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verage extens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4초

Performance Analysis of Switching Strategy in LTE-A Heterogeneous Networks

  • Peng, Jinlin;Hong, Peilin;Xue, Kaipi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3호
    • /
    • pp.292-300
    • /
    • 2013
  • Nowadays, energy saving has become a hot topic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come a major power consumer. In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networks, heterogeneous deployments of low-power nodes and conventional macrocells provide some new features, such as coverage extension, throughput enhancement, and load balancing. However, a large-scale deployment of low-power nodes brings substantial energy consumption and interference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witching strategy (NS), which adaptively switches on or off some low-power nodes based on the instantaneous load of the system. It is compatible with the microcells' load balancing feature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on the basis of existing LTE-A specifications. Moreover, we develop an analytical model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system energy consumption, block rate, throughput, and energy efficiency. The performance of NS i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existing strategies. Theoretical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NS not only has a low block rate, but also achieves a high energy efficiency.

OFDMA 펨토셀 환경에서 전력 제어를 이용한 동적 하향링크 자원관리 방법 (Dynamic Downlink Resource Management of Femtocells Using Power Control in OFDMA Networks)

  • 이상태;안천수;신지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5A호
    • /
    • pp.339-347
    • /
    • 2012
  • 최근에 실내 커버리지 확장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가정용 기지국인 펨토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펨토셀이 배치될 때, 기존에 있던 네트워크 상황 속에서 다양한 기술적인 문제들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OFDMA 시스템에서 펨토 - 매크로셀 간의 간섭 완화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동적인 하향링크 자원 관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펨토셀의 전송 파워를 매크로셀로부터 오는 신호의 세기에 기반을 두어서 선택하는 방법과 펨토셀 에게 할당 할 부반송파를 동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펨토셀과 매크로셀 사용자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수용율을 비롯한 여러 평가 지표로 성능을 검증하였다.

한국잔디에 한지형잔디 덧파종에 따른 잔디품질, 녹색기간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l-season Grass Overseeding on Turf Quality, Green Period and Turf Density in Zoysiagrass Lawn)

  • 한상욱;소호섭;최병열;원선이;이상덕;강창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33-344
    • /
    • 2017
  • 본 연구는 녹색유지 기간이 6-7개월에 불과한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 한지형잔디 종자를 덧파종하여 잔디밭의 녹색기간 연장, 잔디품질, 잔디밀도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내용은 대조구로 한국잔디(중엽형)를 포함하여 퍼레니얼 라이그래스($60g\;m^{-2}$)를 중엽형 한국잔디에 덧파종 처리와 켄터키 블루그래스($20g\;m^{-2}$)를 중엽형과 세엽형 한국잔디 '세밀'에 덧파종 처리를 두어 2014년 부터 2016년까지 조사하였다.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또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덧파종으로 월동 전 2개월, 월동 후 봄철 녹화기에 1개월로 총 3개월 정도의 녹색기간 연장으로 품질유지 효과를 보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덧파종 하였을 때 발아 및 초기생장이 빨라 덧파종 후 2-3주만에 녹색기간 연장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 기간 동안에는 하고현상으로 품질 저하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덧파종한 경우에는 발아 및 초기 생육이 느려 가을 파종시 당년에 뚜렷한 월동전 녹색기간 연장 효과를 볼 수 없었으나, 이듬해부터는 하절기를 포함하여 연중 안정적인 품질 및 녹색 유지 효과를 보였다. 세엽형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 처리가 중엽형 잔디 처리에 비해 균일도가 좋아 품질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덧파종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하고현상 발생시기를 제외하고는 한국잔디의 잔디밀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덧파종한 한지형잔디의 피복률은 계절과 초종에 따른 변화를 보였고 약 30-80%의 피복률을 나타냈다. 본 시험결과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덧파종 후 빠른 피복도와 뚜렷한 녹색기간 연장효과는 있으나 하절기 품질저하를 보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은 초기 생육은 느리나 연중 안정적인 품질유지가 가능한 특성을 보여 덧파종시 2종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근위 경골 골육종의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후의 기능 평가 (Functional Result of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Osteosarcoma of Proximal Tibia)

  • 박원종;손종민;정양국;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39-143
    • /
    • 2001
  • 목적 : 근위 경골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에 따른 재건술은 적절한 연부 조직의 피복(cover age), 슬관절 신전 장치(knee extensor apparatus), 특히 슬개건의 견고한 재부착이 어려워 슬관절의 기능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근위 경골의 골육종으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으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기능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으로 확진된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술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5명이었으며, 환자의 나이는 15세에서 65세로 평균 23.7세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1년에서 최장 4년 6개월로, 평균 2년 5개월이었다. 최종 기능평가는 1993년 국제 사지 보존 회의(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 ISOLS)에서 수정 보완한 방법을 이용하여 동통, 기능(functional activity), 환자의 정서적 만족도(emotional acceptance), 보조기 사용여부(use of external support), 보행 능력(walking ability), 그리고 보행 상태(gait)등 여섯 가지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각각의 요소를 최하 0점에서 최고 5점으로 하고 그 중간을 정도에 따라 1, 2, 3, 4점으로 점수화하여 정상 기능에 대한 백분율(% )로 표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기능 평가 성적은 정상 기능에 대해 최고 86.7%에서 최저 53.3%로 평균 68.3%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동통이 82.5%, 기능이 62.5%, 정서적 만족도가 67.5%, 보조기 사용여부는 77.5%, 보행능력은 62.5%, 보행상태는 57.5%였다. 슬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신전 5도, 굴곡 85도였으며, 5례에서 최소 5도, 최고 15도, 평균 10도의 신전 제한(extension lag)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2명에서 수술 후 감염 소견을 보였으며 1명은 항생제 치료로 호전되었으나 다른 1명은 종양 구조물 제거 후 관절고정술로 전환이 필요하였다. 결론 :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에 의한 사지구제술의 기능 평가 성적은 감염이 합병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나, 동통 소실, 보조기 사용여부에 비해 슬관절의 부분 강직 및 extension lag로 인해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행등에서 덜 만족스러웠다. 임상적으로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 수술 후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및 굴곡 운동 등의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보험진료체계 개편의 효과에 대한 연구 (An Evaluative Analysis of the Referral System for Insurance Patients)

  • 한달선;김병익;이영조;배상수;권순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4호
    • /
    • pp.485-495
    • /
    • 199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ferral requirements for insurance patients which have been enforced since July 1, 1989 when medical insurance coverage was extended to the whole population except beneficiaries of medical assistance program. The requirements are mainly aimed at discouraging the use of tertiary care hospitals by imposing restrictions on the patient's choice of a medical service facility. The expectation is that such change in the pattern of medical care utilization would produce several desirable effects including increased efficiency in patient care and balanced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medical service facilities. In this study, these effects were assessed b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nd bed-days per illness episode and the share of each type of facility in the volume of services and the amount of expenditur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referral system. The data for analysis were obtained from the claims to the insurance for government and school employees. The sample was drawn from the claims for the patients treated during the first six months of 1989, prior to the enforcement of referral requirements, and those of the patients treated during the first six months of 1990, after the enforcement. The 1989 sample included 299,824 claims (3.6% of total) and the 1990 sample included 332,131 (3.7% of total). The data were processed to make the unit of analysis an illness episode instead of an insurance claim. The facilities and types of care utilized for a given illness episode are defined to make up the pathwa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This pathway was conceived of as a Markov Chain process for further analysis. The conclusion emerged from the analysis is that the enforcement of referral requirements resulted in less use of tertiary care hospitals, and thereby decreased the volume of services and the amount of insurance expenses per illness episode. However, there are a few points that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in relation to the conclusion. The new referral system is likely to increase the use of medical services not covered by insurance, so that its impact on national health expenditures would be different from that on insurance expenditures. The extension of insurance coverage must have inereased patient load for all types of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and this increase may be partly responsible for producing the effects attributed to the new referral system. For example, excessive patient load for tertiary care hospitals may lead to the transfer of their patients to other types of facilities. Another point is that the data for this study correspond to very early phase of the new system. But both patients and medical care providers would adapt themselves to the new system to avoid or overcome its disadvantages for them, so as that its effects could change over time. Therefore, it is still necessary to closely monitor the impact of the referral requirements.

  • PDF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보험 한약 제제 및 한의 처치 이용 현황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Use of Insured Herbal Extracts and Korean Medicinal Treatments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 Data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 김정훈;류지인;강채영;황진섭;이동효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8-52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insured herbal extracts and Korean medicinal treatments, which are mainly used to treat allergic rhinitis in Korean medicine. Methods : Among all HIRA(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laims data in 2016, we included all statements that included J30(vasomotor and allergic rhinitis) or a subcategory of J30(J30.0, J30.1, J30.2, J30.3, or J30.4) as the main disease, using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7). This study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used insured herbal extracts and Korean medicinal treatments for allergic rhinitis in Korean medicine. We performed a frequency analysis on subgroups based on treatment type(inpatient or outpatient), sex, age, insurance type, and medical institution type. Results : The result shows the 10 most frequently used insured herbal extracts and Korean medicinal treatments for allergic rhinitis. The total number of insured herbal extracts prescriptions was 82,533, and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insured herbal extracts was socheongryong-tang(35,131 prescriptions), followed by hyeonggaeyeongyo-tang(18,157 prescriptions), samsoeum(6,257 prescriptions), and galgeun-tang(4,465 prescriptions). The total number of Korean medicinal treatments prescriptions was 1,878,541, of which the most common Korean medicinal treatments was acupuncture(922,977 prescriptions), followed by moxibustion(372,120 prescriptions), cupping(242,094 prescriptions), and segmental acupuncture(161,553 prescriptions). Conclusions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priorities of evidence-based clinical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and making health care policy decisions to strengthen coverage in the future.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초생재배를 위한 자생지피식물의 선발 (Selection of Native Ground Cover Plants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 허재윤;박영식;엄남용;박성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1-647
    • /
    • 2015
  •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초생재배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생지피식물 선정을 위하여 세 가지 자생식물이 잡초의 발생 및 과실의 특성과 토양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지피식물의 생육은 30 ㎝ (L) × 30 ㎝ (W) × 100 ㎝ (H) 밀도에서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긴병꽃풀의 초장과 건물중이 다른 식물체들에 비해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 피복율이 낮았던 섬백리향과 좀씀바귀에서의 잡초 발생빈도와 발생량은 대조구와 거의 유사하였던 반면, 토양 피복율이 높았던 긴병꽃풀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잡초의 발생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긴병꽃풀의 개화기는 ‘쓰가루’ 사과 품종의 개화시기 일치하여 방화곤충의 유인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착과율의 증대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지피식물의 피복에 따른 나무의 생육과 과일의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양의 화학성분은 대조구에 비해 지피식물 처리구에서 유기물 함량과 인산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결과 전반적으로 긴병꽃풀은 토양을 완전히 피복함으로써 잡초의 발생을 감소시켰고, 토양 화학성도 개선하여 사과 재배농가에 초생재배용 피복식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공간 부호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기반 저 복잡도 다중 안테나 릴레이 전송 방식 설계 및 성능 (Design and Performance of Low Complexity Multiple Antenna Relay Transmission Based on STBC-OFDM)

  • 이지혜;박재철;왕진수;이성로;김윤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1C호
    • /
    • pp.673-68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기반 시스템에서 공간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복잡도가 낮은 다중 안테나 릴레이 전송 방식을 설계한다. 기반이 되는 릴레이 전송 방식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신호를 주파수 영역변환 없이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 처리만으로 시공간 부호화를 이룸으로써 IFFT와 FFT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낮은 복잡도를 갖는 시공간 부호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릴레이 전송 방식을 상용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호환 기능하도록 전송 방식을 수정하고 다중 릴레이 환경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을 안테나별 수신 품질 정보 유무에 따라 제공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 평가 결과 다양성 이득이 향상되어 아웃티지 확률과 부호화 비트오류율 줄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적용하는 무선랜 및 해상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 향상 또는 커버리지 확장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 사건이 결측되었거나 구간 중도절단된 준 경쟁 위험 자료에 대한 회귀모형 (Regression models for interval-censored semi-competing risks data with missing intermediate transition status)

  • 김진흠;김자연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311-132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종말 사건에 대한 정보는 주어져 있지만 중간 사건이 구간 중도절단되었거나 연구 기간 도중에 추적이 끊겨 중간 사건의 발생 유무를 모르는 준 경쟁 위험 자료에 다중상태모형을 적용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상태 간 전이 강도는 정규 프레일티를 랜덤효과로 가진 Cox 비례위험모형을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다섯 가지 상태를 가진 다중상태모형에서 가능한 여섯 가지 경로별로 조건부 우도를 정의하였고 주변 우도를 구하기 위해 조정 가우스 구적법을 적용하였으며 뉴튼-랩슨 방법으로 최적 해를 구하였다. 모수의 95% 신뢰구간 포함률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소표본 성질을 살펴보기 위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ersones $Ag{\acute{e}}es$ Quid(PAQUID) 자료 (Helmer 등, 2001)에 제안한 모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다중 무인 항공기 통신을 위한 빔 추적 기법 (Beam Tracking Technique for Communication with Multiple Unmanned Aircraft Vehicles(UAVs))

  • 맹승준;박해인;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1호
    • /
    • pp.1539-1548
    • /
    • 2016
  • 무인 항공기와 기지국간 통신시 커버리지 확장과 SNR 이득 확보를 위하여 기지국에서의 빔 형성 기법이 효과적이다. 무인 항공기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빔 이득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무인 항공기를 향한 주기적인 빔 추적이 필요하다. 또한 다수의 무인 항공기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빔 추적을 하기 위하여 무인 항공기에서 서로 다른 프리앰블의 전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적인 상호 상관 특성을 갖고 있는 Hadamard 시퀀스를 기반으로 GMSK 통신시스템에서 다수의 무인 항공기를 향한 빔 추적을 위하여 프리앰블 시퀀스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Hadamard 시퀀스를 입력으로 하는 GMSK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이후에 다수의 무인 항공기와 통신하는 GMSK 시스템에 적합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