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ing Bicycl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교차로 자전거 횡단도의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of Bicycle Crossing considering Safety of Bicycle Users at Intersection)

  • 황정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1-98
    • /
    • 2014
  • PURPOSES :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bicycle accidents along with increasing bicycles users. Bicycle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by perpendicular collision form at intersection inner. In order to improve safety of bicycle, drivers need to be aware of bicycles on the road and intersection geometric designs need to be designed to reduce risk associated with collisions between bicycles and ca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location of bicycle crossing in the viewpoint of bicycle safety. METHODS : Four types of bicycle crossing by curve radius and driver's check around the behavior are set to simulate the risk of collisions between bicycles and car turning right. Simulation using fortran programming are conducted on total 60 cases. RESULTS : Bicycle crossing located behind of crosswalk is lower the risk of collisions with car in all cases. In addition to the larger curve radius of pavement edge at intersection and the more pay attention to the rear by the turn head to the right is too low the risk of collisions with car. CONCLUSIONS : It is show that the location of bicycle crossing is safer behind than in front of crosswalk in the viewpoint of bicycle safety.

자전거 이용자 행태 반영을 위한 신호교차로에서의 자전거 횡단시간 연구 (Analysis of Bicycle Crossing Tim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for Providing Safer Right of Bicycle Users)

  • 손영태;이진각;이상화;김홍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83-89
    • /
    • 2007
  •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차로 신호운영을 위해서는 보행자의 횡단시간뿐만 아니라 자전거 이용자 특성에 따른 횡단시간을 고려한 신호운영이 필요하며. 특히 보행자와 물리적으로 분리 운영되는 교차로의 경우에는 자전거 횡단시간을 고려한 최소녹색시간 및 소거손실시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와 마찬가지로 자전거 이용자가 교차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는 시간(최소녹색시간. 소거손실시간 등)을 자전거 이용수요가 많은 현장에서 자전거 이용자의 횡단특성에 따라 조사 분석하였으며, 횡단유형은 크게 3가지로 정지한 상태에서 출발하는 형태(Stopping), 주행중인 속도로 횡단하는 형태(Riding), 자전거를 끌고 가는 형태(Pulling) 등으로 구분하였다. 조사 분석결과, 최소 녹색시간 산정시 고려 될 수 있는 횡단유형별 속도는 Stopping의 경우 1.36($15^{th}$ percentile), 1.60m/sec($25^{th}$ percentile), Pulling의 경우에는 0.75($15^{th}$ percentile), 0.87m/sec($25^{th}$ percentile) 라 할 수 있겠으며, 소거손실시간의 경우에는 자전거 이용자 형태 중 Riding의 경우로 2.51($15^{th}$ percentile), 2.79m/sec($25^{th}$ percentile)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교차로에서 우회전차량과 횡단자전거와의 상충위험성에 관한 연구 (Potential Risk of Collisions at Intersections Between Crossing Bicycles and Right-turning Cars)

  • 이진욱;김갑수;황정훈;김근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7-64
    • /
    • 2013
  • 자전거 교통사고는 이용수요의 증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기존 교통사고 자료를 통해 자전거 교통사고의 특성을 살펴보면 사고발생 지점은 주로 교차로 내부이며, 사고형태는 측면직각충돌사고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내에서 발생되는 우회전차량과 횡단자전거 간의 상충위험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우회전차량 운전자의 주위확인행태와 차량속도로 가정하고 시뮬레이션 분석을 이용하여 그 위험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우회전차량의 주행속도가 낮을수록, 또한 운전자가 고개를 돌려 적극적으로 우측 후방을 확인할수록 상충위험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on Maximal Oxygen Uptake,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Running Performance in Healthy Young Adults

  • Kim, Hyeonguk;Lee, Seungwon;Choi, Wonja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58-65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on running performance, maximal oxygen uptake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Fifteen healthy adult men with no musculoskeletal or nervous system disease and capable of bicycle training were included. After the pretest,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group and general fixed bicycle training group. Both groups were trained two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each week for a fixed time and number of repetitions, followed by a six week washout period and then crossing the training method.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provides visual feedback of heart rate in real time using a monitor and a heart rate meter during bicycle training, and general fixed bicycle training performed general bicycle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After training, each item was measured using a wearable technology, gas analyzer, isokinetic equip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running performance, maximal oxygen uptake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in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group (p<0.05). The differential effect was found between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group and general fixed bicycle training group in running performance, maximal oxygen uptake,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p<0.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at visual feedback bicycle training can be applied as a useful training method to improve running performance, maximal oxygen uptake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4지 신호교차로에서 효율적 자전거 교통류 처리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Bicycle Traffic Flow at Four-Legged Intersections)

  • 목승준;김응철;허희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77-189
    • /
    • 2013
  • PURPOS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roper left-turn treatment method for the bicycle traffic flow at four-legged intersections. METHODS: Four types of crossing methods are proposed and analyzed : (1) indirect left turn, (2) direct left turn, (3) direct left turn on a Bike Box, and (4) direct left turn on bike left turn lane. The VISSIM simulation 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forty-eight operation scenarios prepared by varying vehicle and bicycle traffic volumes. RESULTS : The results from the four-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suggest that (1) the indirect left turn is appropriate when vehicle demand is high, (2) the direct left turn is efficient on most traffic situation but the safety is a concern, (3) the direct left turn on a Bike Box is appropriate when bicycle demand is high while vehicle demand is not, and (4) the direct left turn on a bike left turn lane is appropriate when both vehicle and bicycle demand are low. CONCLUSIONS : The direct left turn of bicycle provides more efficiency than the indirect left turn at the four-legged intersections but to apply the methods and to study more, advanced evaluation methods, related law, and insurance programs are needed.

3지 교차로에서 자전거 신호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ke Signal Operation Methods at Three-Legged Intersections)

  • 허희범;김응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57-167
    • /
    • 2011
  •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전거가 교차로를 횡단할 때 차량, 보행자와의 상충위험 그리고 긴 대기시간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녹색교통정책에서 관심 받고 있는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자전거교통류가 연속성,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는 적절한 신호운영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자전거의 좌회전 통행방법에 따라 간접좌회전 방법(통행방법1), 전용차로에 서 직접좌회전 하는 방법(통행방법2), Bike Box에서 직접좌회전 하는 방법(통행방법3)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고 여기에 차량교통량, 자전거교통량에 변화를 주어 54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정된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VISSI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효과척도는 신호교차로 접근로에서의 차량과 자전거의 지체시간과 정지횟수를 적용하였다. 3지 신호교차로의 지체시간 및 정지횟수를 분석한 결과 차량교통량이 많고 자전거통행량이 적은 곳에서는 간접좌회전 방법(통행방법1), 차량교통량과 자전거통행량이 많은 곳에서는 전용차로에서 직접좌회전 방법(통행방법2), 차량교통량과 자전거통행량이 적은 곳에서는 Bike Box 방법(통행방법3)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횡단자전거의 안전성을 고려한 교차로 기하구조에 관한 기초연구 - 교차로 가각부 곡선반경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Intersection Geometric Designs Considering Safety of Crossing Bicycle - Focusing on Curve Radius of Pavement Edge at Intersection)

  • 황정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637-643
    • /
    • 2014
  • 자전거 교통사고는 이용수요의 증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기존 교통사고 자료를 통해 자전거 교통사고의 특성을 살펴보면 사고발생 지점은 주로 교차로 내부이며, 사고형태는 측면직각충돌사고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전거 교통이 상대적으로 집중되는 주택가 또는 학교주변의 이면도로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안전이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자전거사고의 위험요인 중 교차로 가각부 곡선반경이 운전자의 시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횡단자전거와의 상충위험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주위확인행태가 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여 자전거의 안전성을 고려한 교차로 기하구조 및 운전자의 주위확인행태가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차로 가각부 곡선반경이 클수록 횡단자전거와의 상충위험성 감소하며, 또한 운전자가 우측으로 고개를 적극적으로 돌려 주위를 확인할수록 상충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 건널목 안전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Standards of a Railway Crossing)

  • 정연정;이성모;박창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3-95
    • /
    • 2009
  • 철도 건널목은 구조상 궤도와 도로가 물리적으로 만나는 공간으로 사고위험도가 매우 높다. 궤도와 도로가 물리적으로 만나는 공간이므로 철도 건널목의 안전 기준은 철도관련 법령과 도로관련 법령에 각각 제시되고 있다. 철도 관련 법령으로는 '건널목 개량촉진법', '건널목 개량촉진법시행령', '철도건설규칙', '철도시설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삭도 궤도법시행규칙'이 있고 도로 관련 법령으로 '도로교통법',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농어촌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자전거 이용 시설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령들은 서로 상충되는 내용이 있었으며, 현재 추가 설치 운영되고 있는 안전설비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고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기존의 안전기준을 보완한 새로운 안전기준을 제안한다.

자전거 사고예측모형 개발 및 개선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icycle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Suggestion of Countermeasures on Bicycle Accidents)

  • 권성대;김윤미;김재곤;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35-1146
    • /
    • 2015
  • 본 논문은 무동력 비탄소 교통수단 중 하나인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교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현재 설치 운영되고 있는 자전거도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자전거 교통사고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그에 대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자전거도로의 현황 및 사고 자료를 제시하고 최근 3년(2009년~2011년)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자전거교통사고를 수집하여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전라남도 자전거 사고 자료를 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자전거 사고건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정하고, 'SPSS Statistics 21'의 중회귀분석을 이용해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때 자전거사고건수는 도로형태(교차로, 횡단보도, 기타단일로)별 연장에 따른 사고건수를 사용하였다. 도출된 사고예측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도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자전거 사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예측값과 실제 사고건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 자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제사고건수와 일치하는 것을 통해 사고예측모형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전거도로 문제점 분석을 위해 자전거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자전거도로 계획 및 재정비 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되며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웹기반 교육이 중학생의 교통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The Effectiveness of WBI(Web-Based Instruction)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raffic Safe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장시원;이명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1-116
    • /
    • 2004
  • Korea has the highest traffic accident occurrence rate in the world. It means that we are forced to face a tremendous amount of economic loses and great cost of life. Even though this phenomenon consistently has arose as a public issue every year and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as the fundamental solution, we are still trying to make a long-lasting and effective traffic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for traffic safety in Korea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instructive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ASSURE model and a special web-site of education was developed on behalf of practical use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the traffic safety. The research subject was represented by 259 students from second grade in 2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program using web-site was preceded to the 136 students as a case group for 45 minutes total 3 times. Other 126 students are control group those who did not get with this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knowledge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of the lesson showed case group and control group scored average at 11.25 points and 10.97 points. However, after they attended programs, case group scored 13.57 points and control group scored 10.85 points. The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the cas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2. The attitude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of the lesson showed case group and control group scored averages at 29.59 points and 28.21 points. However, after they attended program, case group scored 37.23 points and control group scored 32.71 points. The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the cas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3. Regarding the domain analysis by means of web-based traffic safety education, only the case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in the case of knowledge 'safe utilization of bicycle' and 'The Characteristic of Automobile and Safer Mode of Walking for Pedestrian'(p<0.01, p< 0.001), and in the case of attitude 'safe walking and crossing' 'The Characteristic of Automobile and Safer Mode of Walking for Pedestrian'(p<0.01, p<0.001). 4. Web based instruction for traffic safety was effectiv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for traffic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