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622건 처리시간 0.03초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 곽영순;손정우;김미영;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1-330
    • /
    • 2014
  • 미래 사회의 변화는 미래 교육의 변화를 요청하며, 이러한 미래교육의 변화 요청을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과정인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진단하고, 미래교육의 변화 방향에 비추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 중 고 과학교사 447명의 설문조사와 12명의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 일반선택과목인 융합형 '과학', 과학 과목 집중이수제, 진로집중과정, 과학과 선택과목의 이수단위 증감, 대학 입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 간 형평성 등으로 구분하여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교사들과 전문가들이 제안한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방향들 중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두고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상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과학과의 핵심역량은 기존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기초학습능력과 자아정체성, 도덕적 역량 등이 추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융합교육은 다른 교과와의 융합 이전에 과학과 내부 과목 간 융합이 먼저 이뤄져야하며,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한 STEM 형태의 융합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을 전담할 교육과정 개발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해군부사관과의 리더십 교육방안 연구 - 프로젝트와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Studies of Leadership Education for Using NCS-Based Competency Curriculum)

  • 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1호
    • /
    • pp.33-4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하여 해군부사관과에 적합한 리더십 교육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리더십 교육은 지식과 경험을 통한 개별역량 통합적 활용을 키우는 것이다. 이에 따른 해군부사관과의 리더십 교육은 4단계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역량 진단. 둘째, 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방향 설정과 프로젝트 구성. 셋째, 프로젝트를 통한 이론과 배경지식의 통합과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문제분석 및 해결방안의 의사소통 경험 제공. 넷째, 역량진단을 통한 학습 결과 제시이다.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리더십 교육은 해군부사관과의 학생들이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프레젠테이션으로 발표함으로써 리더십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정보영역 교육과정 구성 방향 (Information Domain Curriculum Composition Direction in Subject-Centered Curriculum)

  • 신수범;한규정;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09-315
    • /
    • 2021
  • 이 연구는 국내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체제에서 정보영역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중심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2개의 유형에서 정보영역이 어떻게 편제되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국내 교육과정은 역량을 강조하지만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제시, 교과학습모형, 교과서 등을 강조하고 있어서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치우친 형태로 판단하였다. 정보영역 교과중심 교육과정 사례로 초등 실과과의 정보영역, 중학교 정보교과를 제시하였으며 SW융합교육과정은 진보적인 교육과정 사례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SW AI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영역을 통해 학습자가 미래 지능형사회에서 주도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과학을 모학문으로 하여 교과중심 관점으로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이룸(IiRUM)인성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융합적 로드맵 설계: 교육혁신의 대안 (Design of Convergence Roadmap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Duksung IiRUM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Alternativ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 김영준;권량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79-87
    • /
    • 2021
  • 본 연구는 덕성여자대학교의 교육혁신을 조망하는 대안의 관점에서 덕성이룸(IiRUM) 인성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로드맵을 설계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대학 인성교육과정 기반을 구축하는 이론적 고찰이나 사례 방안을 다룬 문헌을 분석하는 절차와 함께 전문가 회의가 병행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내용은 덕성여자대학교의 현행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인성교육의 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못한 교육혁신의 대안 관점에서 새롭게 구축되어야 할 인성교육과정이 현행 교육과정 구도에 어떻게 융합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가의 로드맵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덕성이룸(IiRUM)인성교육과정이 교과과정 및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에 걸쳐 개발 및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덕성여자대학교에서 덕성이룸(IiRUM)인성교육과정은 기존과 현행 교육과정 구도와 상호 균형적이고 융합적으로 개발이 될 뿐 아니라 효과적인 운영 역시 가능함이 분석되었다.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with AI Literacy

  • Jihye Kim;Sun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81-288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AI 리터러시 영역별 목표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음악, 체육과의 목표 연구, 통합예술교육의 목표와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개의 주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학생에게 수업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AI 리터러시 사전/사후 검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수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3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AI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공과대학 융합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요구분석 (Case Study and Needs Analysi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Engineering Colleges)

  • 진성희;신수봉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29-37
    • /
    • 2013
  •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based on the education policy for fostering creative men of talent. Inside universities, however, programs for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are still at primary stage. Universitie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hus founding some major fields of convergence studies have experienced hosts of troubles. The paper discusses the necessary plans of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university to activate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accord with the social demands. Twenty-eight professors in engineering colleg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reviewing the required factors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addition, 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ree specialists working in industry and academic area of convergence technology. The study could suggest the following activation plans based on the government supports: (1) establishing a support center of convergence education, (2) founding a major field of convergence, (3) developing curriculums and curriculum subjects, and (4) hosting related conferences and forums. Also, the study could suggest the following activation plans based on the university supports: (1) developing special program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accord with the industrial demands, (2) revising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systems more flexible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and (3) providing incentives to the participants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 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 '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 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COMPOSITION OF A UNIFIED MODE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QUALIFICATI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MAJOR IN DAEGU UNIVERSITY

  • Kim, Young-Jun;Kim, Wha-Soo;Rhee, Ku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0-5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structing a unified mode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qualificati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procedures in whic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were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types into professional teacher type and coordinator type by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which are related convergence fields that affect the qualification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The two convergence fields, such as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welfare, lead to a separate application bas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welfare for th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nd finally confusion and conflict in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A dichotomy structure system in which this phenomenon results in a divided type of qualification training for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with disabilities was composed of several samples. In this regard, the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that can build convergence field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reflected in the context of priority through the criteria that should be emphasiz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disabled in the overall category of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by forming four qualification criteria centering on this, the common convergence field was composed of special education, thereby enhancing the aspect of inclusion in the rehabilitation welfare field and specific convergence in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the two qualification types were unified.

ICT 기반의 융합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Model for ICT-based Convergence Expert)

  • 류갑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75-80
    • /
    • 2015
  • ICT 기반의 융합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활용 능력을 학습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학을 전공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5개월의 사물인터넷 관련 교육을 실시하여 융합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운영 전반을 다루는 교육모형 설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교육과정은 기본역량과정, 핵심역량과정, 실전역량과정 그리고 현장연수과정으로 구분하여 총 10단계의 세부과정으로 구성하였다. 교과과정은 센싱기술, 네트워크기술, 보안 및 콘테츠 제작기술을 학습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교육모형은 2015년 고용노동부의 일자리창출 인력양성사업에 활용되어 높은 수료율과 취업률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여 효용성을 입증하였으며, 추후 대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Java 과정을 보완하는 등 교과과정을 확장할 계획이다.

직무능력표준의 교육과정도입에 대한 전문대학원 교수자 역량 (Explor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Professors)

  • 김진희;도재우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145-153
    • /
    • 2016
  •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정책이 대학교육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 중심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NCS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전문가인 교수자에 두고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은 NCS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참여한 교수 3명에게 면담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류분석으로 자료 분석을 유목화 하였다. 전문대학원 교수에게 필요한 역량은 교육과정 설계와 개발의 거시적 교수역량과 수업설계와 운영에 해당하는 미시적 수업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 역량들은 개발과 설계, 운영, 평가라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교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본자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장밀착형 특성화 교육을 지향하는 전문대학원 교수들의 역량 개발에 필요한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궁극적으로 교수의 역량이 대학원 학생들의 역량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