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walk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18초

신호현시 순서와 통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지체도 분석 (Analysis of Traffic Delays at Scramble Crosswalks Considering Signal Phase Sequence and Traffic Volume)

  • 김수지;이주영;권영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6-128
    • /
    • 2020
  • 본 연구는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 구축을 목표로 교차로의 보행량 및 차량 교통량을 고려하여 대각선 횡단보도와 일반 횡단보도의 지체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도로구조와 신호현시를 가정하고 신호이론에 근거하여 지체도를 시간단위로 계산하였으며, 이때 차량 통행의 지체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지체시간을 고려하였다. 산출한 지체도를 이용하여 일반 횡단보도 교차로와 대각선 횡단보도 교차로를 비교하고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적정구간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교차로의 신호현시를 순환식과 비순환식으로 나누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도로의 차량 통행비율이 높은 경우에 대각선 횡단보도의 도입이 일반 횡단보도의 운영보다 적절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대각선 횡단보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순환식 신호현시보다 비순환식 신호현시의 적용이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순환식 신호현시의 적용에서도 대각 횡단의 수요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대각선 횡단보도 적용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가능성 판단을 위해 신호현시순서와 교통량에 따른 지체도 비교분석연구로써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기준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통량과 보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기준 정립 방안 연구 (Analysis on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Considering Vehicl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 남찬우;고승영;조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0-75
    • /
    • 2019
  • 최근에 교통사고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상대적으로 심각도가 높은 보행자 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횡단보도 상의 보행자 사고에 대한 개선을 위해 차량과 보행자의 상충을 줄여 안전한 보행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대각선 횡단보도가 설치되고 있다.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앞서 효율성 측면에서의 평가와 설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통량과 보행량 조사만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교통량과 보행량을 모두 고려한 신호 최적화 모형을 통하여 최적 주기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 총 지체시간을 비교한다. 최적주기를 산출한 결과, 크게 두 가지 연구의 함의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있어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는 차량 교통량 기준점이 존재한다. 또한, 신호 시스템별, 교차로 유형별 적정 설치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설치를 고려하는 횡단보도의 교통량 수준에 따른 적절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한 후 보행자의 지연시간이 증대될 수 있으나,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적정 교통량 수준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부가로 이단 횡단보도 교통섬 설치 준거에 관한 연구 - 보행자 안전과 서비스수준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nstallation warrants of staggered crosswalk traffic island on Urban Streets - Focusing on pedestrian safety and service level -)

  • 심관보;김중효;박경우;하동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7-107
    • /
    • 2013
  • 단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두 번에 나누어 횡단하게 하는 횡단보도로 이는 보행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방향 녹색시간 비율을 증가시켜 신호주기감소 및 차량지체 감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보행자의 횡단거리 감소와 교통섬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행자의 안전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하구조와 보행자의 행동패턴들을 고려한 보행섬의 폭과 길이 등 단일로 상의 이단횡단보도의 설치 준거를 마련하고, 이단횡단보도와 기본형 횡단보도의 사고율을 비교 분석하여 보행자 교통안전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단횡단보도의 1억대 km당 사고율은 18.3으로 기본횡단보도 사고율 28.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고발생위치 및 유형분석을 통해 이단횡단보도의 위험지역이 횡단 시작 지점임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행자 안전지대(여유공간)설치 준거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단횡단보도의 설치준거는 4차로이상 도로에 설치하며 설치시 보행섬의 폭은 유효 보도폭 2.0m 이상이 되도록 차로폭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행섬의 최소길이는 횡단 보도폭의 2배 길이, 최대길이는 보행자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행자 안전과 이용측면에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를 고려한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 연구 (A Guideline for the Location of Bus Stop Type considering the Interval Distance of Bus Stops and Crosswalks at Mid-Block)

  • 이수범;강태욱;강동수;김장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3
    • /
    • 2010
  • 현재 국내의 횡단보도 설치 관련 기준은 육교 지하차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200m 이내는 중복설치를 금하고 있다. 만약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지방경찰청장이 타당성을 검토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횡단보도의 설치형태와 세부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 배치형태(접근부, 유출부)에 따른 각각의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건수와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을 독립변수로 하는 포아송 회귀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유출부모형의 경우 연간 교통사고 심각도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고, 접근부 모형의 경우는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지만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는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는 횡단보도 접근형과 유출형의 혼합형인 횡단보도의 경우는 이격거리 65m일 때 최적의 배치형태로 분석되었으며, 유출부와 접근부 사고 모형식을 통해서 얻은 최적 이격거리가 60m~70m로 나타났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어린이 스마트 횡단보도 최적입지 선정 -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 (Machine Learning based Optimal Location Modeling for Children's Smart Pedestrian Crosswalk: A Case Study of Changwon-si)

  • 이수현;서용원;김세인;이재경;윤원주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11
    • /
    • 2022
  • Road traffic accidents (RTAs) are the leading cause of accidental death among children. RTA reduction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social issue among children. Municipalities aim to resolve this issue by introducing "Smart Pedestrian Crosswalks" that help prevent traffic accidents near children's facilities. Nonetheless such facilities tend to be installed in relatively limited number of areas, such as the school zone. In order for budget allocation to be efficient and policy effects maximized, optimal location selec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is needed. In this paper, we employ machine learning models to select the optimal locations for smart pedestrian crosswalks to reduce the RTAs of children.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location index using variable importance measures. By using k-means clustering method, the authors classified the crosswalks into three types after the optimal location selection. This study has broadened the scope of research in relation to smart crosswalks and traffic safety. Also, the study serves as a unique contribution by integrating policy design decisions based on public and open data.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의 임계간격추정 모형 구축 (Building a Model to Estimate Pedestrians' Critical Lags on Crosswalks)

  • 김경환;김대현;이익수;이덕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33-40
    • /
    • 2009
  • 횡단보행자의 임계간격은 비신호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운영분석에 중요한 파라메타이나 국내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가 빈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의 목적은 횡단보행자의 임계간격 추정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임계간격 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퍼지적 성격을 가진 보행자 연령과 횡단보도의 연장, 거절되거나 수락되는 간격이 연장 3.5m에서 10.5m 범위의 행단보도에서 수집되었다. 이들 횡단보도에서의 임계간격은 2.56초에서 5.56초 범위의 값을 보였다. 연령과 횡단보도 연장이 각각 3개의 퍼지변수로 구분되고 각 경우에 대하여 Raff의 기법에 의한 임계간격이 추정되어 총 9개의 퍼지규칙이 설정되었다, 이들 규칙에 기초하여 횡단보행자 임계간격을 추정할 수 있는 ANFIS모형이 구축되었다. 모형의 예측력은 실측치와 추론치를 비교함으로써 평가되었다. 결정계수 $R^2$와 오차 및 분산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평균절대 오차(MAE) 및 평균제곱근 오차(MSE)가 각각 0.96, 0.097, 0.015로 나타나 본 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보행자의 연령 40세 이후 임계간격의 증가율이 높음을 볼 수 있었다.

특징 벡터를 이용한 도로영상의 횡단보도 검출 (Crosswalk Detection using Feature Vectors in Road Images)

  • 이근모;박순용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17-227
    • /
    • 2017
  • Crosswalk detect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in autonomous vehicles. Different methods of crosswalk detection have been introduced so far using crosswalk edge features, the distance between crosswalk blocks, laser scanning, Hough Transformation, and Fourier Transformation. However, most of these methods failed to detect crosswalks accurately, when they are damaged, faded away or partly occluded. Furthermore, these methods face difficulties when applying on real road environment where there are lot of vehicles. In this paper, we solve this problem by first using a region based binarization technique and x-axis histogram to detect the candidate crosswalk areas. Then, we apply Support Vector Machine (SVM) based classification method to decide whether the candidate areas contain a crosswalk or not. Experiment results prove that our method can detect crosswalks in different environment conditions with higher recognition rate even they are faded away or partly occluded.

블럽칼라링 기반의 횡단보도와 정지선 검출 (Stop-Line and Crosswalk Detection Based on Blob-Coloring)

  • 이준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799-806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o detect the stop line and crosswalk on the road surface using edge information and blob coloring. The detecti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area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ies.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osed of three phases: 1) hypothesis generation of stop lines, 2) hypothesis generation of crosswalks, and 3) hypothesis verification of stop lines. The last two phases are not performed if the first phase does not provide a hypothesis of a stop line. The last one is carried out by the combination of both hypotheses of stop lines and crosswalks, and determines the stop lines among stop line hypotheses. The proposed algorithm is proven to be effective through experiments with various images captured on the roads.

교차로 유형별 대각선횡단보도 설치효과 분석 (차량소통측면) (Analysis of the Effects of Scrambled Crosswalk Install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Intersections Using VISSIM)

  • 정도영;이동민;전진우;한대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71-81
    • /
    • 2017
  • PURPOSES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stallation of diagonal crosswalks on traffic flow depending on the types of intersections are analyzed. METHODS : Scrambled crosswalks have advantages in the traffic safety.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verall average delay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scrambled crosswalk was conducted using VISSIM. RESULTS : The overall average delay for the scrambled crosswalk decreased when the traffic volume ratio of the major to the minor street is 1: 6 in 2-by-1 and 3-by-1 types of intersections. The scrambled crosswalk improved efficiency of traffic operation in intersections: higher traffic volume for a major street, lower traffic volume for a minor street, and longer cross-distance for a major street. CONCLUSIONS: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when a scrambled crosswalk should be installed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HigherHRNet 기반의 발추정 기법을 통한 횡단보도 보행자 인식 (Pedestrian Recognition of Crosswalks Using Foot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HigherHRNet)

  • 정경민;한주훈;이현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1-177
    • /
    • 2021
  •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xtract features of pedestrian because the pedestrian is photographed at a crosswalk using a camera positioned higher than the pedestrian. In addition, it is more difficult to extract features when a part of the pedestrian's body is covered by an umbrella or parasol or when the pedestrian is holding an object. Representative methods to solve this problem include Object Detection, Instance Segmentation, and Pose Estimation. Among them, this study intends to use the Pose Estimation method. In particular, we inten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pedestrians in crosswalks by maintaining the image resolution through HigherHRNet and applying the foot estimation technique. Finally, we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by applying and analyzing several data sets covered by body parts to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