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ual Record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3초

Contextual Bandit에 기반한 비디오 월 컨트롤러의 로그레벨 (Contextual-Bandit Based Log Level Setting for Video Wall Controller)

  • 김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33-635
    • /
    • 2022
  • 비디오 월 컨트롤러의 운용 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제어 시스템은 로그 파일을 생성하고 로그를 기록한다. 로그 기록으로 인한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로그레벨을 사용하는데, 평상시에는 로그레벨을 낮게 설정하여 가급적 로그를 기록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로그레벨을 변경하여 상세한 로그를 기록하도록 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오류를 인지하더라도 즉각적인 원인 분석 및 대처가 불가능하고 로그레벨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운영자의 개입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ontextual Bandit을 이용하여 운용 상황에 따라 로그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XML 메타데이터 엔진 설계 (An XML-based Metadata Engine Design for Effective Retrieval in Video Recording System)

  • 신은영;박성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2-20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검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XML .메타데이터 엔진을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XML 메타데이터를 프래그먼트 단위로 저장하면서, 메타데이터에의 접속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메타데이터의 내용과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계층적 인덱스 스키마을 구성한다. 계층적 인덱스 스키마는 메타데이터의 내용적 특성을 기반으로 검색에 자주 사용되는 상위 레벨의 메타데이터를 구별하고 그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 검색을 위한 노드 인덱스와 구조적 특성을 갖는 그룹 테이블을 기반으로 고급 검색을 위한 그룹 인덱스를 구성한다. 이 접근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전체 인덱스 수를 줄이고, 그룹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반환 시간을 향상시킨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엔진이 기존 메타데이터 엔진보다 향상된 검색시간을 보여준다.

소셜 상황 인지를 통한 추천 시스템: MyMovieHistory 사례 연구 (Social Context-aware Recommendation System: a Case Study on MyMovieHistory)

  • 이용승;정재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43-1651
    • /
    • 2014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가족, 친구, 그리고 소속단체원들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케 해 준다. SNS 상의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페이스북은 연예오락(영화, 음악, TV쇼 등)과 관련된 흥미로운 기능을 채택해 오고 있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사용자들에게 관심 아이템을 추천할 때 필요한 사용자들의 시간, 장소, 소셜 상황 등 상황적 정보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영화를 보는지 등에 대한 다양한 상황적 정보의 통합에 기반을 둔 영화 추천 접근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두 명이 함께 영화를 관람하러 갔을 때 동시에 만족할만한 영화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위해 사용자들의 영화관람 내용을 기록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적절한 추천 영화를 소개해 줄 수 있는 'MyMovieHistory'라는 페이스북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웹 사용 경험의 정황 요소 매핑에 관한 연구 : 실증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Mapping Experiential Context factors on the Website Use Experience : through analysis of practical use cases)

  • 김현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65-276
    • /
    • 2004
  • 사용자 중심 디자인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의 사용성(Usabilily)보다 확장된 개념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컨텐츠 플래닝에 활용하기 위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한 웹 사이트에서의 사용자 경험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경험적 정황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웹사이트 경험의 정황적 요소에 대해 체계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사이트 사용에 관련된 정황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경험의 수준으로 분류하여 매핑함으로써 새로운 웹 컨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의 대상을 인터넷 음악 방송 사이트 또는 음악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험과 이를 둘러싼 경험적 정황으로 정하였으며, 경험적 정황에 대한 이해가 인터넷 음악 방송 사이트와 관련된 컨텐츠 플래닝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논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웹 사용의 경험과 경험에 영향을 주는 정황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통해 정의 내리고 체계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둘째, 사용자 경험 탐색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 - 웹 다이어리 작성, self-video를 통한 사용 화면 기록, 인터뷰 등을 통해 실증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정황을 포함한 사용 경험 및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경험적 정황의 요소를 추출하고 매핑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결론에서는 경험적 정황을 포함하는 실증적 사용 시나리오가 웹 컨텐츠 플래닝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는 웹에서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관점을 정황적 요소로까지 확장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매핑하는 실증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웹에서의 혁신적이며 크로스 사이트, 크로스 장르적인 컨텐츠 플래닝의 가능성을 시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종합병원 수간호사의 의료기관평가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Hospital Accreditation Experience of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s)

  • 문지현;주가을;이진화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7-4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hospital accreditation experience of head nur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behavior on the adaption of this new syste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 head nurse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audiotape recording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described in Strauss and Corbin's methodology. Results: There were 113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identified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In the axial coding, the following paradigm model was proposed: 1) the causal conditions were 'hardware problem' and 'software problem', 2)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vertical relationship', 'individual preference', and 'family support', 3)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passive conditions' and 'active conditions', 4)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leading role' and 'dependent role', 5) the consequences were 'positive acceptance' and 'negative acceptance', 6) the central phenomenon was 'difficult situation' and 7) the core category was 'leading in harmony'. Conclusion: The new system led head nurses having difficulties as the middleman between the hospital administration and general nurses, but they made a continuous effort to overcome and adapt to it through a number of strategies.

걷기를 적용한 경관의 주관적 인식조사 방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광주 수청리 농촌마을 대상으로 - (Walking as Research Method for Revealing Subjective Perceptions on Landscape : Rural Village Sucheong-ri, Gwangju)

  • 이차희;윤승용;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31-43
    • /
    • 2016
  • In existing method, research for landscape resource is driven by professional (or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t Tokenism level), and usually hinder local residents from reflecting their appreciations on the landscape resources in their own ways and eventually ends up with indistinguishable landscape planning. To avoid this, a profound understanding of what landscape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and how they perceive it should be empirically analysed car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walking behavior as a method to examine local residents' subjective perceptions and consider its usability. The researcher walked the site(Sucheongri) with the residents, carrying a GPS device, taking photographs of the landscape objects they described, and recording the relevant explanations. After gathering photographs and explanations which repres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 the researcher analysed the explanation using open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By the analysis, 117 landscape objectives are identified and 18 reason factors for landscape perception were deduced from the explanation. Those factors could be classified as 'positive feeling inducing' and 'negative feeling inducing', and also as 'personal emotion based' and 'community based emotion'. By comparison between feeling map by conventional method and feeing map by new method, usability of new method was empirically reveled. Walking behavior makes it easier for researcher to get more abundant data in quantitative aspect and profound understanding with affection of respondent by allowing them to 'go beyond' the perceptions they remember. Finally new method with walking gives professionals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a place and more resident-oriented plans and management on sites.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 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adata structuralization for context representation of women's oral life history)

  • 이정연;이정연;유종덕;이종윤
    • 기록학연구
    • /
    • 제30호
    • /
    • pp.57-88
    • /
    • 2011
  • 구술은 생존자의 기억을 통해 재현된 내용을 기록화 시키는 작업으로 구술채록은 구술자, 면담자, 촬영자, 녹취자 등의 협업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구술기록물은 생산 당시의 맥락이 표현되는 것이 중요하며 구술기록물 수집을 위한 기획, 구술기록물 수집, 보존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기록물 중에서도 여성구술생애기록물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메타 데이터의 개념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통하여 요소들을 추출 하였다. 여성구술생애기록물 관련 기획부터 생산, 보존, 관리, 이용에 이르는 기록 관리의 전 과정을 포함하여 계층으로 분류하였으며, 전거레코드와 주제 시소러스를 통해 '여성'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블록체인 환경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사용자 동적 접근제어 메커니즘 (User Dynamic Access Control Mechanism Using Smart Contracts in Blockchain Environment)

  • 조도은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46-57
    • /
    • 2021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분산 원장 환경에서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유효성이 검증되며, 미리 작성되어 등록된 코드에 의하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이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신뢰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블록 체인에서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데이터가 공유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 제어와 정보의 보안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사용자 동적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데이터 접근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역할을 할당하고 데이터 접근 범위를 동적으로 제어한다. 이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 그룹별로 할당된 역할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사용자 인증 시점에 동적으로 데이터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시스템의 보안성과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적인 데이터 접근 제어를 통해 유연한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문학 아카이브의 현황과 전망: 근대문학정보센터와 국립한국문학관 설립을 중심으로 (Status and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ture Archive: Focus on Information Center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Literature)

  • 김민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1-219
    • /
    • 2019
  • 본 논문은 한국 문학 아카이브의 미래를 탐색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근대문학 아카이브를 소개하고 국립한국문학관의 아카이브 추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글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의 근대문학 아카이브는 근대문학자료 원문 디지털화 및 전문적인 해제 정보 제공, 근대작가 및 근대문학사 관련 콘텐츠 구축 등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2년 개관을 목표로 하는 국립한국문학관의 문학자료 아카이브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례를 참고하되 보다 전문적인 큐레이션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즉 아카이브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학의 창조적인 재생산이 가능하도록 기록의 맥락(context)을 기록하는 아키비스트의 태도를 가지고, 자료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적극적인 아카이브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의 대항기억과 재생산된 기록의 역사 담론 전시 『Rise and Fall of Apartheid :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를 중심으로 (The Counter-memory and a Historical Discourse of Reproduced Records in the Apartheid Period : Focusing on 『Rise and Fall of Apartheid: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

  • 이혜린
    • 기록학연구
    • /
    • 제74호
    • /
    • pp.45-78
    • /
    • 2022
  •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인종분리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1948년부터 1994년까지 시행했다. 이 정책의 주요 내용은 백인과 인도인, 혼혈인, 흑인 등 인종을 계급화하고, 계층에 따라 거주지와 개인 재산 소유, 경제적 활동 등 모든 사회적 행위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백인을 제외한 모든 인종이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받았고, 탄압받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시민들은 무차별한 폭력을 일삼는 정부에 저항하였고, 이들을 지탄하는 여론은 지역 사회를 넘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었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 중 하나는 폭력 현장을 자세히 기록한 사진 이미지들이다. 민중 탄압을 포착했던 외신 기자들은 물론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사진작가들은 개인의 차원에서 소외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데 몰두했다. 이들이 현실을 알리려는 의지가 없었고 실제로 이를 사진으로 기록하지 않았다면, 많은 사람이 인종 차별로 기인한 사태의 참혹함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아파르트헤이트의 여러 단면을 포착해 그와 관련한 여러 기록을 전시한 『Rise and Fall of Apartheid: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를 주목하고, 사진에서 묘사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자행된 인종 차별의 면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전시는 아파르트헤이트가 시작된 1948년부터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잘못된 역사관을 바로잡으려는 진실화해위원회가 출범한 1995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전시에 출품된 수많은 사진은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피터 마구베네(Peter Magubane), 이안 베리(Ian Berry), 데이비드 골드블라트(David Goldblatt), 산투 모포켕(Santu Mofokeng) 등이 촬영한 것으로, 다양한 아카이브를 비롯한 박물관, 미술관, 언론 매체의 소장품이다. 전시에 출품된 사진들은 일차적으로는 사진작가들의 작업 결과물이다. 사진 작품인 동시에 1960년대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과거를 증명하는 매체이지만 역사학이나 기록학적인 관점보다는 사진사와 미술사의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전시된 사진들은 기록물로서의 특성이 있고, 그 안에 담긴 맥락 정보는 역사를 다양한 시각으로 되짚어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된 영역에서 확대하여 다양한 시선으로 당대를 살펴보고, 이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시에서 선보인 사진 작품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공식 기록에 포함되지 않은 사건과 사람을 증명하고 서술한다. 이런 점은 보통 사람들의 기억, 개인의 기록을 통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인물과 사건을 역사적 공백으로 편입시키고, 여러 매체로 재생산되어 기록 생산의 맥락을 강화하고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