;Sang-Joon Lee;Ho-Seong Cho;Yeonsu Oh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5-122
    • /
    • 202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mosquito vectors related to the zoonotic disease in Daejeon. Samples were taken using a blacklight trap once a month from March to November 2021 at the slaughterhouse in Daejeon. A total of 820 mosquitoes were captured and classified into 5 genera and 8 species. Among the collected mosquitoes, 319 (38.9%) and 295 (35.93%) were Aedes vexans nipponii and Culex pipiens pallens, respectively, making them the dominant species. The overall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started to increase from May and reached the largest value of 329 (40.12%) in June. Trapped mosquitoes are created 72 pools by environmental condition and by species. The pools were tested by PCR methods for 7 zoonotic pathogens. Flavivirus-positive products were confirmed by DNA sequencing. Japanese encephalitis viruses were detected in 3 pools collected from cow lairage (Culex pipiens pallens) in May, cow by-product processing room (Aedes vexans nipponii) in June and cow lairage (Mansonia uniformis) in June. Culex flavivirus were detected in 4 p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continous surveillence of mosquitoes in livestock assembly facilities (slaughterhouse) should be performed for controlling mosquito populations and mediating disease spread by mosquitoes.

국내 토양으로부터 곤충병원성 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의 분리 및 생물검정 (Isolation and Activity of Insect Pathogenic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from Soil)

  • 김다아;김진수;길미라;윤영남;박동식;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57-362
    • /
    • 2006
  • 국내 토양으로부터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여 농업해충에 높은 활성범위를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토양은 대전, 충청남북도, 전라북도 등의 산과 들에서 142곳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42개의 토양시료 중 12개로부터 16개의 B. thuringiensis 균주가 분리되었다. 선발된 16개의 B. thuringiensis 균주 중에서 나비목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11균주,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에 7균주, 암청색줄무늬밤나방(Arete coerulea)이 5균주, 파리목의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에 5균주가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나비목인 미국흰불나방(Hyphanria cunea)과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에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는 이 실험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선발된 B. thuringiensis 균주가 2종류, 3종류 그리고 4종류의 해충에 함께 활성을 나타내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시험된 6종류의 모든 곤충에 무독성인 균주도 3개가 나타났다. 선발된 16개 균주의 결정성단백질은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이중피라미드형태가 13개이고 구형이 3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난방제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살충활성의 검정은 CAB109 균주가 $1.3{\times}10^{7}\;(cfu/ml)$에서 100%의 사망률을 보였다.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기피제의 효과비교 (Comparative Efficacy of Mosquito Repellents against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 강신호;장선아;한종빈;서동규;송치훈;김민기;김영림;최선희;김인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3-249
    • /
    • 2005
  • 모기기피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로졸제 4개, 액제 3개, 그리고 로션제 1개 제품에 대하여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기피력을 조사하고,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빨간집모기에 비해 흡혈 공격력이 높았으며, 흡혈 대상으로는 쥐(mouse)보다 사람의 손을 더 선호하였다. 쥐를 이용한 모기기피제의 기피력 평가에서, C 제품, G 제품, H 제품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냈다. 이들 기피제를 사람 손을 흡혈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3개 약제 모두 2시간 동안은 100%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떨어줬으며, C 제품이 효과가 좋았다. GC를 통한 DEET의 분석에서 8종 모기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량 내 7.31 g에서 38.9 g으로 제품 내 다양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제품 내 처리된 DEET의 함량과 기피력의 상관관계는 정비례하지 않았다. 면포를 이용한 DEET 잔존량 대비 모기 기피력 평가에서 DEET의 함량이 약 40% 이하로 떨어지면서 흰줄숲모기의 흡혈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제주지역에 서식하는 모기 개체군 밀도와 분포, 2018 (Density and Distribution of the Mosquito Population Inhabiting Jeju Region, 2018)

  • 서민영;정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36-343
    • /
    • 2019
  • 본 조사는 제주지역 감염병 매개체인 모기를 대상으로 계절적 발생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축사, 철새도래지, 도심으로 나누어 2018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간 월 2회 모기를 BL과 BG를 이용하여 모기를 채집한 후 분류 및 동정을 실시하고, RT-PCR을 이용하여 flavivirus의 보유여부를 확인하였다. 채집된 모기는 6속 12종으로 1,847마리가 채집되었다. 채집 장소 중에서 철새도래지에서는 공방주변 잡목림, 서귀포 도심에서는 중앙동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가장 많은 개체수로는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가 76.9%로 우점종이었고, 그 다음으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가 8.9%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모기개체수가 채집된 시기는 6월, 8월, 10월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한 모기 1,847마리를 50 pools로 나누어 flavivirus의 보유 여부를 RT-PCR검사하였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사결과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chus),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되어 향후 모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제 관리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Bacillus sphaericus Asporogenic Mutant Spo - D1216의 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 Activity of Bacillus sphaericus Spo -D1216 Asporogenic Mutant)

  • 복거중;김영한;이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7-162
    • /
    • 1985
  • Bacillus sphaericus 1593 K-5 균주의 Culex pallens 모기유충에 대한 LC$_{50}$(cells/$m\ell$)은 2.6$\times$$10^2$이었다. B. sphericus 1593 K-5 Spo-D 1216 균주는 Culex pallens 모기유충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B. sphaericus 1593 K-5 균주는 포자가 형성되어 가면서 독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B. sphaericus 1593 K-5 균주의 세포질을 Sep-hadex G-100 컬럼상에서 gel permeation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을 때 3개의 단백질 분획을 보였으며 이 중 한 분획이 활성분획있다. 이 활성 분획을 DEAE-Sepha dex A-50 컬럼상에서 ion-exchange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을 때 4개의 단백질 분획을 보였으며 이중 한 분획이 활성분획이었다. B. sphericus 1593 K-5 Spo-D1216균주의 세포질은 Sephadex G-100 컬럼상에서 gel permeation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을 때 2개의 단백질 분획을 보였으며 이 분획 모두가 활성이 없음이 생체실험 결과 밝혀졌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