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ing quality

검색결과 1,470건 처리시간 0.024초

수입 쌀과 국산 쌀(추청벼)의 취반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ooking qualities of imported and domestic rices(Chuchung byeo))

  • 한승희;최은정;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97
    • /
    • 2000
  • 본 연구는 외국산 쌀과 국산 쌀의 취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입 쌀 2종류(1998년도산 중국산 및 태국산)와 국산 쌀 2종류(1997년도산 및 1998년도산 추청)에 대하여 쌀 입자의 형태, 흡수특성, 일반 성분 및 색도, 점도특성, 취반특성, 텍스쳐특성, 관능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태국산 쌀은 장립종으로서 흡수율이 낮고 amylose 함량, 호화 온도가 높았으며, 텍스쳐는 단단하고 찰기가 없어 취반 특성이 가장 떨어졌다. 1998년도산 국산 쌀의 취반 특성이 종합적으로 가장 뛰어났고, 중국산 쌀의 취반 특성은 1998년도산 국산 쌀보다는 약간 떨어졌지만 1997년도산 쌀보다는 조금 낫거나 비슷하였다.

  • PDF

고추 Oleoresin 의 가열조리중 Carotenoid 색소의 변화 (Changes in Carotenoid Pigments of Oleoresin Red Pepper during Cooking)

  • 최옥수;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5-231
    • /
    • 1994
  • As the way of mass process of red pepper, extraction of oleoresin, which is labile during distribtuion and long-term storage, is alternative way to minimize markdown of red pepper quality. Changes of carotenoid pigments in modified oleoresin during cooking at high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Dried red peperwas milled to 100 mesh of size particle and oily compounds were extracted by reduced pressure steam distillation. The rest part was reetracted and concentrated. The extracts were combined . The same volume of water and 4 % of polyglycerol condensed ricinoleate (PGDR) were added to the combined extract, and emulsified to make oleroesin. Capsanthin among dried red pepper, was the most abundant carotenoid (97.80mg%) followed by $\beta$ -cartoene, cryptoxanghin ,violaxanthin, crypotocapsin, and capsorubin. Oleoresin is acquiesce in the same order of raw red pepper. Transmittal of color components from raw red pepper to oleroresin was over 85% in cryptoxanthin, crytocapsin, and $\beta$ -carotene, over 70% in capsolutein and hydroxycapsolutein, and under 50% in antheraxanthin and mutatoxanthi Crytocapsin cryptoxanthin, an capsorubin in oleoresin red pepper were remained 72.1, 51.8 and 25.25, respectively, after cooking for 5hours at10$0^{\circ}C$. Color compounds were unsteady by cooking , About 90% of color compounds were destroyed by 3 hours cooking at 15$0^{\circ}C$. But, they were more thermostable under nitrogen circumstance than air one.

  • PDF

취반방법에 따른 혼합잡곡밥의 품질 및 이화학 특성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Cooked along with Various Mixed Grains and by Follow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현주;이지혜;이병원;이유영;이병규;전용희;고지연;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53-667
    • /
    • 2018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polyphenolic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ice cooked along with various mixed grains (barley, black soybean, adzuki bean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glutinous rice) by following two different cooking methods (normal and pressure cooker). The amylogram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mixed gr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presence of different types of mixed grains. The chromaticity,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presence of phenol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ice cooked along with different mixed gr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mixed grains.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before cooking, cooked-rice added to mixed grains cooked in the normal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were 4.46~5.16, 0.58~0.93 and 0.65~0.96 mg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250.74~548.89, 129.26~207.04 and $127.41{\sim}218.15{\mu}g\;CE/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fore cooking, cooked-rice added to mixed grains cooked in the normal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was 79.25~181.61, 22.07~53.64 and 7.51~39.97 mg TE/100 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203.25~328.24, 47.28~84.94 and 58.27~99.51 mg TE/100 g,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 combinations of mixed grains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t home and grain industry.

Effect of Cooking Tim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Home-Made Retort Pouch Packed Chuncheon Dakgalbi

  • Muhlisin, Muhlisin;Kim, Dong Soo;Song, Yeong Rae;Cho, Young Jae;Kim, Cheon-Jei;An, Byoung-Ki;Kang, Chang-Won;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37-743
    • /
    • 201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oking tim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home-made retort pouch packed Chuncheon Dakgalbi. The leg meat of broiler is being cut into cubes and is mixed with the Dakgalbi sauce and vegetables. Around 200 g of Chuncheon Dakgalbi is being stuffed into a retort pouch and then vacuumed. The retort pouch packed Chuncheon Dakgalbi is subjected to cooking (autoclaving) at $110^{\circ}C$ and 0.75 Kgf for 10, 20 or 30 min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hilling room at $2^{\circ}C$ for rapid cooling procedures. Subsequently, the samples are stored at $4^{\circ}C$ or $25^{\circ}C$ for 4 wk. According to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sensory scores were found in Chuncheon Dakgalbi which was cooked for 30 min (p<0.05). Prolonged cooking time tends to decrease the pH, CIE $L^*$ and CIE $a^*$ levels, and slightly promote the lipid oxidation and protein deterioration. The Chuncheon Dakgalbi being cooked for 10 min promoted the lipid oxidation and protein deterioration during storage at $25^{\circ}C$. Moreover, the total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in Chuncheon Dakgalbi being cooked for 10 min started to grow after 3 wk of storage at $25^{\circ}C$. Cooking (autoclaving) at $110^{\circ}C$ for 30 min is able to maintai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retort pouch packed Chuncheon Dakgalbion the market.

과열수증기와 고압 처리를 이용한 불고기의 품질개선 (The quality improvement of Bulgogi using superheated steam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 김은미;서상희;최윤상;전기홍;이은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93-599
    • /
    • 2017
  • 본 연구는 불고기에 SHS와 HPP 기술을 적용하여 냉장온도(5,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SHS 조리가 일반조리에 비해 다즙성과 조직감(연한 정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조직감 측정결과와 같은 경향으로 SHS 조리가 일반조리에 비해 조직이 연해져 부드러운 조직감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균수의 증가폭도 일반 조리구에 비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방 산패도 값인 TBA 또한 SHS-HHP병행 처리군이 일반 조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식육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VBN 은 간장 양념으로 인해 높은 값을 보여 본 연구의 특성상 VBN 함량만으로 신선도 정도를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기존의 불고기 제품에 SHS 기술과 HPP 기술의 적용으로 제품의 품질향상을 통한 조직감 상승과 유통기간 연장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서울시 거주 1인 가구 청년의 조리태도에 따른 식생활 특성 및 공유부엌 니즈 (Dietary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Community Kitchens among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according to the Cooking Attitude)

  • 양민아;아사노가나;김나래;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4-213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community kitchens among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according to the cooking attitude. Methods: During April 2018,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more positive cooking attitude group (More Positive Group; n=152, mean=4.11) and the less positive cooking attitude group (Less Positive Group; n=190, mean=3.03) based on the mean score (3.51) of the 4-item 5-point Likert scales measuring the cooking attitude. The respons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Approximately 90% of the More Positive Group had the cooking ability to prepare ordinary meals or more advanced cooking skills, whereas only 61% of the Less Positive Group had such skills. Approximately a half of the More Positive Group cooked at home three times a week or more; only 30% of the Less Positive Group did so, and more than 30% of the group seldom cooked. The More Positive Group had higher mean scores in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dietary life and care for food safety and nutrition than the Less Positive Group. Approximately 30% of all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needs for community kitchen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reason for such needs was "being able to have a meal with others". Conclusions: The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more positive cooking attitude possessed a higher cooking ability, cooked more often, and cared more about food safety and nutrition than those with a less positive cooking attitude. There were moderate needs for community kitchens among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living in Seoul. Therefore, societal efforts to improve their cooking attitude would be meaningful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dietary life. Cooking lessons or social dining programs based on community kitchens could be an option.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1++ 등급 거세한우고기의 부위 및 요리형태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nsory Properties for Hanwoo Steer Beef with 1++ Quality Grade by Different Cut and Cooking Methods)

  • 조수현;김재희;김진형;성필남;박범영;김경의;고윤실;이종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3-372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고급육으로 유통되는 육질등급이 $1^{++}$인 거세한우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 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 및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8-30개월령 거세한우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 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 형태로 조리된 거세한우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섭취습관 및 숙성여부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 성향이 거주지역, 숙성여부 및 부위가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수입 및 고기섭취습관 등도 연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 특성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 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고기섭취 습관, 숙성 여부 및 부위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 성향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또한, $1^{++}$ 등급과 같은 최상의 육질등급을 받은 거세한우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 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아 보리 및 혼합 복합분을 이용한 국수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omestic Germinated Barley)

  • 하용밍;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42
    • /
    • 2011
  • 발아 보리쌀을 취반용으로 사용하고 있음에 착안하여서 보리의 이용성 향상을 위해서 새쌀보리와 새찰쌀보리의 발아보리 분말을 밀가루에 첨가한 복합분을 이용한 제면 특성을 조사하였다. 새찰쌀보리 첨가구의 조리면 특성에서 무발아구는 조리 수율과 부피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발아 새쌀보리에서는 10% 첨가구가 조리 수율과 부피증가가 가장 낮았다. 찰보리와 일반보리 모두 혼합량이 증가하면 조리할 때 탁도는 증가하였고, 색도의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나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발아 새찰보리 첨가구의 물성 값에서 경도, 탄성 및 점착성은 감소되었으나 응집성에는 변화가 없었고, 발아 새쌀보리 첨가구에서는 모든 물성 값이 감소되었다. 관능평가에서 10% 발아보리 첨가구의 조리면은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20% 첨가구도 우수하였으나 30% 첨가구는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발아보리 분말을 20% 혼합한 복한분의 제면에서 조리면의 색도, 탁도 및 관능평가 결과는 제면이 가능한 혼합량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30% 첨가구는 색상 저하, 탁도 증가, 물성 값 저하 및 관능평가 값 저하로 제면용 혼합량으로 과다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제면용 첨가제인 글루텐 등을 첨가하면 발아보리 혼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정 및 품종혼합에 의한 고아미2호의 취반특성 (Improvement of Cooking Properties by Milling and Blending in Rice Cultivar Goami2)

  • 천아름;송진;홍하철;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88-93
    • /
    • 2005
  • 난소화성 다당류의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의 취반특성 개선 및 식미 향상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취반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고아미2호는 가루로 1차 호화시킨 후에도 미세전분입자는 호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취반방법으로는 식미개선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정에 의해서 색, 물성 및 호화특성의 변화를 살펴 보았으나 명도와 백도 이외에는 도정율에 따른 유의한 특성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온수분흡수특성을 통해 고아미2호 최소 1시간 이상의 수침시간을 필요로 하며 관능평가를 통해 이 경우 식미가 더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품종별 호화 및 취반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고아미2호의 호화개시온도가 $88^{\circ}C$로 매우 높고 일반 밥솥에서 취반할 경우 수분흡수율과 팽창용적이 적은 것으로 보아 취반 방법에 있어서 고온고압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다른 품종과의 혼합을 통한 식미 혹은 물성 개선을 위해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일품벼, 백진주, 화선찰벼를 비교한 결과 호화가 늦고 경도가 낮으며 노화특성이 양호한 백진주, 화선찰벼가 일품벼에 비해 더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관능 평가를 통해 두 품종이 일품벼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韓國産) 미곡(米穀), 통일계(統一系)와 일반계(一般系)의 취반특성(炊飯特性) 및 Texture 에 관(關)한 연구(硏究) (Cooking Quality and Texture of Japonica-Indica Breeding Type and Japonica Type, Korean Rice)

  • 이병영;윤인화;암기철야;압거욱삼;소원철이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3-618
    • /
    • 1989
  • 한국산 미곡 통일계 및 일반계 품종들의 미질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5년에 3개 작물시험장(수원작물시험장, 영남작물시험장 및 호남작물시험장)에서 생산된 통일계 13품종과 일반계 10품종을 재료로 하여 백미의 취반특성 및 밥의 texture 특성을 조사하였다. 취반특성 중 흡수율 및 취반시 사용한 용액 중 용출고형물은 각각 $p<2.172^*$$p<2.419^*$로 계통간에 유의차를 보였는데 흡수율은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높았으며, 용출고형물은 통일계가 일반계보다 높았다. 밥의 texture 특성에서 hardness와 cohesiveness는 $p<4.370^{***}$$p<2.371^*$로 계통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hardness는 일반계가, cohesiveness는 통일계가 높았다. Amylose 함량과 adhesiveness 사이에는 통일계에서 $r=-0.922^{**}$ 일반계에서 $r=-0.915^{**}$으로 역상관을 이루었으며, 단백질 함량과 hardness 사이에는 통일계에서 $r=0.954^{**}$, 일반계에서 $r=0.915^{**}$로 정상관을 이루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