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tical perfor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Radiomorphometric analysis of edentulous posterior mandibular ridges in the first molar region: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Magat, Guldan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1호
    • /
    • pp.28-37
    • /
    • 2020
  • Purpose: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degree of lingual concavities in the first molar region of the mandible to reduce the risk of perforating the lingual cortical bone during dental implant insertion. Methods: A total of 163 suitable cross-secti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edentulous mandibular first molar regions were evaluated. The mandibular morphology was classified as a U-configuration (undercut), a P-configuration (parallel), or a C-configuration (convex),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lveolar ridge. The characteristics of lingual concavities, including their depth, angle, vertical location, and additional parameters, were measured. Results: Lingual undercuts had a prevalence of 32.5% in the first molar region. The mean concavity angle was 63.34°±8.26°, and the mean linear concavity depth (LCD) was 3.03±0.99 mm. The mean vertical distances of point P from the alveolar crest (Vc) and from the inferior mandibular border were 9.39±3.39 and 16.25±2.44, respectively. Men displayed a larger vertical height from the alveolar crest to 2 mm coronal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Vcb) and a wider LCD than women (P<0.05).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ge and buccolingual width at 2 mm apical to the alveolar crest, between age and Vcb, between age and Vc, and between age and LCD (P<0.05).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lingual concavities was 32.5% in this study. Age and gende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ngual morphology. The risk of lingual perforation was higher in young men than in the other groups analyzed.

하악 전치부에서의 일체형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부하 (Esthetic restoration in mandibular anterior region with one-piece implant and immediate loading)

  • 윤세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7-104
    • /
    • 2018
  • 하악 전치부는 다른 구강 내 영역에 비해 높은 임플란트 성공률과 더 나은 접근성을 갖고 있다. 비록 부적절한 드릴링으로 인한 설측 피질골 천공 가능성과 설동맥 손상으로 인한 출혈 가능성이 있더라도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또한 상악 전치부와 비교했을 때 환자들이 심미적으로 덜 민감한 부위이다. 그러나 좁은 협설측 치조골 폭 때문에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로의 식립은 상악 전치부만큼 어렵다. 이러한 하악 전치부에서 일체형 임플란트는 매우 유용한 치료방법이다. 하악 전치의 해부학적 치근형태와 얇은 치조골을 고려할 때, 임상적으로 3mm보다 큰 직경의 임플란트 식립은 어렵다. 본 증례는 하악 전치부 무치악 부위에서 일체형 임플란트의 식립과 즉시 부하를 동반하여 심미적인 보철물을 구현한 경우이다.

Positioning errors of dental impla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adjacent structures and anatomical variations: A CBCT-based study

  • Ribas, Beatriz Ribeiro;Nascimento, Eduarda Helena Leandro;Freitas, Deborah Queiroz;Pontual, Andrea dos Anjos;Pontual, Maria Luiza dos Anjos;Perez, Danyel Elias Cruz;Ramos-Perez, Flavia Maria Morae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4호
    • /
    • pp.281-290
    • /
    • 202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ental implants positioning error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adjacent structures and anatomical variations by means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CBCT images of 207 patients (584 dental implants) were evaluated by 2 oral radiologists. Th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adjacent teeth/implants was measured and classified as adequate (≥1.5 mm and ≥3 mm, respectively) or inadequate. The presence of thread exposure, cortical perforation, implant dehiscence, implant penetration into adjacent structures, and anatomical variations was also recorded. The incisor canal diameter and the depth of the concavity of the submandibular fossa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ir correlations with the frequency of implant penetration in these structures. Descriptive analyses, the Fisher exact test,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α=0.05).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positioning errors was 82.9%. The most common error was the inadequate distanc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adjacent teeth/implants. The presence of anatomical variation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verall prevalence of errors (P>0.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incisor canal and the frequency of implant penetration in this structure (r=0.232, P<0.05). Conclusion: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dental implant positioning errors, and positioning error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anatomical variations. Professionals should be aware of the space available for implant placement during the preoperative planning stage.

CBCT imaging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eoradionecrosis and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 Ogura, Ichiro;Minami, Yoshiyuki;Ono, Junya;Kanri, Yoriaki;Okada, Yasuo;Igarashi, Kensuke;Haga-Tsujimura, Maiko;Nakahara, Ken;Kobayashi, Eizabur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1호
    • /
    • pp.73-8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ing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eoradionecrosis(ORN) and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MRONJ). Materials and Methods: Ten surgical specimens from segmental mandibulectomy (3 ORN and 7 MRONJ) were analyzed using CBCT. The CBCT parameters were as follows: high-resolution mode (tube voltage, 90.0 kV; tube current, 4.00 mA; rotation time, 16.8 s; field of view, 56 mm×56 mm; thickness, 0.099 mm).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histological slides of the surgical specimens. The Pearson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ORN and MRONJ in terms of CBCT findings(internal texture, sequestrum, periosteal reaction and cortical perforation)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necrotic bone, inflammatory cells, reactive bone formation, bacteria, Actinomyces, and osteoclasts). A P 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MRONJ showed periosteal reaction on CBCT more frequently than ORN (7 of 7 [100%] vs. 0 of 3 [0%], P<0.05). Regarding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MRONJ showed osteoclasts more frequently than ORN (6 of 7 [85.7%] vs. 0 of 3 [0%], P<0.05).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CBCT imaging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RN and MRONJ, and the findings suggest that CBCT could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ORN and MRONJ.

미니스크류 식립 부위로서 정중 구개봉합부 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thickness of midpalatal suture area for miniscrew insertion)

  • 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04
  • 상악에 미니스크류를 적용할 때 사용되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특별한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되고 각화치은으로 덮여 있는 장점이 있어서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상에서 보이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그 두께가 얇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니스크류 식립시 골 천공의 위험과 안정성 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다. 본 연구는 미니스크류 식 립을 위 한 정중 구개봉합부의 수직골의 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총 25명 (남 : 13, 여 : 12)의 20대 환자 전산화 단층촬영 상을 이용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횡단면으로부터 정중구개봉합부의 수직골 두께를 계측하였고 각 부위의 유의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중 구개 봉합부 골의 두께는 남녀간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관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정중 구개 봉합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시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절치공에서 후비극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수평적으로 정중 구개 봉합부 좌우 3mm 이내, 전후방적으로 절치공 후방 25mm 까지는 골의 두께가 3-4mm이상으로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수직적골 골의 두께가 충분하였다.

상악동측방접근법시 차폐막을 사용하지 않는 골창재위치술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bony window repositioning without using a barrier membrane in sinus lateral approach)

  • 전승환;조용석;이병하;임태윤;황경균;박창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2호
    • /
    • pp.122-126
    • /
    • 2011
  • Introduction: In the lateral window approach for a maxillary sinus bone graf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regarding the placement of a barrier membrane over the osteotomy site. In particular, when there is no damage to the Schneiderian membrane, clinicians should decide whether to use a barrier membrane or not, considering the benefits and costs. This study presents the clinical cases to demonstrate that only repositioning the detached window can lead to satisfactory bony healing of the grafted material without using a barrier membrane in the lateral approach for a maxillary sinus 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Five consecuti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same surgical procedures. After performing the antrostomy on the lateral maxillary wall using a round carbide bur and diamond bur, the bony window was detached by a gentle levering action. After confirming no perforation of the Schneiderian membrane, the grafting procedure was carried out the detached window of the lateral maxillary wall was repositioned over the grafted material without using a barrier membrane. A gross examination was carried out at the postoperative 6 month re-entry, and th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dental computed tomography (CT) at re-entry were compared. Results: All the procedures in the 5 patients went on to uneventful healing with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bone graft. Satisfactory bone regeneration without the interference of fibrous tissue on the gap between the repositioned window and later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was observed in the postoperative 6 month re-entry. The CT findings at re-entry revealed the, reconstruction of the external cortical plate including repositioned bony window. In addition, the loss of the discontinuity of the lateral maxillary wall was confirmed. Conclusion: This preliminary report showed that the detached window, which was just repositioned on the grafted material, could function as a barrier membrane in the lateral approach for a maxillary sinus bone graft. Therefore additional morphometric and histologic studies will be needed.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종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 세포종의 비교)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ingle and Multifocal Lesion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양성철;신윤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2-60
    • /
    • 2003
  • 목적: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황색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낭종 다음으로 흔하며, 수술 절제후, 간혹 재발 되기도 한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이며 대칭적 발생을 보인다. 저자들은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절제후 장기 추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특히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만 8년간 본 병원에서 수술 가료후 건초의 거대세포 종으로 확진된 총 21예(다발성 3예 포함)를 대상으로 임상 및 X-선상 분석을 하였으며, 수술 절제후 평균 16개월(3~46개월) 추적하여 재발여부 및 단발성과 다발성 거대세포종의 임상 과정을 비교 하였다. 결과: 총 21예중 14예(66.7%)가 여자였으며 40대에서 16예(76.2%)로 빈발하였고 평균 연령은 47세(19~68세)였다. 단발성 거대세포종 18예중 수지별 발생은 인지와 환지가 각4예씩, 소지(3예), 중지(2예) 및 모지(1예)의 순이었고, 수장부의 발생이 4예였다. 원위 및 중위 지골 부위가 9예(50%), 근위 지골 부위가 4예, 중수지골 및 중수지절 부위가 2예였다. 신전건(7예)보다 굴곡건(11예) 건초 이환이 더 많았고(양측 건이환 3예), 증상 발현에서 수술까지의 지연은 평균 14개월(3~48개월)이였다. 다발성 거대세포종 3예중 1예는 인지와 중지의 중위지골 부위에 발생하였고, 2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20대 남자들에서 대칭적 거대세포종이 수부를 포함하여 22곳 및 12곳등 다발적 이환을 보였고, 외형상의 돌출로 보기 흉하거나 기능 제한을 초래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아전절제하였다. X-선상 연부조직 음영 증가외 4예에서 종괴의 압박에 따른 피질골 미란과 파열소견을 보였다. 수술시 3예에서 수지 신전건과 굴곡건의 양측 건초를 모두 침범하는 넓고 큰 다엽상 소견을 보였으며, 평균 16개월 추적중, 총 18예중 3예에서 재발(16.7%)하였다. 이들 재발예는 단발성 거대세포종중 굴곡건과 신전건 건초를 광범위하게 다엽상 이환을 하였거나 술전 X-선상 골피질의 파열이나 골미란등이 있어 불완전 절제를 시행한 경우들이었으며, 재 광범위 절제 하였고 추적 관찰 중이다.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은 종괴의 병리 조직학상 유사함을 제외하면, 발생 기전이나 침범 부위와 정도, 동반 질환은 물론 치료와 예후에도 차이가 많아 서로 다른 질환으로 판단된다. 결론: 수부의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황색종)은 드물지 않은 종양으로 완전 절제가 필수적이며, 특히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 건 황색종을 동반 할수 있어 치료에 유의해야 한다.

  • PDF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stage 3 거대세포종의 치료 (Treatment of stage 3 giant cell tumor around the knee)

  • 박원종;이승구;강용구;권오수;정양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4-129
    • /
    • 2003
  • 목적: 슬관절부에 발생한 제 3 기 거대세포종에 대해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슬관절부에 발생한 제 3기의 거대세포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은 최단 1년 최장 9년으로 평균 5.7년이었다. 수술방법으로11명에서 병소내 소파술 및 액화 질소 냉동 요법 후 시멘트 충진술을 시행하였고, 7명에서 병소내 소파술 시행 후 냉동 요법 없이 시멘트 충진술 또는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관절면의 파괴가 심했던 3명에서는 광범위 절제술 후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 수술 후 기능적 평가는 우수 및 양호가 13례, 보통이 4례, 실패가 4례였다. 국소 재발이나 감염으로 인해 실패로 판정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4례에서 최종 추시시 기능적 결과는 우수 3례, 보통이 1례로, 전체적으로는 우수 및 양호가 16례, 보통이 5례였다. 소파술, 냉동요법 및 시멘트 충진술을 시행한 11명의 환자 중에는 1명(9.1%)에서 재발하였으며, 1명(9.1%)에서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보였으며, 냉동요법 없이 소파술 및 시멘트 충진술 또는 골이식을 받은 환자 7명중 2명(28.6%)에서 재발하였고, 1명에서(14.5%)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결론: 철저한 소파술 및 냉동 보조요법은 슬관절부의 제 3기 거대 세포종 치료에 있어 유용한 방법이며, 광범위 절제술 및 재건술은 병변이 거대하고 관절면이 상당히 파괴되었거나, 수술 후 국소 재발로 인해 골파괴 및 관절 침범이 심한 경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