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seling Experience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기 학대 경험과 청소년의 학교규칙 위반행동 간의 관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School Rule-Breaking Behavior: A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Self-Esteem)

  • 견옥;장경은;김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3-108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school rule-breaking behavior.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1,748 adolescents aged from 15 to 16. Adolescents' school rule-breaking behavior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in 2016, whereas their childhood abuse experiences were measured in 2010. Panel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using the bootstrapping technique and PROCESS Macro for SPS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ffected their school rule-breaking behavior. That is, the adolescents who were abused by their parents were at higher risk of breaking school rules later in life. Second, the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school rule-breaking behavior. The adolescents who were abused by their parents tend to have low levels of self-esteem and thereby break school ru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childhood abuse experiences lead to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such as school rule violation. It also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enhancing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of the at-risk group with childhood abuse experiences.

아버지됨(Fathering) 경험이 남성의 성인기 발달에 미치는 의미 탐색 (The Impact on Adult Men's Development through Fathering Experiences)

  • 황정해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43-60
    • /
    • 2006
  • Using interviewing methods,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how fathering impacted the development of adult fathers between the ages of 28 and 45 through 1 to 2 hours. The subjects were 46 middle-class adult men's from the ages of 28 and 45. Twenty of the subjects had infants under the age of 36 months, thirteen had preschool children, 37 months to preschool, and the remaining fathers had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thering experiences impacted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fy, sense of intimacy, and sense of generativity during adulthood. Second, fathering experiences impacted the men's establishment of 'becoming-themselves.' Last, fathering experiences impacted the development of men's maturity.

두 여성의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경험이야기 (The Story of Two Women's Career Transition as a Counselor)

  • 최재혁;김명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14-526
    • /
    • 2017
  • 본 연구는 두 여성이 상담자가 되기까지의 진로전환 과정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자가 되어 가는 진로전환의 경험과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상담심리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두 번 이상의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심리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자신의 흥미나 적성을 생각해볼 기회를 갖지 못한 채 여러 번의 진로경험을 하였다. 둘째, 진로전환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적응하는 경험이었다. 셋째, 여러 직업을 거치면서 점차 자신이 원하던 일과 공부를 찾아가게 되었다. 넷째, 자신이 선택한 상담자의 직업에 만족하고, 상담자로서 자신을 통찰해 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전환을 삶의 일부분인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상담 전문가의 길을 걷고 있는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경험의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대처방식, 해리 경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Coping Style, and Dissociation in Korean Firefighters)

  • 김봉명;반신환;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3
    • /
    • 201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coping style, and dissociation in Korean firefighters. Methods : Subjects included 193 male and 9 female firefighter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Daejeon. Their age ranged from 25 to 57 with an average of 39.17 (SD : 7.572) years. Their posttraumatic stress or traumatic experiences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agnostic Scale. Their coping style was categoriz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heir dissociation was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 The data analysis includ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ing tested the validity of the model that posttraumatic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dissociation and coping style had an mediatory effect between stress and dissociation. Results : First, firefighters' posttraumatic stress or traumatic experiences had a direct effect on dissociation, a symptom of a mental disorder. Second, the firefighters employed passive styles to cope with their stress. This is explained that they had been exposed to their traumatic events repeatedly without being able to control it themselves. Third, coping style had no effect on the med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dissociation. This is explained in terms of repeated exposure to the traumatic event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Korean firefighters' dissociation was not relieved by their coping effort but associated directly with their traumatic experiences. To decrease their dissoci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exposure to their traumatic events.

국내 고위험 유전성 유방암 환자의 유전자검사 경험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Women Undertaking Genetic Test)

  • 전명희;최경숙;안세현;구보경
    • 종양간호연구
    • /
    • 제5권2호
    • /
    • pp.146-15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obtain a understanding of breast cancer women with high risk for hereditary cancer syndrome. Method: A micro-ethnography was used,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open-end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Two major arguments were derived. First, When Korean women at high risk to hereditary breast cancer make a decision about whether to take a genetic test, they are strongly motivated by a desire to preserve close kinship bonds and "family love" among their siblings, parents and children. Second, Even after genetic risk assessment and counseling services, Korean women at high-risk for developing a hereditary breast cancer who have been informed that they are mutation carriers, still hold onto previous beliefs about cancer causation. Their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ir unchanged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cancer causation. Conclusion: More sensitive genetic counseling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Referral programs and clinical services must be attentive to cultural values and beliefs otherwise cultural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 genetic counseling will not change.

  • PDF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orts Psychological Counseling

  • Min-Woo Jeon;Seong-Hoon 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1-103
    • /
    • 2024
  •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심리상담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설문조사에서 운동선수 307명, 심층 면담에서 심리상담을 받아본 선수 4명, 받지 않은 선수 4명 등 총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운동선수들이 심리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관리하고 있는지, 평소 고민 상담의 필요성과 전문가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도움을 받는 스포츠 심리상담의 이용 의향 및 필요성, 경험 여부, 진행하기 전 고려 사항 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운동선수들의 69.1%가 심리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심리훈련을 진행하는 선수는 33.2%에 불과하였다. 또한, 67.8%가 전문가에게 심리훈련에 대한 교육을 받고 싶다고 답변한 반면, 관련 정보를 탐색한 경험이 있는 선수는 19.9%에 불과하였다. 비용을 지불하고 스포츠 심리상담이라는 서비스를 받을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는 55.7%가 의향이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받고 싶은 이유와 받기 싫은 이유, 상담 진행 시 고려하거나 선호하는 내용에 대한 결과를 나열하였다. 심층 면담에서는 상담을 받아본 참여자와 받지 않은 참여자로 분류하여, 스포츠 심리상담을 받은 동기와 받지 않은 이유, 심리상담 시 주변 인식, 고려 사항, 원하는 심리상담사 유형과 프로그램 등의 내용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스포츠 심리상담이 수요자에게 질 좋은 서비스로 제공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라는 관점에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점복자를 찾아가는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Visit a Fortune Teller -focused o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채가영;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00-6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젊은 여성들이 점복자를 찾아가는 심리적 동기와 점복 경험을 통해 얻는 심리적 이득을 알아봄으로써 상담에 보완할 문화적 요인을 찾고, 상담에의 접근을 방해하는 요인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한국인들에게 보다 적합하고 편안한 상담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심리적 지지를 받고 싶은 내적 동기를 가지고 점복자를 찾아가고, 그러한 심리적 요구를 점복을 통해 채우면서 상담에서 얻을 수 있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경험하며, 문제해결의 대안을 얻고 있었다. 한국 내담자들의 즉각적인 문제해결과 방향제시에 대한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좀 더 지시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을 해줄 필요가 있고, 운명의 수용을 통해 내담자가 겪는 고통에 대해 억울한 마음에서 벗어나 극복의 의지를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심리적 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전문적인 상담서비스로 이어지지 않는 주된 이유는 상담이 아직은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되어 있지 않아 정보를 찾기 쉽지 않고, 여전히 상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 부모성찰,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Parental Refle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upon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Preschoolers: Mediated Moderation Effect Verification)

  • 오지현;최아영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7-4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의 관계에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과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매개된 조절 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만 3~6세 유아를 키우는 어머니 327명이 참여하였고, 아동기 수용경험 척도, 부모성찰 척도, 부모역할만족도 척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모델의 분석 결과는 첫째, 아동기 수용 경험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서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원부모의 양육방식을 수용적으로 지각할수록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고 이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역할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역할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아동기 원부모에게 받은 양육경험을 거부적으로 지각하더라도 부모성찰 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기 수용 경험, 부모성찰 그리고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성찰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매개변수로 투입된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원부모와의 양육에서 수용 받는 경험이 적으면 자신의 자녀를 키우면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지만, 자녀에 대한 이해와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가 높을 경우 부모역할 만족도를 높여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상담과 부모교육의 방향성 및 개입방안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journals of cadaver practice experiences in nursing students

  • Hyunju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09-118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cadaver practice and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students' experiences in cadaver practice, which can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m. By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by Krippendorff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adaver practice among 80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daver practice at K University in W-si, Gangwon-do, a total of 4 areas, 13 categories, and 25 meaningful statement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included "worried," "surprised," and "fear" in the anxiety domain; "interesting," "knowing," and "focused" in the immersion domain; "value of life," "gratitude and remembrance," "thinking about donation," "facing death," and "precious body" in the reflection domain; and "motivatio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the growth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actions that nursing students may experience during cadaver practice, and will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counseling, education, and reflection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cadaver practice to help nursing students cope with stress, develop a sense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develop a positive self-image as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be successful in cadaver practice.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a basis for preventive program interventions for experiences related to the negative effects of cadaver practice.

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motional Experiences of Adult Women with Childhood Trauma)

  • 김흥;김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41-3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 생존자의 트라우마 영향으로 인한 정서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기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을 지킬 수 없는 아이', '트라우마된 아동기 외상', '불안정애착과 착한아이 증후군',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신체화증상', '잃어 버린 나를 찾아서' 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로부터 직접 학대를 경험한 외상과 동생의 사고를 목격 경험한 가족인 형제의 외상이 트라우마로 진행하는 두 사례를 비교와 대조를 통해 가족내에서 자녀들이 겪어야만 했던 심리 내적인 경험과 부모와 아동기에 형성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관계외상과 이를 치유해 가는 성장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들의 삶의 전반에 반영된 부정적 부적응적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자아 회복과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