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urriculum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4초

Establishing veterinary graduation competencies and its impact on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in Korea

  • Sang-Soep Nahm;Kichang Lee;Myung Sun Chun;Jongil Kang;Seungjoon Kim;Seong Mok Jeong;Jin Young Chung;Pan Dong Ry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41.1-41.9
    • /
    • 2023
  • Competencies are defined as an observable and assessable se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Graduation competencies, which are more comprehensive, refer to the required abilities of students to perform on-site work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As graduation competencies set the goal of education, various countries and institutions have introduced them for new veterinary graduates. The Korean Association of Veterinary Medical Colleges has recently established such competencies to standardize veterinary education and enhance quality levels there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raduation competencies as well as their implication for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Graduation competencies for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comprise 5 domains (animal health care and disease management, one health expertis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research and learning, and veterinary professionalism). These are further divided into 11 core competencies, and 33 achievement standards, which were carefully chosen from previous case analyses and nation-wide surveys. Currently, graduation competencies are used as a standard for setting clear educational purpos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Establishing these competencies further initiate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learning outcomes, and of a list of basic veterinary clinical performances and skills, which is useful for assessing knowledge and skills. The establishment of graduation competenci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veterinary education in many ways. These include curriculum standardization and licensing examination reform,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competencies of new veterinary graduates.

IC-PBL 기반의 패션 소비트렌드 분석 수업 개선 및 교육적 효과 (Improvem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ashion Consumption Trend Analysis Class Based on IC-PBL)

  • 이재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5호
    • /
    • pp.121-134
    • /
    • 2023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est in new educational approaches that can enhanc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learners with improved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s increasing, and universities are actively promoting educational innovation to foster the talents required by society. In the field of fashion studies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fashion industry, there is a strong need to develop field-linke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trends in the industry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IC-PBL) to the course "Understanding Fashion Consumption Trends" for non-fashion majors to reflect the current needs and strengthe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learners through a survey. A seven-step curriculum (introduction to the class, practitioner's problem, learner's problem analysis, organizing concepts related to variables, information collection and scenario writing, presentation and scenario proposal, and evaluation) not only enhanced learners' understanding of fashion consumption trends and the fashion industry but also greatly amplified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seven-step curriculu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fidence in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stronger than other factors, consistent with the core principle of problem-based learning to empower learners to take the initiative and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Each factor analyzed was positively correlated.

의료시스템과학의 개념과 교육 필요성 고찰 (The Concept of Health Systems Science and Educational Needs in the Korean Context)

  • 양은배;이단비;이종태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3호
    • /
    • pp.192-197
    • /
    • 2023
  • Physicians should be able to address health-related issue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erefore, medical schools have a social responsibility to develop and implement curricula that enable trainees to acquire the competencies needed to improve all aspects of patient care and healthcare delivery.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health systems science concept as the third pillar of medical education (the other two are basic science and clinical medicine) in the Korean context, as well as related educational need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health systems science is the biopsychosocial conceptual model, which emphasizes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surrounding patients. We concluded that the three domains (core functional, foundational, linking) and 12 subcategories of health systems science propos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could be applied to Korean medical education. Health systems science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to solve the various healthcare problems facing Korea today and to train physicians to provide medical services in line with society's needs. Introducing a health systems science curriculum will be challenging in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which has traditionally emphasized basic science and clinical medical education. Health systems science education should begin in the basic medical education phase, where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is formed, and continue through graduate medical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related educational needs, develop curricular content, conduct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provid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urriculum.

한의사 예방접종을 위한 한의학 교육 분석 (Analysis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for Vaccination of Korean Medical Doctors)

  • 조수연;정혜인;심영신;홍민희;김경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8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s education related to vaccination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Korean medical doctors administering vaccines. Methods :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guidelines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P) and the U.S.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along with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Korean medical colleges. From these sources, key knowledge areas essential for vaccination were identified and distilled into 12 core items, creating a checklist used to evaluate the vaccination-related education. The curricula of Korean medical colleges and online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medical doctors were analyzed using this checklist. Additionally, we reviewed the compulsory education course for vaccination providers for comparative purposes. Results : The analysis of common textbooks from colleges of Korean medicine revealed that while basic concepts of vaccination are widely covered, practical guidance on vaccine administration is less comprehensive. Continuing education for Korean medical doctors emphasizes basic epidemiological knowledge, vaccination contraindications and treating adverse reactions, but lacks details on patient education and the vaccination process. Compulsory education for vaccination providers covers extensive administrative content and comprehensively addresses essential vaccination knowledge, including patient education and practical vaccination procedures. Conclusion :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s curriculum covers basic vaccination theories but lacks specific training in vaccine management. Additional training can improve Korean medical doctors' vaccination skills, enhancing the healthcare system's emergency response.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활용한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 박미정;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5-88
    • /
    • 2024
  • 이 연구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2004년부터 2023년까지 게재된 75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가정교육학의 지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육학 지식 네트워크는 구조적으로 좁은 세상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였으며, 아동⋅가족 영역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이 인용횟수가 많아 이 영역의 연구가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육학의 지식구조는 가정교과와 교육과정 등을 중심으로 (1) 교과서의 내용 분석과 교수학습 설계 그룹, (2) 실천적 문제 및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그룹, (3) 가정과 수업이 중등학교 청소년의 행동과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 그룹, (4) 가정과 교육환경과 관련된 가정과교사의 인식이나 실태 그룹으로 구조화되었다.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식, 내용, 단원, 가정과교사, 실천, 행동, 영향 등의 핵심 키워드는 그 영향력이 줄어들고,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 등은 그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가정교육학의 하위 지식구조로 7개(가정과교육과정 방향, 가정과 교수학습 적용과 효과, 가정과교육의 인식 및 요구,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청소년 소비행동 및 의복, 영양과 건강한 식생활)를 도출하였으며,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서 '가정과교육의 인식 및 요구'의 비중은 감소하고,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 적용'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와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교육학 지식구조의 핵심 키워드와 하위구조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가정교육학 연구의 지식구조를 이해하고, 확장하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core nursing skill on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e)

  • 장영미;박연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77-8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스트레스,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 임상실습 적응 정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간호대학생 4학년 207명에게 자가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24.0을 이용하여 t-test,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비판적 사고성향은 음의 상관관계(r=-.18, p=.010)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은 비판적 사고성향과 양의 상관관계(r=.25, p<.001),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r=-.17, p=.017)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임상실습 적응과 양의 상관관계(r=.44, p<.001)를 보였고, 임상실습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β=.43)으로 나타났으며(F=18.34, p<.001), 설명력은 약 23.1%였다. 이상과 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 받는 스트레스 요인들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과학교육을 위한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 가능성 탐색 -과학중점학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 Strategic Community of Practice for Science Education: A Case of Science Core Schools in Korea)

  • 김진희;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9-179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과학교육 현장을 실행공동체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학교 차원의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14개 과학중점학교 학생 1600여명을 대상으로 SCaCoP 검사를 실시하여 과학교실 내의 실행공동체적 특징을 점검하고, 학교 교육과정의 과학교육활동 중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 활동과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중점학교의 교육과정이 두드러지게 운영되는 과학중점과정은, 학교 내의 자연과정 및 인문과정에 비해, SCaCoP의 5개 모든 요인(학습책임감, 호혜적 인간관계, 개방적 참여, 실행, 공동의 관심사)에서 실행공동체적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학중점과정 학생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활동으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협력이 필수적인 공동체 활동인 '실험', '체험활동', '동아리', '과제연구', 'R&E' 등을 들었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중점학교의 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성과 공유', '동료와의 협력' 등에 긍정적이라고 인식할 뿐만 아니라 '교과 외 과학지식 습득', '교과 내 과학개념 이해', '과학 관련 태도 형성' 등 일반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여 실행공동체를 활성화 하는 데 효과적인 교육활동들이 과학교육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과학중점학교의 특징들은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 맥락에서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과 이를 통한 과학교육 혁신의 가능성을 잘 예시한다고 하겠다.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Brain Compatibility Index Equation for Brain-based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Science)

  • 이일선;이준기;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31-104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의 두뇌 기반 분석을 위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 번째로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의 고안에는 중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한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방법의 유용성 검증에는 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네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CORE Brain Map을 통해 정성적으로 컨설팅 할 수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이론으로부터 정량적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BCI=$\frac{L_o}{11(N_o-1)}{\cdot}{\sum}\limits_{i=1}^4l_iw_i$)을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단원 및 교육과정에 따른 연구대상 교수-학습프로그램들 간의 정량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두뇌기반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은 두뇌기반 다양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분석 및 진단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 고찰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ore Competencies of Data Curator)

  • 이유경;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9-150
    • /
    • 2015
  •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는 여러 학문과 사회 분야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의사결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데이터 큐레이터는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첫째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건의 국외 데이터 큐레이터 구인 공고를 수집하였으며, 둘째는 국내 데이터 관리 실무자 5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수집된 두 가지 데이터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7가지 핵심 직무 요건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4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직무 수행을 위해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기술 지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지식 및 전략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관리 이용자 교육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있어 4가지 범주로 구분되는 다양한 측면의 요건이 요구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 관리에 대한 통합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학 수업이 과학 긍정경험, 과학과 핵심역량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mistry Class Using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Program on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Science Core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 김성기;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07-123
    • /
    • 2022
  • 이 연구는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학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질의 특성 영역에서 3차시의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에 위치한 K 중학교에 투입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혼합물의 분리와 관련된 3차시의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이 도입되었으며, 비교집단은 교과서에서 제시한 내용을 교사 중심의 강의법으로 도입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학 긍정경험과 과학과 핵심역량은 이원공분산분석(2-way ANCOVA)을, 학업성취도는 이원분산분석(2-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긍정경험, 과학과 핵심역량, 학업성취도에서 모두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p<.05), 학업성취도에서만 집단*성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p<.05). 이 연구 결과로부터 지속적인 과학 탐구가 가능한 화학 수업 방법으로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