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tyledonary hypocotyl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FR.)의 성숙배와 유식물에 있어서 유관속계의 분화 (Differentiation of the Vascular System in Mature Embryo and Seedling of Prunus davidiana FR.)

  • 홍성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285-296
    • /
    • 1985
  •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and transition of vascular system in Prunus davidiana FR., the mature embyro and developing seedlings were embedded in paraplast and treated by clearing method. In mature embryo, the procambium was connected with the epicotyl-hypocotyl-radicle axis and cotyledons, whereas protophloem and protoxylem were restricted primarily to the mid-vein and two lateral veins of the cotyledonary base. With the onset of germination, protophloem and protoxylem were differentiated both acropetally and basipetally from the cotyledonary base. The first and second leaf traces appeared in the cotyledonary node, and then differentiated bidirectionally toward the epicotyl and the root tip. The 3rd to 6th leaf traces were connected with the cotyledonary traces in hypocotyl. At the part of the root tip, the xylem was a diarch. As the first and second leaf traces were superimposed at the middle part of the root, the diarch xylem was changed to a tetrarch. As the cotyledonary traces were diverged below the root base, the tetrarch xylem was changed to an octarch. It was suggested that the vascular system of the epicotyl might be superimposed on that of the cotyledon-hypocotyl-root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rimary vascular system of Prunus davidiana.

  • PDF

대두 유식물의 배축에 있어서 유관속형성층의 기원 (Origin of the Vascular Combium in the Developing Hypocotyl of Glycine max Seedling)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89-298
    • /
    • 1988
  • The pattern of elongation in the developing hypocotyl of Glycine max shows that the elongation generally proceeds from base to the cotyledonary node in acropetal diredtion, although earlier elongation takes place through the entire hypocotyl. Because the differentiation of the vascular cambium in the hypocotyl advances also acropetally, it can be seen that the acropetal wave of hypocotyl elonga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ropetal differentiation of the cambium in the hypocotyl elonga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ropetal differentiation of the cambium in the hypocotyl elongation is associated with the acropetal differentiation of the cambium in the hypocotyl. The elongation of procambial cells occurs not only during active elongation but also after cessation of elongation of the hypocotyl. In tangential view, the procambium of the hypocotyl in early stage has homogeneous structure composed of short cells. Subsequently, these procambial cells elongate actively and then become elongated long cells. These long cells eventually become fusiform initials, while some of elongated long cells are transversely divided and then converted into ray init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scular cambium are entirely acquired some time after hypocotyl elongation is completed, and the transitin from procambium to vascular cambium in the hypocotyl is a rather gradual process.

  • PDF

대두(Glycine max) 유식물에서 하배축의 신장과 유관속전이 (Vascular Transition and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Glycin max) Seedlings)

  • 강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74-281
    • /
    • 1991
  • The relationship between elongation of hypocotyl and its vascular transition was studied with seedling of Glycine max. the hypocotyl elongation proceeded acropetally from the base of hypocotyl toward the cotyledonary node. The vascular transition did not occur in the basal region of the hypocotyl, which did not nearly elongate, with exarch radial vascular bundles. However, the vascular transition was almost comple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hypocoty, more or less elongated, with endarch collateral vascular bundles. Such bundles also appeared in the uppermost region of the hypocotyl, in which the elongation was the most strik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vascular transition was related to the hypocotyl elongation and that the transition of primary vascular system in Glycine max seedling was established by rather rapid process. Our observations of the serial sections from root to hypocotyl revealed that the vascular system through the root-hypocotyl-cotyledon was a unit, to which one of the epicotyl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ransition was superimposed.

  • PDF

콩 유묘의 조직배양에 의한 식물체 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in vitro Tissue Culture of Soybean Seedling)

  • 김용호;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9-424
    • /
    • 1992
  • 콩에서의 조직배양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콩 유묘를 기내에서 배양시킨 뒤, 여러 부위를 채취하여 각기 다른 배지 치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줄기정단조직 배양에서는 대부분 shoot가 분화되어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2. 자엽절 조직배양에서는 multiple shoots가 나타나 대량증식에 유용했으나 배지에 따른 영향이 컸다. 3. 배축 및 상배축 조직배양에서는 callus만 분화되엇다. 4. 엽조직배양에서는 callus 분화 후 계대배양했을 때 shoot가 분화되었으나 완전한 식물체를 얻기는 힘들었다.

  • PDF

멜론(Cucumis melo L.) 유묘 절편으로부터 고빈도의 체세포배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Seedling Explant Cultures of Melon (Cucumis melo L.))

  • 최필선;소웅영;조덕이;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1994
  • 멜론의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와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서 자엽과 배축의 절편을 여러 농도의 2,4-D 와 BA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하여 관찰한 결과, 초기배양에서는 4 mg/L 2,4-D와 1 mg/L BA 그리고 2 mg/L 2,4-D+O.1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연한 노란색의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고, 위의 조건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배발생 캘러스는 0.5와 1 mg/L 2,4-D가 첨가된 동일배지에서 약 75%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기본배지에서 대부분의 체세포배는 식물체로 재분화되었으며, 두개의 자엽을 갖춘 정상적인 체세포배보다 비정상적인 나팔형의 자엽을 가진 것이 3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세포배들은 MS 기본배지에서 식물체로 발아되었으며 생육상에서 생장하여 견실한 열매를 맺었다.

  • PDF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 유식물체의 자엽하배축으로부터 고효율의 부정아 형성과 식물체 재생 (High Frequency Shoot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ary Hypocotyl Explants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Seedlings)

  • 조만현;함인기;이봉춘;김재훈;이원석;권석윤;이행순;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03-207
    • /
    • 2004
  • 두 품종 (청양재래, 명안)의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 유식물체를 자엽하배축의 자엽 일부분만 남기고 절단 후, 절단면이 1.0 mg/L zeatin이 첨가된 MS배지에 접하도록 하여 암소에서 3주 배양한 후 명소로 옮겨 배양하였을 때 자엽하배축 절단면으로부터 부정아가 고빈도 (80% 이상)로 유도되었다. 그러나 자엽하배축절편을 암소에서 전 배양하지 않고, 명소에서만 배양 하였을 경우 부정아는 유도되지 않았다. 자엽하배축 절단면에서 유도된 부정아를 분리하여 1.0 mg/L IAA가 함유된 발근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뿌리를 유도하였다. 잎과 뿌리가 잘 발달한 소식물체는 화분에 옮겨 키웠을 때 정상적인 형태의 재분화 식물체로 성장하였다.

당근의 체세포배로부터 발생한 이상자엽 유식물의 유관속 조직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Tissue in Carrot Seedlings with Anomalous Cotyledon Developed from Somatic Embryos)

  • 홍성식;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74
    • /
    • 1998
  • 당근(Daucus carota L cv. Hongshim)의 체세포배를 MS 기본배지에서 4주간 현탁배양하여 얻어진 유식물들은 자엽수에 따라 유형별로 구별되었고, paraffin method에 의한 영구표본을 제작하여 유관속 구조를 관찰하였다. 자엽의 엽육은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으로 뚜렷한 분화가 되어 있지 않았다. 모든 유형의 자엽에서 유관속은 독립된 병립유관속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엽기부는 대부분의 유형에서 짧은 원통상 구조를 보인다. 자엽기부와 자엽절에서 유관속의 배열은 주발형자엽 및 1자엽배에서는 환상으로 연결되므로서 외사관상중심주의 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고, 5자엽배에서도 가끔 관찰되었다. 2자엽, 3자엽 및 4자엽배의 자엽기부와 자엽절에서는 주로 독립적으로 배열된 진정중심주가 관찰되었다. 배축에서 유관속의 배열은 주발형자엽, 1자엽 및 5자엽배에서는 4-6원형 목부가, 2자엽배에서는 4원형 목부가 많고, 3자엽배에서는 3원형 목부가 많았다. 자엽절-배축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피층유관속이 산재하며, 드물게 이중유관속도 나타난다. 2자엽배에서는 대부분이 2원형 목부이며, 3자엽배에서는 3원형 목부가 절반정도 관찰되며, 나머지에서도 주로 2원형 목부이지만 드물게 4원형 목부도 관찰되었다.

  • PDF

대두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 분화와 경단분열조직의 발달 (Procambium differentiation and shoot apical meristem development in somatic embryos of soybean (Glycine max L.))

  • 최필선;권석윤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55-58
    • /
    • 2013
  • 대두 미숙배 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얻기 위해 1 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6 - 8주 동안 배양한 결과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체세포배가 14%, 1개의 자엽을 갖는 비정상 체세포배가 37%, 합생자엽을 갖는 비정상 체세포배가 43% 그리고 생장이 멈춘 구형기 체세포배가 6%로 얻어졌다. 체세포배의 전형층은 하배축에서 원형모양으로 분화되어 자엽 절로 이어진 후 1개의 자엽은 1개 전형성층이, 2개의 자엽은 2개의 전형성층이 각 자엽으로 발달하였고, 합생 자엽의 경우 하배축에서 형성된 원형의 전형성층이 자엽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한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의 경우는 tunica-corpus층을 이룬 전형적인 유경조직을 이루고 있었으나 1개 또는 합생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는 tunica-corpus층이 없고, dome모양이 없는 흔적만 남은 유경조직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의 분화는 자엽의 형성과 유경조직의 발달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상추 유식물체 절편의 조직배양에 의한 고빈도 기관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Organ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s of Lettuce Seedling Explants)

  • 정민;우제욱;정원중;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9-222
    • /
    • 1999
  • 부정아를 유도하기 위하여 발아 7∼10일된 일본 결구상추 2품종과 국내 잎상추 (Lactuca sativa L.)4품종의 하배축 및 자엽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시스템을 확립하였다. 하배축 및 자엽절편을 BA와 NAA가 조합 처리된 MS 및 SH배지에 치상하여 5주 동안 명배양하였다. 일반적으로 하배축보다는 자엽절편에서, SH 배지보다는 M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에 부정아 형성률이 높았다. MS배지에 BA는 0.5 ㎎/L, NAA는 0.1∼l ㎎/L로 처리하였을 때에 최고의 부정아 형성률을 보였으며, 품종에 따라 30% ( '만추대청치마')에서 86% 까지의 부정아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형성된 shoot의 95% 이상이 MS 기본배지에서 발근하여 소식물체로 발달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Regeneration Condition Unde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in in vitro Cultured Korean Soybean

  • Kantayos, Vipada;Bae, Ch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36-36
    • /
    • 2018
  • Soybean is the important crop in Asian countries as protein source, oil production and animal feed. Improving soybean using genetic transformation is the principal tool in nowadays. Developing herbicide resistant transgenic soybean plants through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has been worked in many previous studied. However,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is still low. Many attempts try to find the optimum media condition for plant regeneration after infection. After transformation, the plant regeneration is very important condition to promote growth of transgenic plant. In this study, we optimized a regeneration condition for two Korean soybean cultivar, Dawonkong and Pungsannamulkong using cotyledon, cotyledonary nodes and hypocotyl as explant. The results showed that shoot regeneration of cotyledonary nodes on B5 medium containing 2 mg/L 6-benzylaminopurin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generation in Dawonkong (75.8%) while Pungsannamulkong presented high number of shoots 2.12 shoots per explant. For transformation condition, co-cultivation in 7 days showed a high number of GUS positive expression. Most of explants can survived under media including 5 mg/L of glufocinate which refers phosphinotricin for 2-week selection. Washing with 400 mg/L of cefotaxime in several times and selection in plant regeneration media with 400 mg/L of cefotaxime can prevent bacteria growth, eff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