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iofacial

검색결과 1,407건 처리시간 0.031초

성인 III급 부정교합자의 SELLA TURCICA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연구 : SELLA TURCICA부피의 III급 부정교합 예측 지표로서의 가능성 (THE EVALUATION OF SELLA TURCICA ON THE SHAPE AND VOLUME IN CLASS III PATIENTS : The Possibility of Sella Turcica as Class III Growth Prediction Indicator)

  • 양원식;하태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3-217
    • /
    • 1998
  • Sella는 오랜 동안 교정학에 있어 필수적인 landmark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그러나 sella turcica는 그 안에 성장호르몬을 비롯한 많은 중요 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를 함유하고 있는 구조물로서 sella turcica의 크기는 뇌하수체의 크기를 비교적 정확히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만일 뇌하수체의 크기와 그 기능이 서로 비례한다면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관찰되는 sella turcica의 크기와 성장호르몬을 비롯한 여러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기전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만일 그렇다면 악안면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분비 차이에 의한 악골부조화와 이로 인한 III급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도 의심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명의 정상교합자 남녀와 50 명의 III급 부정교합자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측모 두부방사선사진과 전후방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관찰되는 sella turcica의 부피를 구하고 두부방사선 분석을 통해 IIII 부정교합간의 상관 관계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교합군보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sella turcica의 부피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여성이 남성 보다 더 큰 sella turcica부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III급 부정교합을 반영하는 APDI, ANB, effective mandibular length등의 항목에서 sella turcica부피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두개저 길이에 대한 sella turcica 부피의 비를 표시하는 Sella Index 는 sella turcica 부피 자체보다 III급 부정교합을 더 정확히 반영하였다. 따라서 악안면 발육에 대한 성장호르몬의 효과나 sella turcica부피와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량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sella turcica부피에 따른 악안면 성장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Sella Index를 III급 부정교합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청소년기 정상교합자의 악안면 성장에 관한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 의한 누년적 연구(Ricketts분석법에 의한 연구)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CRANIOFACIAL GROWTH CHANGES OF ADOLESCENCE WITH NORMAL OCCLLUSION)

  • 김윤정;박경덕;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7-297
    • /
    • 1995
  • 경북대학교 치과 대학에서 두개안면골 성장에 관한 누년적 연구의 일환으로 남자 25명,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평균 연령 8.5세에서 16.5세까지 격년 간격으로 촬영한 두부X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Ricketts분석법의 항목중 V.T.O.작성의 초기 단계인 치료전의 성장 예견시에 필요한 각도 및 거리 계측 항목을 선정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계측항목중 연령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 항목은 성장 방향을 나타내는 facial axis angle, FH to palatal plane angle, BA-NA-A angle, lower facial height 및 lower incisor protrusion이었다. 2. 연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항목(anterior and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facial axis length, condyle axis length, corpus axis length)에서 연간 성장 변화량, 평균 연성장량 및 8년간 변화량을 구하였다. 3. 연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든 계측 항목에서 12세 이후의 대부분의 연간 성장변화량, 평균 연성장량 및 8년간 변화량에서 남녀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4. 남녀별로 각 연령에서 각 계측치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visual norm을 작성하였다. 남자의 경우 각 기간동안 상당한 성장을 보였으며 특히 12-14세 기간에 가장 많은 성장을 나타내었고, 여자의 성장 변화에서는 10-12세 사이에서 가장 많은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를 보였다.

  • PDF

턱관절의 골관절염을 동반한 신성골이영양증 환자 증례보고 (A Case Report : TMJ Osteoarthritis in a Patient with Renal Osteodystrophy)

  • 이기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47-253
    • /
    • 2013
  • 신성골이영양증 (Renal osteodystrophy)은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관찰되는 골격성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칼슘과 인 대사의 변화, 그리고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결과로 나타난다. 방사선학적으로 지골의 말단, 장골과 악골 부위의 골막하 부위의 침식을 흔하게 관찰할 수 있다. 악안면 영역에서 골변화는 골밀도의 감소, 방사선 투과성 병소 (갈색 종양 : brown tumor), 피질골의 비박화와 치조백선의 소실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골변화가 악관절에 발생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본 증례는 양측 하악 과두의 골변화를 보인 신성골이영양증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지난 10년 간 혈액 투석 치료와 3개월 전 신장암 수술 병력이 있는 41세 남자 환자가 좌측 턱의 통증을 주소로 2011년 2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였다. 양측 악관절의 골관절염과 유사한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였고, 전치부 개방교합이 관찰되었다. CBCT를 이용한 방사선학적 특징과 생화학적 지표를 통해 신성골이영양증으로 인한 양측 턱관절의 골관절염으로 진단 되어 환자는 내과에서 신성골이영양증의 치료 방법의 하나인 칼슘 및 비타민 D 복용고 부갑상선 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그 동안 턱관절의 통증 조절을 위해 본원에서는 행동 요법과 약물 치료, 물리치료만 시행하였다. 약 1년 3개월 후 재검사에서 하악골의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가 증가하였고, 하악 과두 외형이 비교적 명확하게 바뀌었다. 골변화는 만성 신장 질환의 초기 단계부터 시작되므로 치과의사는 이러한 질환의 징후 및 가능성을 신속히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골관절염과 신성골이영양증의 치료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악교정 수술에서 모의 조종된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응용 (Application of Simulated Three Dimensional CT Image in Orthognathic Surgery)

  • 김형돈;유선국;이경상;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363-385
    • /
    • 1998
  • In orthodontics and orthognathic surgery. cephalogram has been routine practi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evaluation of craniofacial deformity. But its inherent distortion of actual length and angles during projecting three dimensional object to two dimensional plane might cause errors in quantitative analysis of shape and siz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ree dimensional object is diagnosed and evaluated three dimensionally and three dimensional CT image is best for three dimensional analysis. Development of clinic necessitates evaluation of result of treatment and comparison before and after surgery. It is desirable that patient that was diagnosed and planned by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before surgery is evaluated by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fter surgery. too. But Because there is no standardized normal values in three dimension now and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needs expensive equipments and because of its expenses and amount of exposure to radiation. limitations still remain to be solved in its application to routine practice. If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 is constructed by pre and postoperativ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and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m. pre and postoperative image will be compared and evaluated three dimensionally without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fter surgery and that will contribute to standardize normal values in three dimension. This study introduced new method that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 was constructed by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m and pre and postoperativ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and for validation of new method. in four cases of dry skull that position of mandible was displaced and four patients of orthognathic surgery.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four cases of dry skull that position of mandible was displaced. range of displacement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in co-ordinates values was from -1.8 mm to 1.8 mm and 94% in displacement of all co-ordinates values was from -1.0 mm to 1.0 mm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was noticed(p>0.05). 2. In four case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range of displacement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in coordinates values was from -6.7 mm to 7.7 mm and 90% in displacement of all co-ordinates values was from -4.0 to 4.0 mm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ctual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s was noticed(p>0.05). Conclusively. computer-simulated three dimensional image was constructed by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m and pre and postoperativ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Therefore. potentiality that can construct postoperative three dimensional image without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fter surgery was presented.

  • PDF

단골성 섬유성이형성증 환아에서 나타난 맹출지연 (A CASE OF DELAYED ERUPTION IN A CHILD WITH MONOSTOTIC FIBROUS DYSPLASIA)

  • 민수영;이제호;김성오;최병재;최형준;김승혜;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0-275
    • /
    • 2011
  • 섬유성이형성증은 골격 계통의 국소화된 양성 발육장애로서 해면골 내에서 섬유조직이 증식되며 불규칙한 골소주가 형성되는 질환이다. 섬유성이형성증의 두개안면부 병소는 안면동통, 두통, 두개비대칭, 안면기형, 치아이동, 부정교합, 시각이상, 청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는 섬유성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혼합치열기 환아로서 이환 부위에서 영구치의 맹출지연이 관찰되었다. 병소에 이환되지 않은 환아의 하악 좌측 측방 치열군은 교합위까지 맹출을 완료하였으나 병소에 이환된 하악 우측 측방 치열군은 현재 치조골 내에서 느린 속도로 맹출 중이며 치근 형성이 완료되지 않아 계속 경과 관찰 중이다. 맹출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될 시 상부 치조골 제거를 통한 맹출유도나 교정적 정출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정상교합 아동의 두개안면부 성장에 관한 종적 연구 (LONGITUDINAL STUDY OF CRANIOFACIAL GROWTH BY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 양규호;박창헌;손정수;김낙현;최남기;김선미;김기백;신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12-419
    • /
    • 2009
  •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 24명(남:14명, 여:10명, 초진 시 평균 나이 9${\pm}$1.3세, 평균 관찰 기간: 13${\pm}$1.3개월)에 대한 성장량을 측정하여 기능적 교정장치의 순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3회(5${\sim}$8개월 간격) 촬영한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 사진에 대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아는 상악골은 전하방, 하악골은 전방성장하였고, 여아는 상하악골이 전하방 성장하였다(p<0.05). 2. 상하악골의 남녀간 차이에서 수평적 성장상태는 여아가 컸고(A point 여아: 2.39mm, 남아: 1.26mm, p<0.05), 수직적 성장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상악 전치의 치축은 두개저에 대해서 순측 경사하였고(p<0.01) 하악 전치의 치축은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로비노 증후군(Robinow syndrome) 환자의 전신마취 하 과잉치 발치 (MESIODENS EXTRACTION OF A PATIENT WITH ROBINOW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 박성희;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
    • /
    • 2016
  • 저자는 과잉치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며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2세 7개월의 로비노 증후군 증례를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의 전신 소견으로는 대두증, 전두부 돌출, 양안격리증, 넓은 안검렬, 들창코, 콧등 함몰, 삼각형의 입술을 포함하는 특이한 안모와 짧은 손,발가락, 소음경을 포함한 잠복고환 및 발달지연이 관찰되었다. 구내 소견으로는 수술받은 구순열과 하악골 저성장, 치아맹출지연, 치은비대, 과잉치가 관찰되었다. 로비노 증후군 환아는 전신마취 하에서 성공적으로 치과 치료가 가능했다. 치과의사는 치과 치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근육의 긴장저하, 발달, 호흡, 섭식 등 의 전신적인 상태를 항상 고려해야 한다. 또한, 로비노증후군 환자가 두개 안면부의 이형성과 맹출장애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접근해야 하며, 환자가 성장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Axenfeld-Rieger Syndrome 환자의 증례보고 (AXENFELD-RIEGER SYNDROME WITH DENTAL PROBLEM : A CASE REPORT)

  • 성민경;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3-117
    • /
    • 2012
  • 저자는 ARS를 가진 15세 여자 환아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환아는 Axenfeld-Rieger Syndrome의 안과적 증상인 전안부 형성부전을 나타낸다. 2. 환아의 구강 및 구개악안면 소견으로 다수의 영구치 결손 및 왜소치, 상악 형성 부전, 구치부의 반대교합이 관찰되었다. 3. 환아의 성장에 따른 주기적인 치과적 검진과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eriodontal and endodontic pathology delays extraction socket healing in a canine model

  • Kim, Jung-Hoon;Koo, Ki-Tae;Capetillo, Joseph;Kim, Jung-Ju;Yoo, Jung-Min;Ben Amara, Heithem;Park, Jung-Chul;Schwarz, Frank;Wikesjo, Ulf M.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3호
    • /
    • pp.143-153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exploratory study was to evaluate extraction socket healing at sites with a history of periodontal and endodontic pathology. Methods: The mandibular 4th premolar teeth in 5 adult beagle dogs served as experimental units. Periodontal and endodontic lesions were induced in 1 premolar site in each animal using wire ligatures and pulpal exposure over 3 months (diseased sites). The contralateral premolar sites served as healthy controls. The mandibular 4th premolar teeth were then extracted with minimal trauma, followed by careful wound debride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days 1, 7, 30, 60, and 90 post-extraction for analysis, and the healing patterns at the healthy and diseased extraction sites were compared using radiograph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istology, and histometry. Results: During the first 7 days of healing, a significant presence of inflammatory granulation tissue was noted at the diseased sites (day 1), along with a slightly accelerated rate of fibrin clot resolution on day 7. On day 30, the diseased extraction sites showed a greater percentage of persistent fibrous connective tissue, and an absence of bone marrow formation. In contrast, healthy sites showed initial signs of bone marrow formation on day 30, and subsequently a significantly greater proportion of mature bone marrow formation on both days 60 and 90. Radiographs exhibited sclerotic changes adjoining apical endodontic lesions,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ing collapsed Volkmann canals protruding from these regions in the diseased sites. Furthermore, periodontal ligament fibers exhibited a parallel orientation to the alveolar walls of the diseased sites, in contrast to a perpendicular arrangement in the healthy site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appears that a history of periodontal and endodontic pathology may critically affect bone formation and maturation, leading to delayed and compromised extraction socket healing.

편측성 구순구개열 신생아에 대한 술전비치조정형장치의 효과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 김진선;김영진;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9-215
    • /
    • 2013
  • 구순구개열은 얼굴에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형 중 빈번히 발생하는 기형으로, 발생 빈도는 일반적으로 1000명당 0.28~3.74명으로 알려져 있으나 파열의 종류, 인종 및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구순구개열의 치료는 수술영역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수술만으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어렵다. 파열부 간격을 줄이고 구순열 수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술전 신생아 정형술의 개념이 1950년 McNeil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PNAM)를 사용하여 치조골뿐만 아니라 코의 모양을 정상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 명의 환자가 편측성 구순구개열로 진단받은 후 술전비치조정형장치 장착을 위해 의뢰되었다. 레진과 교정용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K-NAM 장치물을 입술 성형 수술을 시행하기 전까지 장착하였다. 첫 내원시와 nasal molding을 시행하여 입술 성형 수술을 하기 직전, 입술 성형 수술 이후 콧구멍의 높이, 너비, 비주의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세 증례에서 모두 코의 대칭성이 증가하며 술 후 심미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NAM 장치물은 장치의 장착, 유지, 조절이 용이하고 장착한 상태에서 수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nasal molding이 가능한 한정된 기간 안에 최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젖병을 빠는 행위가 가능해짐으로써 동시에 구강조직의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