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ptochlorogenic aci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마가목 열매에서 추출한 Cryptochlorogenic Acid 처리에 의한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능 (Effect of Cryptochlorogenic Acid Extracted from Fruits of Sorbus commixta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 김경민;김태훈;장원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4-3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마가목 열매에서 추출한 chlorogenic acid의 유사체인 cryptochlorogenic acid(CCA)가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고 독성이 없다고 확인된 $5{\mu}M$의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조골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 세포인 C3H10T1/2와 조골세포인 MC3T3-E1에 CCA를 처리하여 표지 유전자인 Id1, Dlx5, Runx2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확인한 결과 표지유전자들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교해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그중 조골세포의 핵심 전사조절인자인 Runx2의 전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romoter assay를 수행하여 Runx2의 전사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CCA는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골 질환 관련 제제로 CCA가 이용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울릉 마가목의 클로로겐산 이성체의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저해 및 라디칼 소거 활성 (Chlorogenic Acid Isomers from Sorbus commixta of Ulleung Island Origin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 Forma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김태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208-1213
    • /
    • 2016
  • 천연물로부터 당뇨합병증에 효과적인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울릉도산 마가목 열매의 80% methyl alcoh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가용부로부터 최종 당화산물 생성 억제능($IC_{50}$; $181.2{\pm}2.8{\mu}g/mL$)을 확인하였다. 효능성분의 동정을 위하여 $C_{18}$ 겔 등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3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neochlorogenic acid(1), cryptochlorogenic acid(2) 및 chlorogenic acid (3)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해 최종당화산물 생성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neochlorogenic acid(1)가 가장 강한 $167.5{\pm}3.5{\mu}M$$IC_{50}$ 값을 나타내었고, cryptochlorogenic acid(2)는 $185.9{\pm}3.7{\mu}M$$IC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물질에 대해 $ONOO^-$ 소거 활성을 평가한 결과 cryptochlorogenic acid(2)가 가장 강한 라디칼 소거 활성인 $4.0{\pm}0.2{\mu}M$$IC_{50}$ 값을 나타내었고, 구조이성질체인 neochlorogenic acid(1)가 $4.5{\pm}0.3{\mu}M$$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활성은 caffeic acid가 결합 양상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들 활성 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더욱 우수한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물질의 상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가지(Solanum melongena L.) 잎으로부터 페놀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 백동렬;이민지;백남인;서경화;이윤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03-106
    • /
    • 2016
  • 가지 잎으로부터 3종의 phenylpropanoid, 1종의 flavonoid glycoside, 그리고 1종의 norsesquiterpenoid glycoside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가지 잎을 80 % MeOH로 추출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물 층으로 계통분획을 실시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에 대하여 $SiO_2$,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spectroscopy 및 mass spectrometry의 spectroscopic data를 해석하여 이 화합물들을 caffeic acid (1), chlorogenic acid (2), cryptochlorogenic acid (3), panasenoside (4), 및 (6R,7E,9R)-4,7-megastigmadien-3-one-9-${\beta}$-${\small{D}}$-glucopyranoside (5) 로 각각 동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합물 3과 4는 가지 잎에서 처음으로 분리, 동정하였다.

비파엽 열수 추출물에서 분리한 Caffeoylquinic Acid 3 종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Effects of Three Caffeoylquinic Acids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L. Leaves)

  • 김선민;김아영;이경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5-253
    • /
    • 2020
  • Background: Research on hot water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that are easily applicable in the clinical setting is essential.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related active compounds present in the hot water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leaves, ability to inhibit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measured and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xtract were analyzed. Methods and Results: Sovent fractionation by solven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ctive compounds present in the hot water extract, and the ability of the extract and the fractions obtained to inhibit NO production was measured. Subsequ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liquid chromatography (LC) profile analysis of the n-butanol fraction that had a relatively high inhibitory ability of NO production, six subfractions were separated around the main peak. Among the separated subfractions spectra from mass spectroscopy (MS) were analyzed and standard comparisons were performed on the compounds of the three main peaks on the chromatogram.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subfraction 2 identified as neochlorogenic acid was the highest with an IC50 of 18.49 ㎍/㎖ followed by that of subfraction 5 identified as cryptochlorogenic acid with IC50 of 25.82 ㎍/㎖. Conclusions: Our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everal caffeoylquinic acids, including neochlorogenic acid and cryptochlorogenic acid present in the hot water extract of E. japonica leaves have an important role as compounds exhibit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Isolation of Phenolics, Nucleosides, Saccharides and an Alkaloid from the root of Aralia cordata

  • Hyun, Sook-Kyung;Jung, Hyun-Ah;Min, Byung-Sun;Jung, Jee-H.;Choi, Jae-Su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20-25
    • /
    • 2010
  • Fourtee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n-BuOH fraction of the roots of Aralia cordata (syn. = A. continentalis). Through spectroscopic method,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caffeic acid (1), protocatechuic acid (2), thymidine (3), uridine (4), methyl-$\alpha$-D-fructofuranoside (5), a mixture (3 : 1) of $\beta$-D-fructopyranoside and $\beta$-D-fructofuranoside (6), 1-methyl 1,2,3,4-tetrahydro-$\beta$-carboline-3-carboxylic acid (7), methyl-$\beta$-D-fructofuranoside (8), sucrose (9), 5-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 (10), 3-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11), 4-caffeoylqui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12), 3,5-di-O-caffeoylquinic acid (13), and 1-kestose [$\beta$-D-fructofuranosyl-($2{\rightarrow}1$)-$\beta$-D-fructofuranosyl-($2{\rightarrow}1$)-$\alpha$-D-glucopyranoside] (14). Among them, compounds 5, 7, 8, and 10 - 14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Phenolic Profiles of Hardy Kiwifruits and Their Neuroprotective Effects on PC-12 and SH-SY5Y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 Jeong, Ha-Ram;Kim, Kwan Joong;Lee, Sang Gil;Cho, Hye Sung;Cho, Youn-Sup;Kim, Da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912-919
    • /
    • 2020
  • Hardy kiwifruits (Actinidia arguta Planch.) have high amounts of antioxidants, including ascorbic acid (vitamin C) and phenolics. The anti-cholinesterase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cv. Mansu (A. arguta × A. deliciosa), cv. Haeyeon (A. arguta), and cv. Chiak (A. arguta), on PC-12 and SH-SY5Y cells were evaluated. Extraction of phenolics and vitamin C was carried out using 80% (v/v) aqueous ethanol and metaphosphoric acid assisted with homogenization, respectively. Hardy kiwifruit of cv. Mansu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d vitamin 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to the other two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cv. Haeyeon and cv. Chiak. Analysi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procyanidin B2, (-)-epicatechin, neochloroge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rutin, hyperoside, isoquercitrin, and astragalin in hardy kiwifruits. The three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had a wide range of vitamin C content of 55.2-130.0 mg/100 g fresh weight. All three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ha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exposed to hydrogen peroxide by increasing cell viability and reducing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Furthermore, the hardy kiwifruits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rdy kiwifruits rich in antioxidants like phenolics and vitamin C have good potential as functional materials in neuroprotective applications.

어성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 항산화 및 세포보호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and Fraction)

  • 윤믿음;이예슬;이윤주;박영민;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52-46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에 대한 생리활성과 성분분석을 하였다. 어성초는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B. subtilis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MIC 값은 각각 78, $312{\mu}g/mL$으로 나타나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에 대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27.15{\mu}g/mL$)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2.00{\mu}g/mL$)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O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2.91{\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983{\mu}g/mL$) 측정 결과 DPPH에 대한 소거활성과 같은 경향성을 보였다. 어성초 추출물의 HaCaT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UVB 조사 후 세포 내 ROS 소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어성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6{\mu}g/mL$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ROS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고 농도인 $12.5{\mu}g/mL$에서 54.3%의 감소율을 보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보호효과 또한, 어성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0.8{\mu}g/mL$부터 세포생존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최대 86.9%까지 증가시켰다. 실험에 사용된 어성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지고 TLC와 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oside, chlorogenic acid, neochloroge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rutin 및 afzelin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어성초 추출물 및 분획물은 ROS를 소거하고 항균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