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art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33초

'피네간의 경야(經夜)'를 통해 본 존 케이지 음악과 베르나르 츄미 건축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불확정성 개념의 표현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textuality of John Cage's Music and Bernard Tschumi's Architecture in the viewpoint of Finnegan's Wake - Focusing on the Presentation Aspects of Indeterminacy -)

  • 김홍기;김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59-70
    • /
    • 2009
  • Since the emergence of a philosophical theory called deconstructivism, intertextuality has been promote the hybrid phenomenon amongst other jenres in arts. Various research efforts in intertextuality, however, have been more focused o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rather than of architectu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ntertextuality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music and literature as the following analysis of James Joyce's Finnegan's Wake, John Cage's music and Bernard Tschumi's early works. Joyce's Garden of Bernard Tschumi's project and some of John Cage's music works had borrowed from Finnegan's Wake, a novel James Joyce. Hence, the commonality between Bernard Tschumi and John Cage can naturally be related through Finnegan's Wake. Also, Finnegan's Wake had been contextualized by Jacques Derrida before it was used as a mediation by Bernard Tschumi. In this viewpoint, the paper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intertextuality between musical text and architectural one with a medium of literatur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negan's Wake played a guiding role to deconstruct the existing formalism and to construct a new concept in John Cage's music and Bernard Tschumi's architecture. Second, John Cage's music and Bernard Tschumi's works are included commonness with indeterminacy concepts. Third, the both artists share a drawing concept as found in John Cage's graphic notation of the 1950s and Bernard Tschumi's early architecture where grids, dots, and curves are used in common. As s result, intertextuality could be possible to make sure between others. Like th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fields will be of great help in constructing creative design methods in architecture. With continuous research attempts, it is hopeful to intertextualize architectural texts with related art fields.

예술인들을 위한 공모전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etition Application for Artists)

  • 김효수;최유순;정석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3
    • /
    • 2018
  • 본 논문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예술인들에게 공모전 활동과 인력,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며, 그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모전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예술인들은 공모전 활동이 매우 중요한 반면, 작업에 몰두하여 시간의 부족으로 공모전 정보를 일일이 탐색하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관심분야에 적합한 공모전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함으로써 창작활동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핵심기능은 공모전 게시판을 통하여 예술인들이 실시간으로 공모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부수적으로 예술인들의 작품 매매와 재료, 미술공구 구매를 위한 스푼마켓 등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복식에 나타난 Asian Ethnic Fashion에 대한 연구-동남아시아 지역 중심으로- (The Study of Asian Ethnic Fashion in Modern Fashion-Focusing on Southeast Asia-)

  • 권기영;유영선
    • 복식
    • /
    • 제26권
    • /
    • pp.69-85
    • /
    • 1995
  • Recently Southeast Asia has developed, so the world concerns about these regions. Ethnic fashion in 90's is mostly the influence of these regions' folk cost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es-thetic aspects of folk costume in Southeast Asia,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odern fashion an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Asia fashion's adaption to modern fashion and to help the cre-ation of fashion design. First of all, the folk costume in Southeast Asia is classified drapery style and sarong style. These non-west clothing appeal to modern fashion as the oriental tranditional beauty. Ethnic fashion appeared in 1990's is attempted to be more complex and variable than the pre-vious ethnic fashion. Asian ethnic fashion influenced from folk costume of Southeast Asia is-wholly or party-the style, color, motif from each country's folk costume. And each country's unique art became the motive of the creative design. Specially, Aosai and Quan in Vietnam and sar-ong style in most Southeast Asia are important motives expressing minority's nostalgia. These are expressed in variable ways. Which are harmonized with latest other fashion trend : retro style and naturalism, Layered look, hippie look, unfinished sewing technic and manual technic are used one image matched the folk costume of Southeast Asia which is natural. Another characterstic in Asian ethnic fashion is a multi-ethnic. This harmonizes the different culture between the Orient and the West beyond the age and culture, and combines each folk costume. It is involved that the fashion can develop indivisual country's costumes mixed with he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 fashion break the traditional concept and disagree with a certain coordinate rule and it indicates that the fashion shows various style, mood, volume and room as well as space. Like this recent Asian ethnic fashion comes to us in a strange favor. The people who are tired of traditional western civilization's outcome will receive a great tastes from the Asian ethnic fashion.

  • PDF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Lady′s Down Wear

  • Lee, Soon-Ja;Choy, Hyon-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4권
    • /
    • pp.21-45
    • /
    • 2004
  •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during the 20th century has greatly lowered the hours for labour, thus giving members of society extra time for leisure. With the increasement of leisure activities, sports casual wear has become one of the foremost leading item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among such sports casual, down wear has become the F/W season's most popular item. Because it generates high profits, many recognize it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lady's wear. Since the 1990's, down wear was widely applied to various sections of lady's, men's, and children's wear, and it has ceased to be limited to sports casual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own, and to develop crossover garments design desired not only in the F/W season but also the S/S season. It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many restrictions in sewing technique and material selection in manufacturing down as a fashion product exist when choosing a means of manufacture. That was why this study focused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down while analysing the works of domestic and foreign designers to concretely applicate them in fashion products. This study has divided the resulting down wear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 vest, jacket, coat, one-piece, and skirt to applicate design manufacture of lady's wear in general, while designing and making artistically expressed down wear. There were 48 work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of which 41 were ready-to-wear, and the remaining 7 works were creative art wear.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퍼놀로지 패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내적 의미와 외적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nology of Fashion Design in the Post-digital Age - With a Focus on Internal Meanings and External Expressions -)

  • 나현신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47-57
    • /
    • 2008
  • Funology is a compound word with fun and technology which means the products or activity carrying fun and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is is one of the key words that can explain the culture of post-digital generation amongst the post-digital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creative ideas to develop the fashion designs showing funology concept for the 21st century. As a background of funology trend, general ideas about the post-digital age and the post-digital generation were reviewed. First, funology designs among the industrial products and the funology concepts in the advertisement were examined. And the ways of expression and the meanings of funology fashion design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funology fashion between 2000 S/S and 2008 F/W. The external expression ways of funology fashion in the post-digital age were as follows: parody of popular images, inharmony by the exaggeration or transformation, trompe l'oeil, mixture of the styles shown in the children's wear and the objects of children, patterns with childlike or animation characters, and the graffiti art. The internal meanings contained in the funology fashion were 1) fantasm showing surrealistic funology that was based on the people's pursue of fantasy free from the everyday's severe routine 2) memorism showing nostalgic funology that was based on the pursue of vanishing fear of reality and going back to the childhood. To sum up, fashions showing funology were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the post-digital age. This will provide the great inspirations for creating the new coming fashions and efficient healing contents for the cold-hearted emotions of nowaday's people.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의 유사성 연구(기능과 역할, 조형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milarities between folk painting and illustration(Concentrating on functions and roles, molding specificity))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1-120
    • /
    • 2002
  • 민화는 일반대중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정서와 감정, 사상등을 다양한 기능과 미의식적 조형특성을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낸 실용회화이며, 현대사회의 정보전달을 위한 매체로서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창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각환경을 형성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정보화산업사회의 중요한 조형수단이 되고 있다.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상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주제로 풍자적이고 해학적으로, 또는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향 방법의 색채사용과 형태표현으로 주제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전달하며, 그 당시의 사회와 문화, 환경, 그리고 일반대중의 정서와 감정 등을 반영하는 대중예술로서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을 사회ㆍ문화적 기능과 역할,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유사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일러스트레이션에서 한국적 이미지의 표현가능성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리 놀스테인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의 몽타주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Montage Technique in Yuri Norstein's 'Tale of Tales')

  • 김일태;최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7-126
    • /
    • 2005
  • 현대에 와서 작가주의와 예술주의 애니메이션은 감독의 사상을 표현하는 독특한 장르의 예술의 형태가 되었다. 러시아 애니메이터 유리 놀스테인의 $\lceil$이야기 속의 이야기$\rfloor$는 작가의 시대적 리얼리즘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표현하는데 있어 컷 아웃 기법과 회화적인 느낌을 강조한 페이퍼 애니메이션 그리고 복잡한 시퀀스의 구성 등을 강조한 작품으로,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작품에서 주요하게 적용된 여러 상징적 이미지의 전개를 통한 몽타주 기법, 상반된 세계의 통시적 표현, 결과에 따른 원인 설명을 나중에 표현하는 독특한 복선, 긴박하고 심각한 상황을 위한 빠른 반복, 상황이 다른 두 캐릭터의 심리적 거리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카메라의 움직임과 편집 과정을 분석하였고, 도출된 결과들은 작업에 임하는 작가주의, 예술주의 애니메이터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활동이 ICT 이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by Boom Generation' Leisure Activities on ICT Skills)

  • 오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가 일상생활 속에서 ICT 이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취미를 매개로한 여가활동이 ICT 이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2016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분석결과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ICT 이용능력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구변수를 통해 내생성을 통제한 2단계 회귀분석에서도 영향력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연/문화 관람 활동이 통합적 ICT 이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작적 취미활동은 동영상 콘텐츠 이용과 전자상거래 이용 능력에, 쇼핑 활동은 커뮤니케이션 영역과 정보검색 영역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한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여가활동이 ICT 이용의 동기와 활용,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ICT 이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문화콘텐츠가 융합된 주얼리케이스 디자인연구 (Jewelry case design study with fusion of cultural contents)

  • 황선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35-342
    • /
    • 2018
  • 현대사회에서 주얼리케이스의 역할은 단순히 내용물의 수납, 보관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것에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상황과 환경에 따라 내용물과 함께 특별한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런 결과를 얻기에 현재 통용되는 주얼리케이스는 조금 부족한 면이 있다. 이에 새로운 형식의 케이스 디자인을 생각하게 되었고 그 시작점을 현대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문화콘텐츠 찾고자 했는데 그 기반이라 할 수 있는 문화원형을 활용, 주얼리케이스를 디자인하고자 했다. 특히 수많은 문화원형중 '이야기'를 주목하였고 그중 케이스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으며 대중적인 인지도까지 있는 고전문학 '흥부전'을 채택,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도면과 3D렌더링 후 실제 동작이 가능한 샘플까지 제작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문화콘텐츠 융합된 디자인연구는 창의적이면서도 대중적인 관심을 동시에 가질 수 있기에 향후 현대공예의 또 다른 발전방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소·소상공인을 위한 모바일 스마트커머스 및 O2O 유통 비즈니스모델 융합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of Mobile Smart Commerce and O2O Distributions Business Model for Small to Medium and Micro-Enterprises)

  • 김병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61-167
    • /
    • 2016
  • 최근 유통채널은 양적인 증가에서 질적 개선으로 산업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더불어 고객의 새로운 성향과 소비트랜드를 반영하고 서비스의 핵심가치를 옴니채널 O2O(Online to Offline)비즈니스 모델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합하고 고도의 콘텐츠 비지니스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사업전략 모색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대부분은 대기업, 금융권 중심의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형성되어있어 중소 소상공인이 당면한 문제점인 채널확산 및 개선, 신규 유통채널을 발굴, O2O마케팅전략 모색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컨슈머의 니즈를 반영한 누구나 스마트커머스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유통채널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중소 소상공인을 위한 비지니스플랫폼을 통하여 전략적이고 나아가 지속가능한 상생형 시장을 형성하여 '창조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