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검색결과 2,321건 처리시간 0.035초

활로씨 사징증 환자에서 Blalock-Taussig 단락술후 폐동맥의 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Pulmonary Arteries following the Blalock-Taussig Shunt in Tetralogy of Fallot)

  • 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4호
    • /
    • pp.594-600
    • /
    • 1989
  • Primary intracardiac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with low mortality and early good results, has been accomplished in recent years. But palliative procedures have been reserved for those hypoplastic pulmonary arteries, a hypoplastic left ventricle or anomalies of the coronary artery would make total correction difficult. And the Blalock-Taussig shun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standard and popular palliative procedure. I undertook a retrospective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Blalock-Taussig shunt op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main pulmonary artery and the right and left pulmonary arteries. Between January, 1980, and April, 1987, at the Severance Hospital, 16 patients were studied by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ngiocardiography, before undergoing Blalock-Taussig shunting procedures for the palliation of severe symptoms of tetralogy of Fallot, and some time later, usually prior to a second procedure. The mean interval between catheterizations was 22.25 months. Patients with tetralogy of Fallot and pulmonary atresia or with an occluded shunt were not included. The primary and secondary angiograms of each patient were reviewed, and measurements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ulmonary artery, the right and left pulmonary arteries, and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were tak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ematocrit decreased from 56.39% to 50.34%[p< 0.05], and the arterial oxygen saturation increased from 62.00 % to 81.31 %[p< 0.001] following shunt procedures 2.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right pulmonary artery plus the left pulmonary artery to the diameter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increased 1.30 k 0.28 times [p< 0.01]; but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ulmonary artery to the diameter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increased 1.10 * 0.33 times, which was not. significant[p< 0.05]. 3. The interval between shunting and second catheterization was not related to the magnitude of change in the pulmonary arteries[r=0.141, p >0.05]. 4. The changes in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right pulmonary artery plus the diameter of the left pulmonary artery to the diameter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was inversely related to the initial ratio[r=0.757, p >0.001], but the change in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main pulmonary artery to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was not related[r=0.059, p >0.05]. 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nlargement of the pulmonary artery on the side of the shunt [ipsilateral] versus enlargement on the opposite side [p >0.05], no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unt[p >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lalock-Taussig shunt is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right and left pulmonary arteries but not effective for the main pulmonary artery.

  • PDF

관상동맥협착증의 외과적 치험 (A Surgical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A Report of 8 cases))

  • 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6호
    • /
    • pp.1020-1029
    • /
    • 1988
  • The authors evaluated 153 patients who had undergone cardiac valve replacement between October 1979 and July 1988. The results are as follows: l. Out of 153 patients, there were 56 males and 97 females ranging from 15 to 62 years of age with a mean of 37 years. 2. Isolated mitral valve replacement took place in 82 patients, aortic valve replacement[AVR] in 16, double valve replacement[DVR] in 34, AVR combined with open mitral commissurotomy in 19, and tricuspid valve replacement[TVR] was done in 2 patients. 3. 153 patients had 187 prosthetic valves replaced with Ionescu-Shiley valves[16], Carpentier-Edwards[36], Bjork-Shiley[19], St. Jude Medical[108], and Duromedics[8]. 4. Our of 98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64% of a total 153 patients ] during the preoperative period, 22 patients recovered NSR[ 22/98, NSR recovery rate 22.4%] after valvular surgery and remaining 76 patients revealed persisting atrial fibrillation[76/153, 49.7% ]. 5. Preoperative episodes of systemic arterial embolization were attained in 9 patients[9/153, 6% ], and left atrial thrombi were confirmed in 22 patients intraoperatively[ 22/153, 14% ]. Of these, only one patient, however, demonstrated the correspondence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intraoperative existence of LA thrombi. 6. With mechanical prostheses, anticoagulant therapy was begun 48 hours after operation with sodium warfarin[2.5-5.0mg/day], maintaining the prothrombin time between 16 and 18 seconds or 30 to 50% of control values and continued for life. With tissue prostheses, sodium warfarin was continued for 3 to 6 months and converted into buffered ASA[ 325 mg/day ] for one year. 7. The mean follow-up for the survivors was 30.1 months, with a range from 3 months to 9 years. All suspected or confirmed thromboembolic episodes counted as events and occurred in 4 patients[ 1.04%/patient-year] with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No persistent paralysis or death was noted. Late complications have not yet occurred in the patients with isolated MVR and AVR. 8. There were remarkable structural failures of tissue valves in 3 patients[ 1.9%/patient-year ], while no instance of failure of a mechanical valve. 9. There were 10 operative early deaths[10/153, 6.5%] and 5 late deaths[5/153, 3.3%]. Consequently, overall mortality was 9.8%[ 15/153] during follow-up period. 10. We currently favor using the St. Jude Medical valve in all patients requiring valve replacement except in those who can not take warfarin anticoagulation.

  • PDF

우리나라 전문간호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linical Nurse Specialist)

  • 변영순;김영임;송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0-146
    • /
    • 1994
  • Our medical care system is trying to diversify in order to meet the client's needs, and to adjust to a medical environment which is changing very rapidly. Because current nursing theory and practice focus on holistic care, health care management, education, and research, contrary to the traditional emphasis on only assisting a physician, more autonomy and specializ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nursing are required. Considering these trends and actual needs, the category of clinical nurse specialist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develop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is new professional specialty, the authors conducted a field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of the current system in Korea. As a result, various obstacles and constraints were discovered as follows : 1) There are few accredite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training of CNS's. 2) Several hospitals already have staff designated as clinical nurse specialist (CNS) even though the term CNS is not yet standardized or adopted in nationwide. 3) The role of the CNS is not clearly understood by the medical societies, or even nursing societies. A nurse who works in specific nursing areas such as central supply, kidney dialysis, intensive care, coronary care, etc. for a long time, considers herself /himself a CNS.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alternatives are recommended. 1) The role of the CNS should be defined according to specified functions and authority : professional autonomy ; counselling and educating patients and their familes, nurses, and even other medical personnel ; research on improvement of nursing ; and management of the nursing environment including medical resources, information, and cases. 2) the qualification of CNS should be attained only by a nurse who has an RN license and clinical experience of more than 3 years in a specific nursing field: passes a qualifying examination; and contributes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eers, colleagues, and others. A master's degree should only be optional, because of the insufficient of graduate programs which are well designed for the CNS. 3) The CNS should initially be a head nurse rather than line staff in order to deal with as wide an experience base as possible. 4) The nursing specialty could be divided into two areas such as a clinical field and a community field. The clinical field could then be categorized by the Styles' classification such as diseases and pathogenics, systems, ages, acuity, skills/techniques, and function/role ; the community field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work site.

  • PDF

게이트 심근 SPECT를 이용한 비침습적 심실 수축력 측정방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non-invasive measurement for left ventricular contractility using gated myocardial SPECT)

  • 김경민;이동수;김유경;천기정;김석기;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2-160
    • /
    • 2001
  • 목적: 게이트 심근 SPECT를 이용하여 좌심실심근의 최대탄성률을 측정하는 방법의 재현성을 조사하고 단일 압력-부피 고리방법과 매개변수 최적화 방법으로 얻었을 때 재현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는 47명 (남자 42명, 여자 5명, 평균나이 53세, 좌심실구혈률 22-68%)에서 Tc-99m MIBI게이트 심근 SPECT와 동시에 요골동맥 긴장도를 측정하였다. 이 중 11명에서는 누운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연이어 두번 측정하였다. 최대탄성률과 영점부피를 Lee 등이 제안한 단일 압력-부피 고리 방법과 Yoshizawa 등이 제안한 선형근사에 의한 매개변수 최적화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결과: 최대탄성률(상관계수 0.96)과 영점부피(상관계수 0.99)의 재현성은 단일 압력-부피 고리 방법이 매개변수 최적화 방법(최대탄성률 0.89, 영점부피 0.64)보다 좋았다. 두 방법으로 추정한 최대탄성률의 상관계수는 0.77, 영점부피의 상관계수는 0.65이었다. 결론: 게이트 심근 SPECT와 동맥긴장도 측정법으로 얻어 단일 압력-부피 고리 방법으로 추정한 좌심실 심근의 최대탄성률의 재현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매개변수 최적화 방법으로 얻은 최대탄성률도 우수하나 단일 압력-부피 고리 방법보다 못하였다.

  • PDF

맥파전달속도(PWV)와 말초체열분포(DITI)와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 이윤재;조정훈;이창훈;이진무;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31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Methods: When it comes to senile patients who suffer from cold limbs, there is need to see whether or not the patient's low temperature of the limbs is do to arteriosclerosis. The Pulse Wave Velocity(PWV) is a non-invasive method measuring the artery's rigidness. And the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D.I.T.I) is a non-invasive method to see the body's thermal change. Research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artery's rigidness and body's thermal distribution was done by using these two tes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patients between the age 40~65 who have done both the D.I.T.I and PWV in March 2005~ September 2005. They had to have no history of diabetes, coronary illnesses or cerebrovascular diseases which are diseases that can effect the outcome of the PVW, nor history of spondylopathy or dermatosis which can effect the outcome of the D.I.T.I.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ght wrist-palm. 2.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eft wrist-palm. 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ght thigh-dorsum of foot. 4.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eft thigh-dorsum of foot. 5. The right ABI showed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ght wrist-palm and the right thigh-dorsum of foot. 6. The left ABI showed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eft wrist-palm and the left thigh-dorsum of foot.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wrist-palm.

  • PDF

Bentall수술에서 inclusion technique 과 open technique의 비교 (Comparision of Inclusion TechnicRue with 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Bentall Procedures)

  • 김정택;문준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6-511
    • /
    • 1997
  • 1980년 10월부터 1995년 5월까지 대동맥근 치환을 받은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nclusion technique(IT)과 open technique(OT)의 수술성적을 비교하였다 대동맥근 치환술의 원인으로 W군에서는 대동맥륜확장을 동반할 상3n대동맥 동맥류가 20례, 대동맥박리가 8례, 그리고 인공판막심내막염이 1례였다. 07군에서는 대동맥륜 가성동맥류가 1례 있었다. 수술방법으로 Bentall등이 기술한 방 확장이 9례, 대동맥박리가 14례, 상행대동맥 법 또: 약가 변형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술사망은 W군에서 패혈증과 심실부정 맥으로 각각 1례가 사망하 o3고 07구에서는 출혈로 1례가 사망하였다. 만기합병증은 W군에서 8례 발생하였으며 Of군에서 2례 발생하다. 마기사망은 W군에서 7례,07군에서 1례 발생하였다. 12개월 event free는 W군과 07군에서 각각 87% 와 85%, 24개월 생존률은 각각 87% 와 95%로 W군이 24개월생존률이 약간 높았으나 두 군 간에 통계학적 이 유의성은 없었다. nan으로 대동맥륜확장을 동반한 상행대동맥류나 대동맥박리에서 composite valve를 이용한 대동맥근 치 화술으 마조할 만한 단기 수술결과를 보여주었으나 inclusionfwrap technique과 ope technique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prothesis와 관련된 만기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 후 추적관찰에 대한 노력이 장기생존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Aprotinin의 안전성 (Safety of Aprotinin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1-505
    • /
    • 1997
  • 초 저체온 및 순환정지하 개심수술시 Aprotinin을 사용하는 경우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신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1992년 11월부터 95년 8월까지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대 동맥 수술을 한 44례 환자 중 고농도 Aprotinin을 사용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주요장기에 미치 는 aprotin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저체온하 순환정지 시에는 좌측대퇴동맥을 통하려 저혈류로 순환시켜 흉부대동맥내로 공기유입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순환정지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대동맥궁을 치 환하는 경우에는 선택적뇌관류를 하였다. 순환정지시 활성응고시간은 639초에서 1531초로 1례를 제외한 모 든 환자에서 활성응고시간을 750초 이상 유지하였다. 대상환자 20례중 수술사망은 4례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원인은 출혈 1례, 폐출혈 1례, 좌 관상동맥 박리에 따른 좌심실 기능부전이 1례, 근리고 다발성 뇌경색이 1례 있었다. 수술 후 뇌손상이 2례에서 발생하였으나 1례는 수술전 부터 자측 총경동맥 박리가 원인이었고 1례에서는 그 원인을 알 수 얼었다. 생존한 환자중 수 술 후 신 기능이나 간기능의 이상은 얼\ulcorner다. 결론적으로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를 이용한 대동맥수술시 avotinin을 사용한 결과 ACT를 750초이상 충분 히 유지하고, low flow retrograde perfusion을 유지하는 경우 신기능의 장애를 포함한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합 병증이 증가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토 허혈-재관류 심근에서의 Bcl-2 단백의 발현 (Expression of Bcl-2 Protein in Ischemia-Reperfused Myocardium of Rabbit)

  • 류재욱;김삼현;서필원;박성식;최창휴;류경민;김영권;박이태;김성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24-927
    • /
    • 1998
  • 연구배경 : 심근의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세포사에는 괴사 이외에 세포고사가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 Bcl-2 단백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으로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정상심근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나 심근경색의 급성기에서 발현됨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가토 허혈-재관류 심근에서 Bcl-2 단백의 발현 여부와 재관류의 시간에 따른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무게가 2.9Kg(1.5-4.8Kg)인 가토 39마리를 이용하였다. 허혈-재관류 모델의 각 실험동물에서 좌전하행지를 30분간 결찰한 다음 1, 4, 8, 12, 24시간, 3, 7일 동안 재관류시켰다. 이후 즉시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다음 심장을 적출하여 심근조직을 얻고 10%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하였다. Bcl-2 단백의 발현은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에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허혈-재관류 심근 중 12, 24시간, 3일 재관류군에서 Bcl-2 단백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24시간 재관류 심근에서 잘 관찰되었다. Bcl-2 양성염색의 심근세포는 위험부위의 구제심근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Bcl-2 단백은 심근의 허혈-재관류에서 급성기의 비교적 후기에 발현되며, 이는 재관류 초기에서 보다는 후기에서 세포고사를 억제하는데 일부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성인에서의 개심술후 부정맥 (Postoperative Arrhythmias after Open Heart Surgery in Adults)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56-1062
    • /
    • 1998
  • 연구배경 : 개심술 후의 부정맥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그 종류도 다양할 뿐 아니라, 수술후 발생하는 부정맥은 심박출량의 저하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재료 및 방법 :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정맥의 예방과 치료의 방침을 결정하는데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1994년 6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년간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개심술을 시행 받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후 부정맥의 양상을 전향적으로 분석하여 위험인자를 유추하였다. 결과 : 총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그 중 남자가 150명이었고 여자는 15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3.9세 (16세부터 75세까지) 였다. 대상환자 모두 술전 및 술후 표준 12-lead EKG 및 중환자실에서의 24시간 심전도 감시장치로 부정맥을 진단하였으며 수술직후 집중감시병동에서는 동맥혈 가스분석 및 혈중 potassium 농도를 측정하여 이상이 있으면 교정하였고 단순히 산혈증이나 저칼륨혈증에 의한 부정맥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술후 부정맥의 전체 발생률은 58.3%이었는데, 판막 재수술의 경우 부정맥이 77.8%에서 나타났고, 단순 판막 수술, 관상동맥 우회술, 대동맥 수술, 선천성 심기형의 수술후의 부정맥 발생률들은 각각 70.8%, 45.3%, 40.0%, 29.5% 이었다. 연령별 발생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심정지액의 종류도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수술의 종류, 술전 부정맥의 유무, 체외순환 및 대동맥 차단시간, 그리고 술전 시행한 심초음파상의 좌심실 확장기말과 수축기말 내경, 좌심방의 내경 등은 부정맥의 발생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p< 0.05). 결론 : 향후 질병, 수술방법 등이 균질화된 집단을 선정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개심술후 부정맥의 발생,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보다 정확한 결론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을 통한 승모판 수술의 80례 임상 분석 (Clinical Study of 80 Cases of Mitral Valve Operations Via Extended Transseptal Approach)

  • 김학제;황재준;최영호;손영상;김욱진;김태식;김현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37-1042
    • /
    • 1998
  • 연구배경 : 승모판의 노출을 위한 여러 접근방식 중,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은 다른 방법에 비하여 쉽고 빠르게 승모판막에 접근할 수 있으며 모든 판막구조물의 노출이 잘 되어 월등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혹자는 광범위한 절개 및 동방결절 동맥의 손상으로 치명적인 부정맥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여 이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고 반론을 재기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재료 및 방법 : 따라서 본 교실에서는 1992년 9월부터 1997년 7월까지, 모두 80명의 환자에서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을 적용한 후, 어떠한 장·단점이 있나 알아보고 수술후 심장율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 78명의 환자가 승모판 치환수술을 받았고 2명은 좌심방 점액종 제거수술을 받았다. 승모판 치환수술을 받은 78명중 38명의 환자가 동시에 대동맥판 치환수술(n=22), 삼첨판성형술(n=14), 관상동맥 우회로조성술(n=1), 심실중격결손증 교정수술(n=1) 등을 받았다. 수술 후 총 74명에서 평균 23.3개월간 외래추적관찰을 하였다. 병원사망률은 3.8%(3례)를 보였고, 술전 심방세동을 보이던 46명의 환자중 1명이 수술후 정상 동조율로 전환 되었으며, 술전 정상동조율을 보였던 34명은 술후에도 계속 정상 동조율을 유지하였다. 평균 대동맥 차단시간은 71분이었고, 승모판막 단일 수술인 경우는 평균 62분이었다. 수술후 가장 흔한 부정맥은 서맥으로 일시적인 심장조율로 호전되었으며 다른 수술과 연관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승모판막수술시 확장시킨 경중격 절개방식의 적용으로 특별한 합병증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좌심방의 크기가 작은 경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