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ing Loss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3초

주부들의 영양태도, 식품구매 및 식생활 평가의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에 거주-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 Attitudes, Food Purchase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of Housewive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

  • 정근희;신경옥;최경순;윤진아;정강현;김지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3-174
    • /
    • 2012
  • This study focused on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purchase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of 213 housewives (41 women under 39 years, 98 women 40~49 years, and 74 women over 50 years). Younger housewives held more special jobs, whereas older housewives worked as housewives or had no jobs ($p$<0.05).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three family groups was 3,000,000~5,000,000 won, and the monthly dietary expenditure for all three groups was 200,000~500,000 won. Familial frames for the three groups was nuclear family (over 80%), but housewives younger than 39 years (19.5%) lived together with their parents and let them take care of their children. Housewives (over 50 years) prepared a balanced diet for every meal, utilized less drastic cooking methods to prevent loss of nutrients, and shopped at many places in order to save money on various food materials. Further, they purchased food materials that resulted in the least amount of left overs. On the other hand, housewives under 39 years visited large supermarkets and purchased cooked foods more than other groups. Housewives under 39 years considered nutrients cont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purchasing food materials, whereas 74.5% of housewives between 40~49 years and 51.4% of housewives over 50 years put the most importance on flavor ($p$<0.05). Housewives under 39 years were interested in manufacture date, nutrient content, and food price, in decreasing order, whereas housewives between 40~49 years and over 50 years were interested in manufacture date, food prices, and nutrient content. Older housewives were interested in brown rice and fruits, whereas younger housewives under 39 years were interested in meat, fish, eggs, fried foods, and fast food. Older housewives over 50 years did not consume fried foods more than two times per week and consumed three regular meals more often than younger housewives. Accordingly, for younger housewives, it is necessary that healthy foods be cooked for their families.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add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nnamon extract)

  • 허창기;심기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4-7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물 대신 첨가하여 제조한 sourdough의 제빵 특성과 식품첨가물로서의 계피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반죽의 무게는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식빵의 무게는 D 식빵에서 가장 높았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C 시료에서 가장 높았고, 굽기손실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분함량과 pH는 계피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적정산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색도에서 백색도는 계피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식빵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액이 감소하고 계피추출물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증가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ALH(Lactobacillus sakei subsp. ALI033)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로 제조한 식빵은 대조구보다 부피와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피 추출물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여도 식빵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ALH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주정 추출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 이영철;신경아;정승원;문영인;김성대;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04-1612
    • /
    • 1999
  • 손바닥 선인장의 열매와 줄기를 밀가루에 3, 6 및 9%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과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선인장 열매와 줄기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온도와 최종점도는 감소하였고, 최고점도는 증가하였다. 생면의 조리후 중량과 부피는 선인장 열매와 줄기를 첨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조리손실은 증가하였다 조리면의 관능검사 결과, 선인장 열매는 6%, 줄기는 3% 첨가시에 가장 좋은 품질로 평가되었다. 생면의 저장기간동안 총균수는 선인장 열매와 줄기를 첨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손바닥 선인장의 열매-메탄올 추출물은 그램 음성균 중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 H7과 Salmonella typhimurium에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줄기-메탄올 추출물은 Escherichia coli에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램 양성균 중 Bacillus subtilis에는 열매-메탄올 추출물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균 효과에 의해 손바닥 선인장을 첨가한 생면의 총균수 증가는 대조구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hitosan이 함유된 보존제의 첨가가 돈육 Patty의 저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eservative Containing Chitosan on the Shelf Life of Pork Patty)

  • 박나영;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46-1451
    • /
    • 2013
  • Chitosan 함유 보존제를 각각 1%, 3%, 5% 첨가하여 제조한 patty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종합적 기호도의 경우 PI-1 처리구, PII-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 1% PI-1 처리구, 1% PII-1 처리구가 각각 13.54%, 21.78%, 14.07%로 PI-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균수는 저장 10일째 PI-1 처리구는 $10^4$ CFU/g으로 대조구보다 약 1 log cycle 낮았으며, 대장균군수는 저장 10일째 PI-1 처리구가 2.98 log CFU/g으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PII-1 처리구 낮았다. 가열 감량은 PI-1 처리구와 PII-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은 PI-1 처리구가 65.84%로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휘발성 염기태 질소는 대조구가 5일째까지, 보존제 처리구는 10일째까지 가식권의 한계치 이하로 나타났다. L 값은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a 값은 저장 5일째부터 급격히 낮아졌으며, b 값은 저장기간 동안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장기 저장된 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ng-term Stored Rice)

  • 한혜민;고봉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71-1576
    • /
    • 2012
  • 가공용으로 공급되는 국내산 정부미와 수입산 정부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빵이나 국수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빵 및 제면성을 시험하였다. 두 가지 정부미 모두 가루의 백색도가 낮고 황색도가 증가되어 저장된 쌀의 색의 특성이 관찰되었고 아밀로오스 함량이 13% 이하로 국수나 빵을 만드는데 적합한 고 아밀로오스(22% 이상) 쌀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낟알의 경도는 수입산 정부미가 가장 단단하였지만 제분된 가루의 손상 전분 함량과 수분 흡수율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입산 정부미의 호화 점도가 높고 국내산 정부미의 호화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두 가지 모두 저장되지 않은 가공용 쌀 Goamibyeo에 비하여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일반적인 저장 쌀의 호화 특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저장기간에 따라서 감소된다고 알려진 breakdown viscosity는 정부미가 오히려 높은데 이는 저장에 따른 효과보다 정부미 자체 전분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예측된다. 두 가지 정부미 모두 빵의 발효와 굽기과정까지는 우수한 제빵성이 관찰되었지만 굽기 후 식히는 과정에서 빵의 모양이 유지되지 못하고 가라앉아서 100% 쌀 빵을 만들기에 부적합하였다. 100% 쌀로 만든 국수의 조리 손실률은 정부미가 Goamibyeo보다 적었지만 국수의 탄성이 적고 신장성이 커서 무른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가공용으로 공급되는 국내산 및 수입산 정부미를 빵이나 국수 등의 원료로 이용하려면 밀가루 또는 제면 제빵성이 우수한 곡류를 혼합하여 반죽의 물성을 개량한 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At slaughtering and post mortem characteristics on Traditional market ewes and Halal market ewes in Tuscany

  • Sargentini, Clara;Tocci, Roberto;Campostrini, Matteo;Pippi, Eleonora;Iaconisi, Valeri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9호
    • /
    • pp.35.1-35.10
    • /
    • 201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work w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rcass and the meat ewes of the regional Traditional market and the Islamic religious (Halal) market. Methods: Thirty and 20 at the end of career traditional market and Halal market ewes were slaughtered following the EC (European Council, 2009) animal welfare guidelines. Live weight of ewes was taken and dressing percentage of carcasses was calculated. On every carcass zoometric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trough the EU grid rules were performed. On the Musculus longissimus thoracis of 12 Traditional market carcasses and 11 Halal market carcasses the physical-chemical and nutrit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Consumer tests for liking meat ewe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nd consumer's preference level for Traditional and Halal markets ewe meat. Considering as fixed factor the ewe meat market (Traditional and Halal), results were submitt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sults: The Halal market ewes have shown lower dressing percentages ($42.91{\pm}0.82$ vs $46.42{\pm}0.69$) and lower conformation score ($4.5{\pm}0.5$ vs $7.8{\pm}0.4$). The Halal market meat showed higher cooking loss in oven ($37.83{\pm}1.20$ vs $32.03{\pm}1.15%$), lesser Chroma value ($18.63{\pm}0.70$ vs $21.84{\pm}0.67$), and lesser Hue angle value ($0.26{\pm}0.02$ vs $0.34{\pm}0.02$). This product had also lower fat percentage ($4.2{\pm}0.4$ vs $7.09{\pm}0.4$). The traditional market meat had higher percentage in monounsatured fatty acids (MUFA) ($43.84{\pm}1.05$ vs $38.22{\pm}1.10$), while the Halal market meat had higher percentage in ${\omega}3$ poliunsatured fatty acids (PUFA) ($5.04{\pm}0.42$ vs $3.60{\pm}0.40$). The consumer test showed as the ewe meat was appreciate by the consumers. Conclusions: Both meat typologies have shown g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al market meat had higher MUFA composition, and a better MUFA/satured fatty acids (SFA) ratio, while the Halal market meat had higher PUFA composition. These results were also supported by the PCA. The consumers preferred the traditional market meat.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이 생산성과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te in Feed Intake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Old Laying Hens)

  • 강환구;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5-214
    • /
    • 2015
  • 본 연구는 100주령 이상의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에 따른 생산성, 도체 수율 및 육질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100주령 Hy-Line Brown 2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2수 수용 케이지 1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은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일일 사료 섭취량 100%), 90%, 60%, 50%, 20% 총 5처리였다. 산란율은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산란율 및 사료 요구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도체 수율 역시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도체 수율 및 부분육(가슴, 다리, 날개)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Leukocyte 함량은 일일 사료 섭취량이 50%, 20%일 때 WBC, HE, LY, MO 및 EO 함량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가슴육 내 일반 성분항목, 보수력, 가열감량 및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기간과 일일 사료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할수록 생산성과 도체율이 감소하였으나, 일일사료 섭취량을 60% 수준까지 낮춰도 무방하다고 생각되며,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천연의 점토광물질 발효산물 급여에 의한 친환경 고품질 원료돈육 생산 (The Environment-Friendly High Quality Pork Production by feeding the Fermentation Products of Natural Clay Mineral)

  • 조진국;양승학;황성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55-64
    • /
    • 2012
  • 축산물 생산은 집약적 사육환경으로 인한 각종 병원균이 내재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어 항생제 및 각종 사료첨가제등의 사용이 날로 증가해왔다. 한편,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농축산물 생산에 있어서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특수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복합미량원소(Se, Ge, Zn, S)를 강화시킨 점토광물질 발효 산물이 돈육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은 Large White와 Yorkshire 교잡종 80두를 대조구와 실험구로 임의 배치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점토광물질 발효산물을 사료 내 0.3% 첨가 급여했을 때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사료효율, 도체의 pH, 육색의 명도와 대퇴부의 밝기 등은 일반사료를 급여한 군과 비슷하였으나, 지육율은 2.7%, 도체육의 적색도는 12%, 보수력은 10% 개선되고 가열감량은 6% 감소하였다. 또한 면역기능조절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비육돈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증식 및 cytokine 분비 능을 조사한 결과, PBMC는 증식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PS와 Con A를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더욱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ytokine의 분비량도 TNF-${\alpha}$의 경우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고 원적외선 수치가 높은 점토광물 발효산물을 급여함으로써 면역능력이 강화되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성 높은 고품질 친환경 돈육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Whey protein isolate가 첨가된 저지방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Butter Sponge Cakes Prepared with Whey Protein Isolate)

  • 김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7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버터 스폰지 케이크 제조시 버터 대신 WPI를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후 반죽의 특징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WPI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일정하게 감소하였지만 점도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손실율은 감소하면서 비용적은 증가함을 보였다. 외형은 W-20과 W-40이 가장 바람직한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질감도 control과 유사한 정도로 부드러웠다. WPI 80% 이상 대체의 경우 케이크의 부피는 커졌지만 WPI의 열에 의한 응고로 인해 부드럽다기보다는 오히려 무겁고 단단한 케이크가 되었다. WPI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케이크의 수분함량이 감소하면서 응집성, 탄성, 복원성이 감소된 반면 경도, 씹힘성, 점착성, 부착성, 부숴짐성은 증가함을 보였고 케이크 중 W-20은 control과 비교시 모든 값에서 유의적으로 유사함을 보였다. 케이크의 crust 색은 WPI가 많을수록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crumb의 경우 명도 결과만 상반된 변화를 보였다. 관능 결과에서도 W-20이 control과 비교해 볼때 가장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WPI 대체 버터 스폰지 케이크의 최종 품질은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W-20이 우수하였고 40% 이상 대체시에는 전체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버터 스폰지 케이크 내에서 버터 대체물로 이용하는 WPI의 가장 적절한 대체비율은 20%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케이크 이외에 유지를 사용하는 식품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WPI를 이용한 지방 대체 식품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열처리방법에 따른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Garlic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 이주혜;이지윤;황진봉;남진식;이준수;김소민;한혜경;최용민;김세나;김행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52
    • /
    • 2016
  • Purpose: To provide the public with nutritional information on consumption types of garlic,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method on the nutritional contents of different species of garlic. Method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fatty acids in each species of garlic produced in Seosan and Goheung by heating with blanching or microwave roast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 species in particular, as well as method of heat treatment and interaction, had an influence on nutritional content.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in Southern type garlic than in Northern type garlic, while crude proteins, crude ash, and dietary fibers were more abundant in Northern type garlic than in Southern type garlic. With regard to the total mineral content, K, P, Mg, and Ca were the main components in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Moreover, unsaturated fatty acids showed high levels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with more abundant linoleic acid. Overall, Northern type garlic showed a higher content of minerals and fatty acids, while more vitamin B was present in Southern type garlic.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dietary fiber excluded) was increased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upon heat treatment. Blanching resulted in increased mineral and fatty acid content in Southern type garlic and decreased content in Northern type garlic, indicative of species differences; conversely, microwave roasting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content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Conclusion: The nutritional content of garlic is more dependent on species than the cooking method, and grilling is associated with less nutrient loss than blan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