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Intervention Program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ostural Control During Reach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Yongjin Jeon;Hye-Seon Jeon;Chunghwi Yi;Ohyun Kwon;Heonseock Cynn;Duckwon Oh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8-135
    • /
    • 2023
  • Background: Despite the fact that aquatic exercise is one of the most popular alternative treatment method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re are few research regarding its effectivenes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ostural control during reaching in children with CP. Methods: Ten participants (eight males and two females; 4-10 years;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vels II-IV) with spastic diplegia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four modified movements that were selected from the Halliwick 10-point program to enhance upper extremity and trunk movements. The participants attended treatment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averaging 35 minutes each session. The Box and Block Test (BBT), transferring pennies in the Bruininks-Oseretsky Test (BOT), and pediatric reaching test (PRT) scores were used as clinical measures.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kinematic data. Differences in BBT and BOT values among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retention (after 3 weeks) were analyzed using a Friedman test. In addition, the PRT scores and variables (movement time, hand velocity, straightness ratio, and number of movement units) from the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were tested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significance level was established at p < 0.05. When the result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post-hoc test for multiple comparisons was performed with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All clinical measures, which included BBT, transferring pennies of BOT, and PR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scores and between pre-intervention and retention scores after treatment (p = 0.001).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mostl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p = 0.001). Conclusion: Aquatic exercise may help to improve body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varying types of physical disabilities.

시간관리 행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Behavioral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Stress Coping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이연덕;황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17-526
    • /
    • 2013
  • 본 연구는 생활시설에서 도움을 받고 있는 학교부적응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16주간의 시간관리 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자아존중감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적용하여 중재전후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시간관리 행동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방식과 소극적 대처방식의 점수 모두 중재 전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단기간의 프로그램 중재효과에서도 스트레스 적극적 대처방식이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간관리 행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에 관련 메타분석 2000년부터 2023년까지 - (Meta-Analysis of Self-Advocac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Research from 2000 to 2023)

  • 진수미;김화수;이지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01-21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 크기,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자기옹호 관련 논문 총 2153 편 중 발달장애인을 키워드로 한 연구 41편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관련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청소년 및 성인, 또는 전환기 시기에 20-30명이 있는 학습상황에서 10-19회기수를 기준으로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권고하며, 특수교육, 통합교육 등 교육적 차원에서만 국한된 연구가 많은데 이를 적용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자기주장, 자기권리를 효과적이고 세련되게 주장할 수 있는 언어재활 차원에서의 자기옹호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Life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 선정주;오숙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5-64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J군 여성독거노인 56명(실험군 28명,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12주 동안 집단학습과 개별학습의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을 제공받았다. 치매예방 통합교육프로그램은 교수체계설계의 주요 개발단계인 ADDIE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향상되었고, 우울이 완화 되었으며, 삶의 질도 향상되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자가 실천이 가능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으로 사료되며 향후 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지역사회에 확대하여 대상자들이 지속적으로 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발반사요법의 실험연구 문헌분석: 2000-2020년 (An 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Foot Reflexology from Year 2000 to 2020)

  • 차남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85-393
    • /
    • 2020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발반사요법의 실험효과를 서술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발반사요법의 중재효과에 대해 20년간 연구한 118편의 선행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반사요법 선행논문의 발표년도, 연구 유형, 특성, 중재변수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Ver.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반사요법이 심리적 상태, 신체적 상태, 신체체계, 활력증상, 지질에 유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반사요법을 체계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발반사요법의 중재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발반사요법의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융합연구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2017년 3월13일부터 24일까지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 5점 만점 평균 $3.50{\pm}.41$, 의사소통 능력 $3.32{\pm}.38$,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3.00{\pm}.40$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r=.633, p<0.01), 의사소통 인식도와 자기효능감(r=.336, p<0.01),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r=.480,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융복합수강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갱년기 중년여성을 위한 앱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Mobile App-Ba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 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57-466
    • /
    • 2021
  • 본 연구는 갱년기 여성들에게 취약하다고 알려진 기억력과 주의집중력, 언어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모바일 앱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만 40세에서 60세 사이의 갱년기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모바일 앱 기반의 인지훈련은 8주간의 프로그램으로 회기당 20~30분, 3회/주 수행하여 총 24회기였다. 조사는 기초조사를 포함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변수는 객관적 인지기능(전반적 인지기능,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기능)과 주관적 인지기능, 삶의 질이었다. 연구결과 전반적 인지기능(t=-8.688, p<.001)과 기억력(t=-4.765, p<.001), 주의집중력 정반응수(t=-7.293, p<.001), 언어기능 중 고빈도 단어에 대한 정반응수(Z=-2.179, p=.036), 저빈도 단어에 대한 정반응수(Z=-2.737, p=.009), 삶의 질(t=-3.358, p=.002)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주관적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앱을 통해 제공되었된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전문가의 개입 없이도 가정에서 접근하기 쉬운 인지 중재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게 적용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pplied to teens in multicultural families.)

  • 변성원;김신향;박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277-28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국내에서 연구된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게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일반화함과 동시에, 향후 중재 프로그램 설계 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게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석 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중 29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유형에서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대상은 중학생, 총회기는 8회기 이하, 주회기는 주 3-5회, 집단크기는 21-30명으로 진행했을 때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은 협력관련변인이 심리관련변인 보다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 프로그램을 통합적, 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실천현장에서 다문화 청소년 중재프로그램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자가간호 중재연구(RCT)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Self-Care Intervention Study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Focusing on a Systematic Review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문경미;박인희;김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97-110
    • /
    • 2023
  • 이번 연구는 국내·외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에게 시행된 다양한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선정기준은 2000년 1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로 PubMed, CINAHL, EMBASE, MEDLINE, RISS, DBpia, KISS 및 KMbase를 통해 검색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한 논문을 채택하였다. 체계적 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총 23편으로 중재 관련 요인으로는 연구대상의 수, 중재자 유형, 중재 제공 횟수 및 기간, 중재효과 관련 요인으로는 중재효과 측정도구, 중재효과 변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은 환자의 증상 악화 및 재입원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게 적합한 자가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의 접근성, 편의성 및 지속을 위한 동기 부여 방법 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소년원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Tea-Culture Therapy Program Development for Personality Education of Juvenile Reformatory Students)

  • 김인숙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9-68
    • /
    • 2021
  • 본 연구는 소년원생들의 재비행 방지와 사회적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사회적 개입을 통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 소년원생들의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특성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B시 소재 소년원에서 수용생활을 하는 14세에서 17세 사이 소년원생들 10명을 연구대상의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소년원생 사회적 개입 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10회기 진행하였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사전 평균 2.37(SD 0.33), 사후 평균 2.49(SD 0.31)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Z=-5.874, P=.000), 자기통제력은 사전 평균 2.06(SD 0.20), 사후 평균 2.16(SD 0.19)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Z=-4.743, P=.001). 대인관계는 사전 평균 1.90(SD 0.32), 사후 평균 2.15(SD 0.21)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5.892, P=.000). 이상의 결과들은 본 프로그램이 소년원생들의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특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년원생 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향후 교정복지 현장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청소년들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