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ol Parenting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1초

약시아동 어머니의 가림치료 교육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s about Amblyopia Occlusion Therapy)

  • 한승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69-378
    • /
    • 2016
  • 약시아동의 시력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림치료는 부모의 협조 하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림치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약시아동의 시력을 향상시키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자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본 연구는 2010년 3월 5일부터 10월 5일까지 G시 소재 일 대학병원 안과 외래에서 통원 치료하는 약시아동 어머니 60명(실험군 29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총 24주 동안 가림치료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면대면 상담, 전화 상담 등). 자료수집에서 시력측정은 유아용 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0.0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test 및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력개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우측, F=40.64, p<.001, 좌측, F=10.28, p<.001), 양육 스트레스가 낮았고(F=9.85, p=.003), 부모 효능감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F=22.1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은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부모효능감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 시대에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Convergence Era)

  • 이은희;양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7-44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한국청소년패널 KCYPS 초1 패널 7차년도 데이터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1,9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종속변수에 미치는 변인들 간의 영향력과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제변수인 성별과 전체 성적만족도는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부정적 양육태도는 또래애착에 정적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를 보여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초기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및 이론적 함의와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부모의 사회성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줍음 (Parental Sociability, Parenting Behaviors, and Shyness in Children)

  • 정승원;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61
    • /
    • 1997
  • The relation of parental sociability and parenting behaviors (such as warmth and control) to shyness in children was examined. The subjects were 280 fifth-and sixth-grade children (139 boys and 141 girls).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1) maternal sociability was related to shyness in children: the more sociable the mothers, the less shy their children, and (2) paternal and maternal warmth were related to shyness in children: the warmer the fathers and mothers, the less shy their children.

  • PDF

초등학생 자녀의 인터넷 사용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Internet Use Guid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류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53-69
    • /
    • 2009
  • Having develop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guidance of internet-using children,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five two-hour sessions. It was test-run with nineteen participants, which included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e employed so-call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hich compares the difference in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arents' sense of role satisfaction, parents' sense of insecurity, and parents' rearing attitud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ogram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role satisfaction increased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mpared to the non-participating group. Furthermore, the parents' sense of insecurity decreased and democratic rearing attitudes were fostered in the participating group.

2~3세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 부모에 대한 애착표상 및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Marital Support as Predictors of a Mother's Parenting)

  • 박성연;임희수
    • 아동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2
    • /
    • 2000
  • This study explored the contribution of mother's representation of her mother and father during early years, marital satisfaction, and husband's participation in child caring to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53 middle-class mothers and fathers in Seoul who had 2-to 3-year-old children.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e current study. As predicted, marital satisfaction and husband support as well as early family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positive mothering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However,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mothers' parenting turned out to be marital satisfaction. It was noteworthy that mothers who experienced positive and secure relationships with their own mothers were actively involved/intimate with their children whereas mothers who had insecure relationships with their own fathers showed more authoritarian control over their children.

  • PDF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eaning of Life in Adolescents)

  • 윤영미;조헌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meaning of life in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June 20, 2010.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43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cruited from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7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The mean total item score for the meaning of life scales was 2.99, which was slightly high.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self control, parenting attitude,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were predictors of meaning of life and accounted for 57.1% of the variance in meaning of life. Conclusion: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were variables influencing meaning of life in adolescents.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meaning of life for adolescents.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 간 요구전략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Verbal Control Styles, and Children's Requstive Strategy)

  • 김경혜;안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13-12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terns of children's requestive strategies,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verbal control style. Subjects consisted of 60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 preschool in Seoul. The children's requesting behavior were observed during self-selected activities in preschool. A sample of mothers of children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ildren in this study were likely to use more frequent directives of requestive strategies. Boys tended to use more indirect requestive strategies, especially demand with requestive tag. Mothers were likely to use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Warmth and self-control of parenting and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direct requestive strategy of children. Rejec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direct requestive strategy.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direct requestive strategy of children.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 양육 효능감 및 감정코칭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Coach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Emotional Reaction Attitude,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Coaching Style of Mother with Young Children)

  • 최주현;김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97-307
    • /
    • 2019
  •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유아기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 양육 효능감 그리고 감정코칭 양육태도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U시에 위치한 K, P 어린이집에 만 4, 5세 유아기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6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28일 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반응태도, 양육효능감 및 감정코칭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후 양육 효능감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코칭 부모유형에서는 축소전환형, 억압형에서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코치형에서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감정코칭 양육태도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양지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1-20
    • /
    • 2007
  • 장애아동의 부모, 특히 주양육자가 되는 어머니는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자녀의 장애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자녀 양육에 대한 현실적, 심리적 부담감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으며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가 감소되어 무력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부모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가 참여자들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울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부천시내에 위치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어머니 20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어머니는 약 8주에 걸쳐 15회기로 진행된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Abidin, 1990)와 '자기효능감 척도(The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GSE)'(Tipton & Worthington, 1984)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참여자(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구체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를 참여자들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마지막 세션에서 실시한 그룹 토론을 통해 얻게 된 내용을 녹음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전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룹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와 녹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자녀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 '스트레스의 해소', '삶의 여유 공간 인식', '감정의 공유'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증진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나의 발견', '새로운 자극', '심리적 지지'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질문지와 녹취 전사본에서 도출된 내용들의 의미를 고찰해 볼 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 양육에 있어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자신감이 증진됨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아동의 양육으로 심리적인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어머니들에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이들의 정서적인 안정과 자신감 획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 최효신;신영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07-215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D시 소재 K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실험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퇴원 일주일 전부터 4번에 걸쳐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통상적인 퇴원교육만 제공하였다. 성과변수로서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아애착점수(F=6.16, p=.005)와 양육자신감 점수(F=16.50, p<.001)가 유의하게 높았고, 양육스트레스 점수는 낮았다(F=5.56, p=.004). 이런 경향은 퇴원 2주후에도 지속되었다. 결론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퇴원을 앞둔 미숙아들의 어머니에게 모아애착을 증진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며, 양육자신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