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ion effec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Pseudomonas sp. GP32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응집제 Biopol32의 응집특성 (Flocculating Properties of Bioflocculant Biopol32 from Pseudomonas sp. GP32)

  • 이현돈;오나라;이명은;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30-936
    • /
    • 2017
  • Pseudomonas sp. GP32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응집제 Biopol32의 실제 산업폐수에서의 적용을 위하여 생물고분자 Biopol32의 응집특성을 조사하였다. Biopol32의 응집물질은 polysaccharide로 확인되었다. 음이온성 응집제들은 응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조응집제로 counter ion을 사용하고 있다. Biopol32의 응집활성은 보조응집제로 $Ca^{2+}$, $Al^{3+}$와 같은 양이온을 첨가 하였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며, 보조응집제로서 7.0 mM $CaCl_2{\cdot}2H_2O$을 첨가하였을 때 Biopol32의 응집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Kaolin 현탁액에 Biopol32를 1.5 mg/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응집활성을 보였다. Biopol32의 pH와 온도에 따른 응집활성은 현재 폐수처리 현장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음이온성 유기합성고분자응집제 polyacrylamide와 Zoogloea ramigera로부터 생산된 생물고분자응집제 zooglan과 응집활성을 비교하였다. Biopol32의 응집활성은 pH 5.0에서 8.0의 넓은 범위의 pH에서 높은 응집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온도의 영향에서는 $60^{\circ}C$에서 가장 높은 응집활성을 나타내었으나, $7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응집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ar fermentor를 이용한 batch culture를 통하여 Biopol32의 응집활성과 전하밀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음이온성 전하밀도와 겉보기 점도가 높을수록 Biopol32의 응집활성이 높아져, Biopol32의 응집활성과 겉보기점도는 Biopol32의 전하밀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에너지 엑스선을 조사한 부갑상선의 세포막모델에서 칼슘이온의 생리학적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Physiological Metabolism of Calcium Ion at Cell Membrane Model of Parathyroid which Irradiated by High Energy X-ray)

  • 고인호;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41-150
    • /
    • 2022
  • 이 실험에 사용한 부갑상선의 상피 세포막모델은 PS-DVB(polystyrene-diviny lbenzene)로서 술폰화 혼성 중합 막으로 제조한 이온투과성 고분자막이며 이 고분자막(세포막모델)을 이용하여 고에너지 엑스선(6MV X선)을 조사할 때 막의 수분흡수율 차이, 고정전달자(SO32-)의 농도 차이, 초기 pH 차이, OH-이온의 농도 차이가 세포의 내부·외부 사이에서 칼슘이온(Ca2+)의 농도 차이로 나타나게 되고 그 영향으로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량과 생성량의 차이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상피세포의 세포막을 통한 칼슘이온(Ca2+)의 초기 병류성과 항류성 투과전달 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하게 되였다. 36.5℃로 고정된 상피세포의 고분자 막(세포막모델)을 방사선을 조사할 때 막의 수분흡수율 차이로 인해서 고정전달자(SO32-)의 농도변화가 비 조사된 세포막모델보다 약 2.17배 정도 감소하였고 고정전달자(SO32-)의 농도 차이, 초기 pH 차이, OH-이온의 농도 차이에 따라서 혈중 칼슘이온(Ca2+)의 초기 병류성과 항류성 전달속도 변화가 비조사된 세포막모델보다 각각 약 2.68배 ~ 6.87배, 약 1.42배 ~ 1.63배, 약 2.07 ~ 1.67배 정도 감소하였다. 결국, 방사선 조사로 인해서 부갑상선의 상피 세포막에서 혈중 칼슘이온(Ca2+)의 초기 병류성과 항류성 전달속도변화가 비정상적으로 되어 상피세포의 장애가 발생하고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량과 생성량 감소도 동반하게 되었다고 추론되었다.

알긴산염을 이용한 항균제의 제조 및 항균효과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Agent using Alginate and Its Antibacterial Effect)

  • 이학성;서정호
    • KSBB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63-67
    • /
    • 2002
  • 본 연구는 갈색 해조류(Sargassum fluitans)로부터 추출한 alginate를 사용하여 제조한 Ag- 및 Cu-alginate에 대한 최적의 은 및 구리 첨가량을 구하여 항균성 능을 측정하고, 기존의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항균제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성장은 pH 7에서 가장 활발하였으며, 포도상구균은 pH에 매우 민감하였으나, 대장균은 pH 변화에 대한 저항력을 어느 정도 나타내었다. 포도상구균은 배양 초기에 일정기간의 사장시간(dead time)이 경과한 후 급격하게 성장하였고, 대장균은 약 20분 이내의 사장시간이 경과한 후 완만하게 성장하였다.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alginate를 정제하여 제조한 Ag-alginate의 경우,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해서 0.006 wt.% 은을 첨가한 배양액에서 우수한 항균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상구균보다 대장균에 대하여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Cu-alginate의 경우, 대장균에 대해서 0.006 wt.% 이상의 구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우수한 항균성 능을 나타내었으나, 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0.015 wt.%의 구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우수한 항균성 능을 나타내었으며, Ag-alginate에 비해서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 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DBS/Brij 35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 효과 (Effect of n-Butanol on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5 Mixed Surfactant Systems)

  • 이병환;박인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55-361
    • /
    • 2006
  •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0.1M, 0.2M, 0.3M)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benzenesulfonate(DBS)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dodecyl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의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DBS의 겉보기 몰분율(1)의 함수로서 전도도법과 표면장력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미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i, i, Ci, aiM, 및 Hmix)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DBS/Brij 35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농도에 따른 열역학 함수값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Antioxidant Effect of Berberine and its Phenolic Derivatives Against Human Fibrosarcoma Cells

  • Pongkittiphan, Veerachai;Chavasiri, Warinthorn;Supabphol, Roongtaw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371-5376
    • /
    • 2015
  • Berberine (B1), isolated from stems of Coscinium fenestratum (Goetgh.) Colebr, was used as a principle structure to synthesize three phenolic derivatives: berberrubine (B2) with a single phenolic group, berberrubine chloride (B3) as a chloride counter ion derivative, and 2,3,9,10-tetra-hydroxyberberine chloride (B4) with four phenolic groups, to investigate their direct and indirect antioxidant activities. For DPPH assay, compounds B4, B3, and B2 showed good direct antioxidant activity ($IC_{50}$ values=$10.7{\pm}1.76$, $55.2{\pm}2.24$, and $87.4{\pm}6.65{\mu}M$, respectively) whereas the $IC_{50}$ value of berberine was higher than $500{\mu}M$. Moreover, compound B4 exhibited a better DPPH scavenging activity than BHT as a standard antioxidant ($IC_{50}=72.7{\pm}7.22{\mu}M$) due to the ortho position of hydroxyl groups and its capacity to undergo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For cytotoxicity assay against human fibrosarcoma cells (HT1080) using MTT reagent, the sequence of $IC_{50}$ value at 7-day treatment stated that B1 < B4 < B2 ($0.44{\pm}0.03$, $2.88{\pm}0.23$, and $6.05{\pm}0.64{\mu}M$, respectively). Berberine derivatives, B2 and B4, showed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of CAT expression and significant up-regulation of SOD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berberine treatment for 7-day exposure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s. Our findings show a better direct-antioxidant activity of the derivatives containing phenolic groups than berberine in a cell-free system. For cell-based system, berberine was able to exert better cytotoxic activity than its derivatives. Berberine derivatives containing a single and four phenolic groups showed improved up-regulation of SOD gene expression. Cytotoxic action might not be the main effect of berberine derivatives. Other pharmacological targets of these derivative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to confirm the medical benefit of phenolic groups introduced into the berberine molecule.

N-아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제9보) -Sodium N-Lauroyl-N-methyl-taurate의 미셀형성에 대한 온도 및 전해질의 영향- (Studies on the Surfactants of the N-Acyl Amino Acid(part 9)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Electrolytes on the Micellization of Sodium N-Lauroyl-N-Methyl-Taurate-)

  • 김진현;김태영;주명종;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401-409
    • /
    • 1996
  • Sodium N-lauroyl-N-methyl taurate의 cmc에 대한 온도효과를 검토하였다. cmc값들은 처음 $20^{\circ}C{\sim}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감소하다가 더욱 온도가 증가되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cmc에 대한 온도의 의존성으로부터 여러가지 열역학적 파라미터들(${\Delta}H_m$, ${\Delta}G_m$, ${\Delta}S_m$)을 산출하였다. Sodium N-lauroyl-N-methyl taurate의 cmc에 대한 여러 전해질들의 첨가효과를 또한 검토하였고, 소수성결합 형성에너지 및 미셀의 해리도를 log cmc와 log conc.의 곡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 ${\Delta}H_m$값들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40^{\circ}C{\sim}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변하였다. ${\Delta}G_m$값들은 전해질 농도 및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온도 영향을 고려한 RC 구조의 반 전위 및 OCP의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Half Cell Potential and Open Circuit Potential Considering Temperature Condition)

  • 윤용식;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4-132
    • /
    • 2022
  • 콘크리트 내의 부식전위는 노출환경 및 배합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복 두께, 염화물 농도, 물-시멘트 비를 변수로 하여 RC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철근과 표면과의 전위차를 평가하는 HCP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매립된 철근과 상대전극을 이용하여 OCP의 측정하였다. 한천과 NaOH 수용액을 이온교환물질로, Hg/HgO를 기준전극으로 사용하여 OCP를 측정하였는데, HCP에 비하여 온도에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였다. 영향 인자 중 존치 기간 및 염화물 농도는 피복 두께 및 물-시멘트 비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전체 측정된 HCP 및 OCP는 피복 두께 및 물-시멘트와 뚜렷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HCP와 OCP의 관계를 정량화하였으며 온도를 고려하여 개선된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연초피복재배(煙草被覆栽培)에서 작토시(作土尸)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변화(變化)와 연초생장반응(煙草生長反應)에 관(關)한 연구(硏究) -3. 피복조건(被覆條件)이 연초생장(煙草生長)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ow Layer Soil and its Response of Tobacco Growth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ondition -3. Effect of Poly Ethylene Film Mulch on the Growth and Nutrients Uptake of Tobacco Plant)

  • 홍순달;이윤환;김재정;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2-317
    • /
    • 1985
  • 재배방법(栽培方法)을 P.E film피복(被覆)과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로 하여 재배기간(栽培期間)동안 연초(煙草)의 생장반응(生長反應)과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 등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건물중(地上部乾物重) 150g/주(株)에 도달하는 기간(期間)은 피복조건(被覆條件)이 무피복조건(無被覆條件)보다 약 10일(日) 빨라서 재배기간(栽培其間)이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보다 약 25일(日)정도 앞당겨졌으며,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도 피복조건(被覆條件)인 경우 이식후(移植後) 55일(日)째이후(以後)부터 생장(生長)이 둔화되었으나 무피복조건(無被覆條件)에서는 이식후(移植後) 70일(日)째 이후(以後)부터 생장(生長)이 둔화되었다. 2.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엽중(葉中)의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이르러 급격히 둔화되었으나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에서는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 질소흡수(窒素吸收)가 계속되었고 엽중(葉中)의 질산태질소흡수량(窒酸態窒素吸收量)에서 그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건조후(乾燥後)의 잎담배중에서도 전질소(全窒素)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함량(含量)이 무피복재배구(無被覆栽培區)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3.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서 잎담배중의 환원당 함량은 피복재배(被覆栽培)의 경우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差異)는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가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하위엽(下位葉)에서 현저하였다. 4.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는 잎담배중의 함질소화합물(含窒素化合物)이 증가(增加)되고 환원당이 감소(減少)되어 잎담배 품질(品質)을 저하(低下)시켰다. 5. 엽위별(葉位別)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와 칼륨함량(含量)의 분포(分布)는 서로 유사하여 두 성분(成分)은 흡수이동과정(吸收移動過程)에서 서로 Counter-ion으로 작용(作用)하는 것을 암시하였다.

  • PDF

BF3LiMA를 단량체로 하는 고체 고분자전해질 합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olid Polymer Electrolytes Using BF3LiMA as Monomer)

  • 김경찬;류상욱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8-213
    • /
    • 2011
  • 합성된 $BF_3LiMA$ 리튬염을 단량체로 사용하는 고체 고분자전해질을 제조하고 $BF_3LiMA$의 농도가 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교류임피던스 측정법과 선형전위주사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BF_3LiMA$가 12.9 wt%인 고체 고분자전해질에서 $7.71{\times}10^{-6}S\;cm^{-1}$의 가장 높은 $25^{\circ}C$ 이온전도도가 관찰되었으며 이 값을 전후로 이온전도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농도의 $BF_3LiMA$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튬염의 부족과 고농도의 $BF_3LiMA$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고분자기질의 유동성 감소가 원인으로 해석된다. 또한 $BF_3LiMA$ 기반의 고체 고분자전해질은 음이온이 고정되어 있는 자기-도핑형 계열로서 $60^{\circ}C$에서 6.0 V까지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N,N'-bis-[2(S)-pyrrolidinylmethyl]ethane-1,2-diamine이 배위된 trans-Dichlorocobalt(Ⅲ) 착물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Dichlorocobalt(Ⅲ) Complex Containing N,N'-bis-[2(S)-pyrrolidinylmethyl]ethane-1,2-diamine)

  • 김동엽;김남진;손병삼;이동진;오창언;도명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940-945
    • /
    • 1995
  • 입체특이성을 가지는 N, N'-bis-[2(S)-pyrrolidinylmethyl]ethane-1, 2-diamine(SS-epm) 리간드를 합성하여, $CoCl_2{\cdot}6H_2O$와 trans-$[Co(pyridine)_4Cl_2]Cl$에 각각 반응시켜 녹색결정을 얻었다. 원소분석과 전자흡수스펙트럼 자료에 따라 trans-$[Co(SS-epm)Cl_2]_2(COCl_4)$의 조성을 갖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착물의 CD스펙트럼에서는 리간드의 입체특이성으로 인해 vicinal effect가 유발되었고, 장파장에서 음(-)의 cotton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킬레이트된 리간드의 conformation은 5원 킬레이트고리에 대해 ${\delta}{\lambda}{\delta}$(SRRS)를 취하고 있었다. SS-epm 리간드가 배위된 trans형 착물의 생성은 대이온으로 작용한 $Co(II)Cl_4^{2-}$가 대단히 중요한 이온회합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분자역학(MM)적 방법으로 이차아민의 배향에 따른 각 이성질체의 strain energy를 계산하여, 평형상태에서 안전한 이성질체를 찾고, 동시에 분광학적 자료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