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intervention

검색결과 804건 처리시간 0.027초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R based Intervention on Daily Living Skills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이태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3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중재방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A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중재, B집단은 직접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중재, C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직접 체험 활동을 결합한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7월 4주부터 8월 3주까지 4주 동안 진행되었고, 일주일에 4회씩 총 16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평가는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분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C집단이 A집단과 B집단보다 일상생활 기술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고, C집단은 B집단보다 수업태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체험활동을 결합한 중재가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 적용 시 진동의 유무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in Instrument 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IASTM))

  • 김충유;강종호;태원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76-181
    • /
    • 2021
  • 본 연구는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 적용 시 진동의 유무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20명이다. 본 연구의 적용된 중재는 위팔두갈래근에 적용된 연부조직 가동술이며, 실험군의 경우는 대조군과 달리 연부조직 가동술 적용 시 진동 기능을 켜 적용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각 집단에 해당하는 중재를 적용 받았으며, 중재 전과 후로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모든 값은 %MVIC 값으로 계산되었고, 대응 t검정과 독립 t검정을 수행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조군에서만 중재 적용 후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중재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 적용 시 진동이 함께 적용되면 이완 효과를 감소시켜 치료에 적절치 못한 것으로 사료 된다.

Eating control and eating behavior modification to reduce abdominal obesity: a 12-mon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im, Soo Kyoung;Rocha, Norma Patricia Rodriguez;Kim, Hyeky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1호
    • /
    • pp.38-53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Abdomin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orders, and, in recent years, its prevalence in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The change of lifestyle, particularly diet, is critical for the reduction of abdominal obesit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focused on dietary self-efficacy and behaviors on the improvement of abdominal obesity. SUBJECTS/METHODS: Abdominally obese adults with addi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recruited through 16 medical facilities in South Korea from the year 2013 to 2014.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an intensive intervention group (IG) that received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to reduce abdominal obesity, by mainly focusing on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change, and a minimal information intervention group (MG) that received a brief explanation of health status and a simple recommendation for a lifestyle change. Th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for 6 mon, and health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t baseline, 3-, 6-, and 12-mon follow-ups.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cess governing the changes in abdominal obesity. RESULTS: The IG showed an improvement in self-efficacy for eating control and diet quality at 6-mon follow-up. Abdominal obesity improved in both groups. Waist circumference was observed to be decreased through the path of "improved self-efficacy for eating control in food availability-eating restriction-improved dietary quality" in IG. Most changes in follow-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intensive program targeting the modification of dietary behavior influenced management of abdominal obesity, and the effect occurred through a step-by-step process of change in attitude and behavior. Generally, improvements were also seen in the MG, which supports the necessity of regular health check-ups and brief consultation. The results can be used for furthe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re successful interventions.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T Intervention Program)

  • 김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45-153
    • /
    • 2016
  • 이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메타분석은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개입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4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183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전체효과크기, 하위집단별 효과크기, 메타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704로 나타났다. 이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의미한다.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영역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참가자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혼성 집단, 여성 집단, 남성 집단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일반성인, 대학생(대학원생), 청소년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고위험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생을 위한 구조화된 인지행동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An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Structured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igh Risk Behavior)

  • 이아름;송원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41-251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의 융합을 위해 학교를 기반으로 고위험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구조화된 인지행동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준전문가를 통해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고위험군 선별을 위해 도농복합지역의 한 초등학교 3학년 전체 10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아동행동평가척도(K-CBCL)를 실시하였고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의 T점수가 60점 이상인 고위험군 학생 32명을 선정하여 개입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었다.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9회기의 구조화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심리상담 전공의 대학원생 및 대학생이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개입집단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개입 후 내재화 집단은 내재화 문제, 불안 및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외현화 집단은 외현화 문제, 공격행동에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지만, 혼합형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질적인 분석을 통해 점수의 의미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에 대한 샌들과 균형 융합 운동이 정적균형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andal and balance convergence exercise on static balance and proprioception on patient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이은상;이승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3-148
    • /
    • 2018
  • 본 연구는 샌들을 이용한 균형 훈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에 균형 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으로 진단받은 대상자 36명을 무작위로 샌들운동과 균형훈련, 대조군으로 할당하였으며, 정적균형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2명의 샌들운동군은 균형샌들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12명의 균형훈련군은 고전적인 균형훈련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은 동일한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30분 동안 주당 3회를 8주간 실시하였다. 샌들을 이용한 균형훈련 집단은 두 집단보다 균형능력에서 전반적인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p<.001), 고유수용성 감각은 가쪽번짐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1). 따라서 샌들을 이용한 균형훈련은 만성발목 불안정성 환자뿐 아니라 노인의 낙상예방 훈련에도 긍정적인 중재 방법이 될 것이다.

대장내시경 전처치 융합관리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Bowel Preparation Convergence Program for Colonoscopy)

  • 강원숙;김주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73-483
    • /
    • 2018
  • 본 연구목적은 대장내시경 전처치 융합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시차설계에 따라 대장내시경 검진예정자 7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동영상교육, 걷기운동 및 전화상담모니터링으로 구성한 대장내시경 전처치 융합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와 대장내시경 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대장정결제 복용이행도와 검사만족도는 대조군보다 높았고(p=.002; p=.001), 검사난이도와 검사불편감은 유의하게 낮았다(p=.002; p=.001). 대장정결도와 검진소요시간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식이요법이행도는 차이가 없었다((p<.001; p=.001; p=.108). 따라서 대장내시경 전처치 융합관리프로그램은 대장내시경검사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임상실무에서 다양한 진단적 검사를 위한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입원환자에게 나타나는 섬망 아형별 위험요인과 증상 및 중재 분석 (Risk Factors, Symptoms, and Intervention Analysis of Delirium Subtypes in Hospitalized Patients)

  • 류아현;강영옥;송라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53-363
    • /
    • 2021
  • 본 연구는 입원환자 섬망의 아형별 위험요인, 증상 및 중재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뒤 섬망을 진단받은 환자 108명의 전자의무기록을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는 고령, 남성, 정형외과, 골절이나 절단 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섬망의 아형은 과활동형 51.9%, 저활동형 6.5%, 혼재형 41.7%이었다. 위험요인 중 우울과 향정신성 약물 복용은 저활동형 섬망군에게 더 많이 선행되었다. 섬망의 중재 중 행동문제 관리와 공격적 행동 중재는 과활동형, 혼재형 섬망군에게 주로 시행되었고 정서적 지지는 저활동형, 혼재형 섬망군에게 주로 시행되었다. 공격적 행동을 동반할 경우 즉각적으로 중재를 제공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추후 입원환자의 섬망을 조기발견하고 중재할 수 있도록 중재전략과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음악 중재 프로그램이 ADHD 아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복합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Music Mediation Program on Children with ADH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미란;박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97-5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판된 논문 1,856편 가운데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대조집단이 있는 실험연구 9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음악 중재 특성, 연구별 목표 및 평가도구의 네가지 기준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논문이 음악 활동, 목표, 평가도구를 각각 2가지 이상 사용하였으며, 특히 사회성과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논문의 비중이 높았다. 메타분석 결과, 전체는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주의력결핍과 사회성은 효과크기가 낮은 반면, 문제행동은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아동을 위한 음악 중재에서 표준화된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을 밝힌 것과, 음악 중재를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운동-인지 이중과제가 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s of Motor-cognitive Dual Task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with Cognitive Disorder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신수정;박경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16-225
    • /
    • 2020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선정된 연구를 질적 분석하여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에게 실시된 이중과제의 적용방법, 결과측정방법,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등록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PubMed, ProQuest를 이용하였으며, 검색어는'dual task' OR 'multi modal'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OR 'Alzheimer's disease' AND 'intervention' OR 'rehabilitation를 사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는 8편이었다. 이중과제는 단독중재로서 적용되기보다 다른 운동중재와 함께 구성된 복합중재의 부분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이중과제의 인지 및 운동과제는 각각 별개의 내용으로 서로 독립적인 과제가 대부분이었다. 평가는 MMSE, CERAD와 같은 전반적인 인지기능평가와 집행기능평가, 기억력평가 등이 포함되었고 이중과제의 직접적인 향상을 보기위하여 Dual task cost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중과제의 연구 및 임상적 적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