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ptophycea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북극해 하계 남동 바렌츠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크기별 분포와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outheastern Barents Sea during August 2003)

  • 주형민;이진환;정경호;강재신;강성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265-276
    • /
    • 2005
  • In order to grasp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chlorophyll-a (Chl-a) and cell abundance were measured at 20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9 to August 21, 2003 in the southeastern Barents Sea on surface and subsurface chlorophyll maximum depth (SCM). Surface temperatures were varied from minimum $-0.7^{\circ}C(st. 18)$ to maximum $10.4^{\circ}C(st.1)$. Salinities were varied from minimum 29.9 psu(st. 18) to maximum 35.8 psu(st.2). The maximum nutrient(phosphate, nitrate, silicate) concentrations were $0.12{\mu}M,\;0.11{\mu}M,\;7.53{\mu}M$ and minimum concentrations were $0.01{\mu}M,\;0.03{\mu}M,\;1.43{\mu}M$, respectively. On SCM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were almost similar. Chl-a concentrations ranged from 0.23 to $2.13{\mu}g\;chi-a\;l^{-1}$ at SCM. Nano- and pico phytoplankton were the important contributors for increase of the Chl-a. It was about seven times difference between highest concentration to lowest.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diatoms, dinoflagellates, cryptophyceae, silicoflagellate, and prymnesiophyceae showing 37 taxa at surface and 38 taxa at SCM. Picophytoplankton was the most dominant in all stations and all layers, but the second groups were 2 and/or 3 taxa. Phytoplankton abundance ranged from minimum $4.3{\times}10^5\;cells\;l^{-1}$ (st. 20) to maximum $2.4{\times}10^6\;cells\;l^{\-1}$. (st. 17) at surface water. As a result, phytoplankton might be controll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North Atlantic ocean currents and northern melt water among environmental factors in Barents Set h addition the dominant species were nano- and pico phytoplankton such as Phaeocystis, Cryptomonas and Dinobryon in the study area.

안동호의 수심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비교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by the Water Depth in Andong Reservoir)

  • 박정원;유삼환;김순영;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49-12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의 수질이 수심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에 대해 이해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안동호의 2개 지점(서부리, 댐축)에서 6회 시료 채취 및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동호의 수질의 경우 수온은 수심 1 m와 수심 4 m는 계절에 따라 다소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수심 7 m의 경우에는 계절의 변화와는 크게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DO는 수심 1 m와 수심 4 m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수심 7 m는 수온이 낮아지면서 DO는 증가하였다. pH와 탁도는 모든 수심(수심 1 m, 수심 4 m, 수심 7 m)에서 일정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SiO2-Si는 수심과는 커다란 연관성 없었으며, Chl-a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그 수치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수심이 깊어질수록 DO, pH, SiO2-Si, Chl-a의 수치가 수심 1 m에 비해 조금씩 낮아지고 있으며, 변화의 폭도 크게 나타났다. 안동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59종류였고, 녹조강이 25종류(43%), 남조강이 17종류(29%), 규조강이 10종류(17%), 은편모조강이 3종류(5%), 시누라조강과 와편모조강이 각각 2종류(3%)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녹조강의 Elakatothrix gelatinosa (8월 23일), Eutetramorus fottii (8월 23일 및 9월 28일) 남조강의 Aphanizomenon cf. flos-aquae (8월 16일), Microcystis aeruginosa (모든 조사기간), Aphanocapsa delicatissima (10월 27일), 규조강의 Cyclotella stelligera (10월 13일), Cyclotella sp. (10월 13일 및 10월 27일), Synedra acus (8월 16일)였다.

영산강 동계 조류 대발생 기간의 규조류 Stephanodiscus spp. 출현양상과 형태적 분류 (Temporal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Centric Diatom, Stephanodiscus spp. during Winter-spring Blooms in the Yeongsan River)

  • 정병관;김용재;정승원;이학영;신용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273-281
    • /
    • 2014
  • 영산강에서 동계 대증식을 유발하는 Stephanodiscus속의 출현기간과 종 분류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 년 4월까지 주 단위로 21회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동계 영산강에서는 규조류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군집을 보였으며, 규조강 중 원형규조 Aulacoseira, Cyclotella, Stephanodiscus속이 주요 출현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Stephanodiscus spp.는 극우점 규조류로서 12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월에 최대 개체수를 나타냈고, 3월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기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4월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녹조강, 남조강, 은편모조강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우점종은 거의 모든 조사시기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 (S. hantzschii)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동정되었으며, 3월 말과 4월 중에는 남조강인 Anabaena sp.와 은편모조강인 Cryptomonas sp.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출현함으로써 계절 변화에 따른 종 천이가 관찰되었다. 조사시기에 출현한 원형 중심목 규조류의 명확한 종 분류를 위해 전자현미경을 통해 동정한 결과, Stephanodiscus속 내의 S. hantzschii가 극우점한 가운데 부분적으로 S. minutulus와 S. parvus 동정되었으며, 그밖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에는 Cyclostephanos속의 C. invisitatus와 Cyclotella속의 C. meneghiniana, Discostella속의 D. pseudostelligera, D. woltereckii가 동정되었다.

식물플랑크톤 색소의 형광 특성과 lifetime 측정 (Steady state and Lifetime Measurements of Primary Fluorescence from Phytoplanktons)

  • 박미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97-404
    • /
    • 1991
  • 남조류와 crytomonads를 포함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적 형광특성을 in vivo 상태에서 조사하였다. 형광과 exciatation 스펙트럼을 측정한 견과, 약 580-640 nm 영역에 걸친 형광 스펙트럼이, 조사된 모든 식물플랑크톤으로부터 얻어졌다. 관찰된 형광 스펙트럼의 $\lambda_{max}$ 값은, Synechofoccus sp.(SYN)을 제외하고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pm3nm)$. 관찰된 형광 스펙트럼의 형광소(fluorophore)를 밝히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형광 스펙트럼의 세기와 모양, $\lambda_{max}$를 식물플랑크톤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의 표준용액의 것과 비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fluorescence $lifetime(\lambda)$과 fluorescence decay curve를 식물플랑크톤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의 표준용액의 $\lambda$값과 비교하였다. 580 nm의 형광 파장을 사용하여 얻은 식물플랑크톤의 fluorescence decay는 menoex-ponential과 biexponential decay를 보였으며, 식물플랑크톤의 $\lambda(1.39-1.95ns)$ b-phycoerythrin의 표준용액의 $\lambda(3.23ns)$값보다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이는 이미 알려진 광합성 능력을 가진 intact cell 내부에서 엽록소 a와 biliprotein간의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 체계에 의한 $\lambda$값의 단축으로 여겨지며, 580nm의 형광특성이 biliprotein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 PDF

탁수가 임하호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bid Water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Imha Reservoir)

  • 박정원;유삼환;김순영;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71-16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탁수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에 대해 이해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임하호의 네 지점(중평리, 댐축, 도수로, 지례리)에서 9회에 걸쳐 시료 채취 및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하호의 수질의 경우 탁도와 $SiO_2$-Si의 농도는 그 수치가 비례하여 탁도가 높으면 $SiO_2$-Si의 농도도 증가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탁도와 $SiO_2$-Si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hl-a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농도가 낮아지고 있어 수심에 따라 수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하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70종류였고, 녹조강이 32종류(46%) 남조강과 규조강이 12종류(17%), 유글레나강이 6종류(9%), 시누라조강이 4종류(6%), 은편모조강이 3종류(4%), 그리고 와편모조강이 1종류(1%)로 구성되었다. 탁수와 조류의 상관관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은 탁수와 함께 유입된 영양물질등이 식물플랑크톤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즉, 탁수와 TN 및 $SiO_2$-Si 등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TN과 $SiO_2$-Si가 탁수와 함께 임하댐 내로 유입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질소의 경우 토양 미립자에 단단하게 부착하지 않고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강우라도 쉽게 유출된다. 그리고 $SiO_2$-Si는 탁수의 성분으로 고려해 볼 때 TN과 $SiO_2$-Si는 탁수와 함께 임하댐내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탁수 유입 후 그리고 탁수 소멸 이후에는 오히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더욱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발생 경보 및 호수 수질관리를 위한 엽록소 자동측정기의 적용 및 타당성 연구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Algae Online Analyzer for Alarming Algal Bloom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Korean Reservoirs)

  • 황수옥;한명수;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57-264
    • /
    • 2006
  • 호수내 엽록소를 상시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동측정기(AOA)를 적용하고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 상수원수인 팔당호 현장수가 직접 유입되는 제2취수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분석은 조류 현존량 및 종 조성 분석, 흡광광도법과 자동측정기에 의한 엽록소측정 등을 동시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조사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조류분류군별 엽록소 기여도는 규조류가 83.6%로 가장 높았으며, 녹조류, 남조류, 크립토조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측정법과 흡광광도법에 의한 엽록소 농도는 전체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0.87, n=302, p<0.001), 시기 또는 공 조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자동측정기의 민감포는 크립토조 (r=0.83, p=0.00154)와 규조 (r=0.73,p=0.010)가 높았으며 현존량이 낮은 녹조(r=-0.13)와 남조(r=-0.16)에 대해서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엽록소 자동측정법은 고전적인 아세톤 추출 방법에 비해 신속성과 경제성은 매우 인정되지만 출현종의 밀도나 종 천이 등을 고려한 조류분석 및 엽록소 직접측정 등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해 연안 수괴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Based on Water Mass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 심정민;권기영;김상우;윤병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4-483
    • /
    • 2015
  • 동해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 특성과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연안 18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37종, 와편모조강 22종, 유글레나조강 1종, 규질편모조강 3종 및 은편모조강 1종으로 나뉘었다. 현존량은 $1.2{\times}10^3-246.6{\times}10^3cells/L$(평균 $24.8{\times}10^3cells/L$)의 분포 범위를 보였으며 5월에 가장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이 출현하였다.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pH, 용존산소, 클로로필-a 및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산규소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은 등밀도선 상의 수온(T)-염분(S)도로 구분한 수괴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 분포와 관계가 있었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다원척도 분석을 한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인 분포는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Upo Wetland.)

  • 이정준;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232-241
    • /
    • 2009
  • 2005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매월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8강 35과 86속 213종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14${\sim}$50의 범위였으며, 평균 출현종수는 34${\pm}$10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5년 8월에 161 cells $mL^{-1}$로 가장 낮았으며, 2006년 8월에 159.283 cells $mL^{-1}$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06년 하계에는 남조류에 의한 수화 발생으로 극단적으로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나타내였다. 총 34회에 걸친 조사에서 우점종은 총 13종으로 나타났으며, 녹조류와 남조류의 종들이 각각 4회씩 우점하였다. 우포늪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살펴보면, 동계에는 은편모조강과 와편모조강, 규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으며, 비동계 기간에는 녹조류와 규조강의 종들이 주요 출현종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6년 하계에는 남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는 0.50${\sim}$2.86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매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산만 해역 동-춘계 대증식기의 플랑크톤 변화 (Variation in Planktonic Assemblages in Asan Bay During the Winter-Spring Bloom)

  • 박철;이두별;이창래;양성렬;정병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4호
    • /
    • pp.308-319
    • /
    • 2008
  • 아산만 해역에서 2005년 2월부터 6월까지 환경 요인과 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수온은 전형적인 겨울철과 봄철의 수온양상을 보였고, 염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식물플랑크톤은 2월에 만의 안쪽에서 첫 번째 peak를 보인 후 5월에 만 전체적으로 두 번째 peak를 보였다. 수온의 증가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천이를 유발하여 2월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는 규조류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5월에는 규조류와 은편모조류가 혼재하며 발생하였고, 6월에는 와편모조류가 우점하였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은 봄철과 가을철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산만 해역에서는 이보다 약 한달 정도 빠르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시에 산염은 활발히 흡수되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되었고, 질산염은 제한 영양염으로 작용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한 $2{\sim}3$달 이후에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증가한 수온과 먹이로 인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이 성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Ecosysteme de I′Etang de Berre (Mediterranee nord-occidentale) : Caracteres Generales Physiques, Chimiques et Biologiques

  • Kim, Ki-Tai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247-258
    • /
    • 2004
  • Climatological, hydrological and planktonical research studies, measurements of primary production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from December 1976 to December 1978 have been carried out in two brackish lakes: Lake Etang de Berre and Lake Etang de Vaine located in the French Mediterranean coast, in the region of Carry-le-Rouet located on the north-west Mediterranean near Marseilles, and in fresh water inflows from 4 Rivers (Touloubre, Durance, Arc, Durancole) to Lake Etang de Berre.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for this study: water temperature, salinity, density, pH, alcalinity, dissolved oxygen (% saturation), phosphate, nitrate, nitrite, silicate etc. Diverse biological parameters were also studied: photosynthetic pigments, phaeopigments, specific composition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primary pelagic production etc. Climatical factors were studied: air-temperature, solar-radiation, evaporation, direction (including strength) of winds, precipitation and freshwater volume of the four rivers. The changes in Lake ‘Etang de Berre’ ecosystem depend on the quality of the water in the Durance River, and on the effects of seawater near the entrance of the Caronte Canal.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vari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s a result of atmospheric phenomena, maritime currents and tides.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s is generally heterogeneous. Southeasterly winds and the Northeasterly Mistral wind are important in the origins of circulated and mixed water masses. These winds are both frequent and strong. They have, as a result, a great effect on the water environment of Lake Etang de Berre. In theory, the annual precipitation in this region is well over eight times the water mass of the lake. The water of the Durance River flows into Lake Etang de Berre through the EDF Canal, amounting to 90% of the precipitation. However, reduction of rainfall in dry seasons has a serious effect o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ke. The temperature in the winter is partially caused by the low temperature of fresh water, particularly that of the Durance River. The hydrological season of fresh and brackish water is about one month ahead of the hydrological season of sea water in its vicinity. The salinity of Lake Etang de Berre runs approximately 3$\textperthousand$, except at lower levels and near the entrance to the Caronte Canal. However, when the volume of the Durance River water is reduced in the summer and fall, the salinity rises to 15$\textperthousand$. In the lake, the ratio of fresh water to sea water is six to one (6:1). The large quantities of seston conveyed by rivers, particularly the Durance diversion, strongly reduce the transparency in the brackish waters. Although the amount of sunshine is also notable, transparency is slight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seston, carried chiefly by Tripton in the fresh water of the Durance River. Therefore, photosynthesis generally occurs only in the surface layer. The transparency progressively increases from freshwater to open seawater, as mineral particles sink to the bottom (about 1.7kg $m^{-2}a^{-1}$ on the average in brackish lakes).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and the rate of oxygen saturation in seawater (Carry-le-Rouet) ranged from 5.0 to 6.0 $m\ell$ㆍ.$1^{-1}$, and from 95 to 105%, respectively.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Etang de Berre oscillated between 2.9 and 268.3%. The monographs of phosphate, nitrate, nitrite and silicate were published as a part of a study on the ecology of phytoplankton in these environments.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these nutriments were studied in detail. The recent diversion of the Durance River into Lake Etang de Berre has effected a fundamental change in this formerly marine environment, which has had a great impact in its plankton populations. A total of 182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111 Bacillariophyceae, 44 Chlorophyceae, and 15 Cyanophyceae. The most abundant species are small freshwater algae, mainly Chlorophyceae. The average density is about $10^{8}$ cells $1^{-1}$ in Lake Etang de Berre, and about double that amount in Lake Etang de Vaine. Differences in phytoplankton abundance and composition at the various stations or at various depths are slight. Cell biovolume V (equivalent to true biomass), plasma volume VP (‘useful’ biomass) and, simultaneously. the cell surface area S and S/V ratio through the measurement of cell dimensions were computed as the parameters of phytoplankton productivity and metabolism. Pigment concentrations are generally very high on account of phytoplankton blooms by Cyanophyceae, Chlorophyceae and Cryptophyceae. On the other hand, in freshwaters and marine waters, pigment concentrations are comparatively low and stable, showing slight annual variation. The variations of ATP concentr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chlorophyll a and phytoplankton blooms only in marine waters. The carbon uptake rates ranged between 38 and 1091 mg$Cm^{-2}d^{-1}$, with an average surface value of 256 mg; water-column carbon-uptake rates ranged between 240 and 2310 mg$Cm^{-2}d^{-1}$, with an average of 810, representing 290 mg$Cm^{-2}$, per year 45 000 tons per year of photosynthetized carbon for the whole lake. Gross photosynthetic production measured by the method of Ryther was studied over a 2-year period. The values obtained from marine water(Carry-le-Rouet) ranged from 23 to 2 337 mg$Cm^{-2}d^{-1}$, with a weighted average of 319, representing about 110 gCm$^{-2}$ per year. The values in brakish water (Etang de Berre) ranged from 14 to 1778 mg$Cm^{-2}d^{-1}$, with a weighted average of 682, representing 250 mg$Cm^{-2}$ per year and 38 400 tons per year of photosynthesized carbon for the whole l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