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Sleep Onset Insomnia and Depression Discourage Patients from Using Positive Airway Pressure

  • Park, Yun Kyung;Joo, Eun Yeon
    • Journal of Sleep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55-61
    • /
    • 2018
  • Objectives: Despite the accumulating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airway pressure (PAP) therapy in obstructive sleep apnea (OSA) syndrome, adherence to PAP therapy is not high. Several factors reportedly affect PAP adherence;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patients' symptoms were detrimental to adherence rate.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symptoms and adherence. Methods: Retrospective analyses were performed in 359 patients with OSA (mean age $58.4{\pm}13.2$ years; females, n=80).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between PAP adherence with clinical factors and questionnaires, such as Epworth Sleepiness Scale, Insomnia Severity Index,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Results: PAP adherence was defined as the use of PAP for ${\geq}4h$ per night on 70% of nights during 30 consecutive day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55 days (interquartile range, 30-119 days), and 54.3% showed poor adherence. Non-adherent patients showed more severe sleep onset insomnia, higher BDI, and higher nadir oxygen saturation ($SaO_2$). Patients with good adherence had higher apnea-hypopnea index, oxygen desaturation index, and respiratory arousal to total arousal ratio. Sleep onset insomnia [odds ratio (OR)=1.792, p=0.012], BDI (OR = 1.055, p=0.026), and nadir $SaO_2$ (OR=1.043, p=0.040)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AP non-adherence. Conclusions: Not the severity of insomnia but sleep onset insomnia was associated with PAP adherence, as well as depressive mood. It suggests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for reducing insomnia and depressive mood are needed to increase PAP adherence in patients with OSA.

High-flow nasal cannula oxygen therapy in children: a clinical review

  • Kwon, Ji-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1호
    • /
    • pp.3-7
    • /
    • 2020
  • High-flow nasal cannula (HFNC) is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noninvasive ventilation method that was recently accepted as a treatment option for acute respiratory support before endotracheal intubation or invasive ventilation. The action mechanism of HFNC includes a decrease in nasopharyngeal resistance, washout of dead space, reduction in inflow of ambient air, and an increase in airway pressure. In preterm infants, HFNC can be used to prevent reintubation and initial noninvasive respiratory support after birth. In children, flow level adjustments are crucial considering their maximal efficacy and complications.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suggest that HFNC can be used in cases of moderate to severe bronchiolitis upon initial low-flow oxygen failure. HFNC can also reduce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in children with respiratory failure. Several observational studies have shown that HFNC can be beneficial in acute asthma and other respiratory distress. Multicenter randomized studies are warrant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and adherence of HFNC and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The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s for HFNC, including flow settings,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device management, efficacy identification, and safety issues are needed, particularly in children.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구강내 장치 치료시 부작용 및 관리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oral appliance therapy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조정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5호
    • /
    • pp.270-278
    • /
    • 2019
  • Oral appliances therapy is becoming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successful treatment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OSA). Compared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CPAP), the gold standard therapy for OSA, oral appliance therapy are less efficacious for severe OSA but are more acceptable and tolerable for patients, which in turn, may lead to a comparable level of therapeutic effectiveness. Nevertheless, the various side effects of oral appliance therapy, such as, increased salivation or dryness, pain or discomfort in the teeth or gums, occlusal discomfort in the morn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ental and occlusal changes may cause discontinuation of treatment or changes in treatment plan. Therefore, oral appliance therapy should be provided by a qualified dentist who can evaluate oral tissues, occlusion, and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prevent and manage the possible side effects.

  • PDF

구강 내 장치를 활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with Oral Appliance)

  • 김지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5호
    • /
    • pp.288-295
    • /
    • 2019
  • Sleep-disordered breathing (SDB) is defined as a disturbed breathing during sleep caused by repetitive upper airway collapse. Complete collapse causes a cessation of breathing, known as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snoring can arise from partial collapse. Undiagnosed and untreated OSA means recurrent intermittent hypoxemia and leads to a variety of cardiovascular disorders, disturbed neurocognition,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Various behavioral modalities have been suggested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including changing the sleep position, avoiding alcohol, and weight loss. Until now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therapy is one of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A, but its discomfort causes less tolerance and compliance. Therefor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for oral appliance have emerged and the role of dentist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OSA.

  • PDF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1례 (A Case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a Patient with Central Sleep Apnea and Heart Failure)

  • 안지영;김신범;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118-123
    • /
    • 2017
  •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중추성 수면 무호흡보다 발생 비율이 높지만 심부전 환자에서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이 동반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흔하며, 실제로 심부전 환자에서 25~40%까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고 한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여 심부전으로 진단된 환자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고 난 이후 추적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에 비해 주관적인 호흡곤란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의료진의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환자가 평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심하다는 소견을 바탕으로 조기에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했다. 환자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을 동반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 되어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 후 호흡곤란 및 주간 졸림증이 호전 되었다. 심부전 환자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경우, 피로감, 주간 졸림증 등과 같은 수면 무호흡의 일반적인 증상이 심부전 자체로 인한 증상으로 오인되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진단이 늦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심부전 환자의 치료 시 수면 무호흡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는 경우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증상 호전 및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코콜이 환자의 sleep splint 착용 전후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연구 (An Aerodynamic study used aerophone II for snoring patients)

  • 정세진;김현기;신효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4호
    • /
    • pp.219-226
    • /
    • 2011
  •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re common sleep disordered breathing conditions. Habitual snoring is caused by a vibration of soft tissue of upper airway while breath in sleep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is caused by the repeated obstructions of airflow for a sleeping, specially airflow of pharynx. Researchers have shown that snoring is the most important symptom connected with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The treatment is directed toward improving the air flow by various surgical and nonsurgical methods. The current surgical procedures used are uvulopalatopharyngoplasty(UPPP), orthognathic surgery, nasal cavity surgery. Among the nonsurgical methods there are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e(CPAP), pharmacologic therapy. weight loss in obese patient, oral appliance(sleep splint). Sleep splint brings the mandible forward in order to increase upper airway volume and prevents total upper airway collapse during sleep.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of action is not yet completely understood, especially aerodynamic factor. The aim of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snoring and OSAS by sleep splint through measured aerodynamic change by an aerophone II. We measured a airflow, sound pressure level, duration, mean power from overall airflow by aerophone II mask.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decrease in maximum airflow rate and a decrease in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on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 decrease in maximum airflow rate and a increase in duration.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폐 표면 활성제 조기 투여 후 Nasal CPAP의 치료 효과 (Effect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fter Early Surfactant Therapy in Modera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김은지;김혜숙;허만회;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0호
    • /
    • pp.1204-1212
    • /
    • 2002
  • 목 적 :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폐 표면 활성제의 조기 투여와 연성 환기, 고빈도 환기요법과 공격적 인공호흡기 이탈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치료의 기본이다. 하지만, 침습적인 기도삽관에 의한 인공호흡기 치료보다 비침습적인 폐 표면 활성제의 조기투여와 nasal CPAP 병용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본원 출생아로서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 중 생후 2시간 이내 폐 표면 활성제의 조기 투여 후 nasal CPAP의 호기 말 양압을 5-6 cm $H_2O$로 설정하여 임상경과를 관찰한 14례를 연구군으로 하고, 인공호흡기 치료 후 5일 이내 조기이탈이 가능했던 15례를 대상으로 병력, 흉부 방사선 소견, SMR, 임상경과, 산소화 지수를 병력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분석 하였다. 결 과 : 1) 대상아의 특징 : 평균 재태 연령은 연구군이 $32.3{\pm}1.7$주이고, 대조군은 31.3${\pm}1.5$주이었고, 평균 출생체중은 연구군이 $1,730{\pm}290gm$, 대조군이 $1,620{\pm}350gm$이었으며, 남녀 성비는 연구군이 10 : 4, 대조군이 6 : 9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양군에서 출생시 RDS의 정도 및 검사 소견의 비교 : 연구군에서 SMR은 $9.8{\pm}6.5$개, 대조군에서 $10.7{\pm}3.1$개, 흉부방사선 소견상 Bomsel grade 2 이상이 연구군에서 12례, 대조군에서 15례, 임상증상은 빈호흡이 연구군에서 11례, 대조군에서 9례, 흉부함몰은 연구군에서 10례, 대조군에서 8례, 신음호흡은 연구군에서 10례, 대조군에서 7례였고, 1분과 5분 Apgar 점수는 연구군이 각각 $6.9{\pm}1.3$, $8.4{\pm}0.8$, 대조군이 각각 $6.5{\pm}1.2$, $8.1{\pm}0.5$, 동맥혈 가스 분석상 pH, $PaCO_2$는 연구군이 각각 $7.3{\pm}0.1$, $51.3{\pm}14.1mmHg$, 대조군이 각각 $7.3{\pm}0.1$, $45.6{\pm}14.6mmHg$으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중등도 비교에서 양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양군에서 치료과정 중 동맥혈 가스 분석 및 호흡지표의 변화(생후 6-12시간 사이의 경과) : 호흡기치료과정 중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상 pH 및 $PaCO_2$의 평균치는 연구군에서 각각 $7.39{\pm}0.1$, $39.1{\pm}7.9$, 대조군에서 각각 $7.38{\pm}0.1$, $35.4{\pm}8.5$, 산소화 지수의 평균치는 연구군에서 $9.1{\pm}1.3$, 대조군에서 $8.34{\pm}1.7$로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연구군에서 임상적 경과 및 CPAP 치료에 대한 반응도 : 연구군에서 임상적 경과가 악화되어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는 14례 중 2례(14.3%)이었고, 12례(85.7%)에서는 성공적으로 치료되어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없었다. 실패한 2례 중 1례는 임상경과 중 호흡지표의 악화로 인공호흡기 치료로 전환된 경우이고 나머지 1례는 장치 후 6시간 이내에 제반증상의 악화로 보존적 인공호흡기 치료로 전환된 경우이다. 성공적으로 치료된 경우 지속적 양압 환기기간은 평균 5일이었고 평균 호기말 양압은 $5.4{\pm}0.5cm$ $H_2O$이었다. 5) 양군에서 합병증의 비교 : 동맥관 개존증은 대조군에서 2례(14.3%)있었고, 병기(stage) 3 이상의 미숙아 망막증은 연구군에서 1례, 대조군에서 3례 있었으며, 뇌실내 출혈은 연구군에서 3례, 대조군에서 2례 있었고,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은 연구군에서 1례, 대조군에서 3례 있었으며, 공기 누출 증후군 및 만성 폐질환은 발생되지 않았다. 그리고, 연구군에서 지속적 양압 환기로 인한 복부팽대가 2례로 양군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 론 :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생후 2시간 이내 폐 표면 활성제 투여 후 nasal CPAP을 사용한 14례를 연구군으로 하고, 5일 이내 조기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던 15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임상 경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양군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등도 호흡 곤란증후군에서 공격적 이탈을 목표하는 인공호흡기 치료법보다는 폐 표면 활성제의 조기투여와 nasal CPAP의 병용치료를 우선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에서 CPAP 치료가 전신성 혈압, 심조율 및 catecholamines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P AP Therapy on Systemic Blood Pressure, Cardiac Rhythm and Catecholamines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강지호;이상학;최영미;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15-723
    • /
    • 2000
  •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전신성 혈압의 상승과 심박동수의 현저한 변화를 보이며, 이러한 심혈관계 기능변화는 수면중 반복되는 무호흡에 의한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인한 교감신경계 활성도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지속적 기도 양압 공급(CPAP) 치료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을 가장 확실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치료법이 환자들의 심혈관계 교감신경계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폐쇄성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지에서 CPAP 치료 적용시 나타나는 심혈관계 및 교감신경계 활성도 변화를 관찰하고자하였다. 방법 : 수면다원검사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CPAP 치료를 시행한 13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과 후의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 수면중 전신성 혈압, 수면중 심박동수와 부정맥, 그리고 혈장 catecholamines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중 CPAP 치료 후 무호흡-저호흡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동맥혈 최저 산소 포화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수면중 수축기 혈압은 치료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용 없었다. 수면중 심박동수는 치료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심부정맥의 종류와 빈도는 치료 전에 부정맥이 관찰되었던 환자들에 있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무호흡의 소실과 함께 동성 서맥성빈맥성부정맥은 사라졌다. 혈장 epinephrine 농도는 치료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장 norepinephrine 농도는 치료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CPAP 치료는 수면 무호흡과 저호흡 발생을 감소시켜 수면중 저산소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었고, 수면중 혈장 norepinephrine 농도 감소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CPAP 치료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게 있어 수면중 전신성 수축기 혈압의 하강 및 수면중 심부정맥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ep Apnea)

  • 이상학;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10권1호
    • /
    • pp.5-11
    • /
    • 2003
  • Sleep apnea syndrome is a common clinical disorder characterized by intermittent cessation of airflow at nose and mouth during sleep.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syndrome is that it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t can also cause neuropsychiatric,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complications. The standard for diagnosis of sleep apnea syndrome is nocturnal polysomnography. Because polysomnography is a time-consuming and expensive test,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place polysomnography with a simpler system of monitoring, but no method has yet been approved as a definitive investigation method. The goals of treatment for this syndrome are to eliminate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to reduce the risk of possibl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s the most definite and widely accepted treatment for achieving these goals. Other treatments such as surgical treatment, oral appliances, and behavioral therapy may be useful for selected patients who are mildly affected.

  • PDF

Update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 Shim, Gyu-H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9호
    • /
    • pp.273-281
    • /
    • 2017
  • To date,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fter birth have been managed with a combin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surfactant instil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It is now recognized that noninvasive ventilation (NIV) such a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in preterm infants is a reasonable alternative to elective intubation after birth. Recently, a meta-analysis of large controlled trials comparing conventional methods and nasal CPAP suggested that CPAP decreased the risk of the combined outcom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death. Since then, the use of NIV as primary therapy for preterm infants has increased, but when and how to give exogenous surfactant remains unclear. Overcoming this problem,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allows spontaneously breathing neonates to remain on CPAP in the first week after birth. MIST has included administration of exogenous surfactant by intrapharyngeal instillation, nebulization, a laryngeal mask, and a thin catheter. In recent clinical trials, surfactant delivery via a thin catheter was found to reduce the need for subsequent endotracheal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and improves short-term respiratory outcomes. There is also growing evidence for MIST as an alternative to the INSURE (intubation-surfactant-extubation) procedure in spontaneously breathing preterm infants with RDS. In conclusion, MIST is gentle, safe, feasible, and effective in preterm infants, and is widely used for surfactant administration with noninvasive respiratory support by neonatologist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resolve uncertainties in the MIST method, including infant selection, optimal surfactant dosage and administration method, and need for se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