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lation Function

검색결과 3,316건 처리시간 0.032초

소음원 대역폭과 측정잡음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소음원 탐지기법 (Sound Source Detection Technique Considering the Effects of Source Bandwidth and Measurement Noise Correlation)

  • 윤종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6-92
    • /
    • 2001
  • 소음원 위치와 방위를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배열처리기술이 발전되어 왔다. 배열처리기술의 기본은 두 개의 수신센서에 수신된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소음원의 위치와 방위를 구하는 것으로 응용분야나 신호처리방법에 따라 고유의 특성을 갖는 빔형성기법, 상관함수기법 및 NAH (Near-Field Acoustic Holography)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법들 중 광대역 소음원 탐지에 적용되는 상관함수기법을 채택하여 소음원의 대역폭과 측정 잡음원 간의 상관 관계가 위치나 방위 탐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소음원 탐지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배열의 기하학적 형상은 위치나 방위의 3차원적 모호성을 없애기 위한 3차원 비선형이며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수치모의 실험 및 실제 실험으로 검증되었다.

  • PDF

이중나선의 패턴 인식 분석과 CosExp와 시그모이드 활성화 함수를 사용한 캐스케이드 코릴레이션 알고리즘의 최적화 (Pattern Recognition Analysis of Two Spirals and Optimization of Cascade Correlation Algorithm using CosExp and Sigmoid Activation Functions)

  • 이상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24-173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비모노톤함수(non-monotone function)인 CosExp(cosine-modulated symmetric Exponential function) 함수와 모노톤함수(monotone function)인 시그모이드 함수를 캐스케이드 코릴레이션 알고리즘(Cascade Correlation algorithm)의 학습에 병행해서 사용하여 이중나선문제(two spirals problem)의 패턴인식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고 이어서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시도한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알고리즘의 후보뉴런에 CosExp 함수를 그리고 출력뉴런에는 시그모이드 함수를 사용하여 나온 인식된 패턴을 분석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반대로 CosExp 함수를 출력뉴런에서 사용하고 시그모이드 함수를 후보뉴런에 사용하여 실험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후보뉴런을 위한 8개의 풀을 구성하여 변형된 다양한 시그모이드 활성화 함수(sigmoidal activation function)를 사용하고 출력뉴런에는 CosExp함수를 사용하여 얻게 된 입력공간의 인식된 패턴을 분석한다. 네 번째 실험에서는 시그모이드 함수의 변위를 결정하는 세 개의 파라미터 값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얻는다. 이 파라미터 값들이 적용된 시그모이드 함수들은 후보뉴런의 활성화를 위해서 사용되고 출력뉴런에는 CosExp 함수를 사용하여 실험한 최적화 된 결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각 학습단계 마다 입력패턴공간에서 인식된 이중나선의 형태를 그래픽으로 보여준다. 최적화 과정에서 은닉뉴런(hidden neuron)의 숫자가 28에서 15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12개로 줄어서 학습 알고리즘이 최적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ltBOC의 코드 추적을 위한 비모호 상관함수 생성 기법 (Generating Method of an Unambiguous Correlation Function for AltBOC Signal Tracking)

  • 우성혁;채근홍;이성로;박순영;윤석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5호
    • /
    • pp.957-963
    • /
    • 2015
  • AltBOC 신호의 자기상관함수는 좁은 주 첨두로 인하여 향상된 측위 정확도를 제공한다. 하지만, AltBOC 신호의 자기상관함수에는 주변 첨두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심각한 위치 추적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AltBOC 신호 추적을 위한 비모호 상관함수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서로 대칭인 부분 상관함수를 얻은 후, 이들을 조합하여 주변 첨두가 제거된 비모호 상관함수를 생성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상관함수를 이용하여 신호 추적을 수행할 경우, 기존의 상관함수들에 비해 더욱 뛰어난 추적 오류 표준 편차 (tracking error standard deviation: TESD) 성능을 보임을 확인한다.

유도선수의 성별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기능 비교 및 상관관계 연구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by Gender in Judo Athletes)

  • 김혜영;정은정;신예진;이병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1-81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by gender in Judo athletes. Bot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athletes are important as factors influencing athletic performance, but there are few papers that have compared and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of judo players. Design: Cross sectional study Methods: The 134 participa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team players. They used physical functions to measure such as self-describing KOOS, FAOS, ODI, POMS, SCAT, ASMQ, and ACSI-28.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KOO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OS and ODI. For psychological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tality item in the POM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life management, and unique behavior management items in the ASMQ. In the ACSI-2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ping with adversity, stress repayment, concentration, freedom to worry about matches, and self-coaching behavior items.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POM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SMQ and ACSI-28, whereas the SCA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ports training by gender of Judo athletes.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가족기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Family Function o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 이혜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297-30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elf-differentiation, family function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67 adolescent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Mental health differed according to grades, sibling position, father's education and mother's education. Self-differentiation and family fun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recognition.emotional function, emotional cutoff and family projection as influencing self-differentiation. Grades, affective responsiveness in family function, and sibling position explained 20.8% of the total variance in mental health.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family function influence mental health, indicating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prevent negative outcomes. For these programs, the family must be included.

스트리머 방식 탐사 자료의 동시 송신원 전파형 역산을 위한 Global correlation 기반 목적함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the Global-Correlation-Based Objective Function for the Simultaneous-Source Full Waveform Inversion with Streamer-Type Data)

  • 손우현;편석준;장동혁;박윤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5권3호
    • /
    • pp.129-135
    • /
    • 2012
  • 동시 송신원 전파형 역산 기법은 계산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전파형 역산의 적용성을 높여준다. 그러나 다수의 송신원 모음 자료를 동시에 모델링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관측 자료의 수진기 위치가 송신원에 따라 다른 경우, 나머지(residual) 파동장에 불필요한 값을 생성하게 되고 이는 파형역산의 수렴성을 저해하게 된다. 특히, 제한된 벌림 거리(offset)를 갖는 스트리머 방식의 탐사자료는 동시 송신원 기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어려운 자료 형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global correlation에 기반한 목적함수가 제안되었고, 시간영역 전파형 역산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 기법은 변형된 목적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머지 파동장이 왜곡되고 경우에 따라 역산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 주파수 영역 파형역산에 적용된 사례는 아직 보고된 적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나머지 파동장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global correlation 계산 시 사용하는 자료에 진폭감쇠 기법을 적용한다. 진폭감쇠를 적용한 자료는 global correlation의 특성을 최적화하여 나머지 파동장의 왜곡을 줄이고 파형역산 결과를 향상시킨다. 시간 영역에서 구한 나머지 파동장을 주파수 영역에서 역전파시킴으로써 global correlation기법을 주파수 영역에서 구현한다. 스트리머 방식의 합성 탐사자료를 이용한 예제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global correlation 목적함수에 기반한 동시 송신원 전파형 역산보다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의 타당도 검증 (Verification of Validity on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17-32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인 MACS의 동시 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81명을 대상으로 MACS와 Jabsen-Talyor 손 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동시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MACS와 Jabsen-Talyor 손 기능 검사 결과와의 상관을 알아보았고,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MACS 수준에 따른 Jabsen-Talyor 손 기능 검사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동시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MACS는 Jabsen-Talyor 손 기능 검사 결과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r = .870, p < .05). 또한 MACS와 Jabsen-Talyor 손 기능 검사 하위 영역 간의 상관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5). 그러나 뇌성 마비 유형 중 편마비 아동에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MACS 수준에 따른 Jabsen-Talyor 손 기능 검사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MACS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체계로써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orrelation among Motor Function and Gait Velocity, and Explanatory Variable of Gait Veloc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 Lee, Dong Geon;Lee, Gyu Cha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81-188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the motor function, balance, and gait velocity and the strength that could explain the variation of gait velocity of chronic stroke survivors. Design: This was a cross-sectional cohort study. Methods: Thirty hemiplegic stroke survivors hospitalized in an inpatient rehabilitation center were participated. The muscle tone of ankle plantarflexor and muscle strength of ankle dorsiflexor were measured respectively with modified Ashworth scale (MAS) and hand-held dynamometer. And the motor recovery and function with Fugl-Meyer assessment (FMA), balance with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and go (TUG) test were measured. Gait velocity was measured with GAITRite. The correlation among motor function, muscle tone,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gait velocity)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was analyzed. Results: The gait veloc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FMA, muscle strength, and BB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MAS and TUG.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UG (𝛽=-0.829) was a major explanatory variable for gait velocity.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gait velocity had correlations with muscle strength, MAS, FMA, BBS, and TUG. The tests and measurements affecting the variation of gait velocity the greatest were TUG, followed by FMA, BBS, muscle strength, and MAS. This study shows that TUG would be a possible assessment tool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gait velocity in stroke rehabilitation.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과 보행 양상의 상관 관계 (Correlation between motor function and gait pattern of stroke patients)

  • 최산호;이일석;홍해진;오재건;성강경;이상관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4
    • /
    • 2013
  •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function and gait pattern of stroke patients. ■ Methods We measured Manual muscle test(MMT), Motricity index(MI)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of admitted hemiplegic patients with stroke. The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using a Treadmill gait system. ■ Result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or function and spatiotemporal parameters such as step length, stride length, step time, stride time, total double support or cadence, in stroke patients. ■ Conclusion The better motor function of stroke was, the more gait improved.

  • PDF

초등학교 3학년의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Device Us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ird Grade: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 정은화;이현아;이지영;이강이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23-534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s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media devices, communica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for third grade student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Data from the 10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as employed (N=557).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along with SPSS 25.0(IBM Co., Armonk, NY, U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third-grad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device use. While also,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Media devices use and communication ab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has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use of media device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executive function showed a reciprocal increase to a child's use of media devices and indicated a discriminatory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ren wh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support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